• 제목/요약/키워드: jujube extract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5초

대추 Extract를 첨가(添加)한 요구르트의 제조(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Jujube Extract)

  • 유풍현;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70-79
    • /
    • 1996
  • 환원(還元) 탈지분유(脫脂粉乳)에 대추 extract를 0%, 1%, 2%, 3%, 4%, 및 5%를 첨가(添加)하고 혼합(混合) 유산균(乳酸菌)(Str. hermophilus, Lac. bulgaricus)으로 발효(醱酵)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後) 대추 extract 첨가가 유산균(乳酸菌)의 pH 및 산생성, 유산균(乳酸菌) 생육(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점도변화(粘度變化), 당류변화(糖類變化) 및 관능검사(官能檢査)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추 extract 첨가군(添加群)이 대조군(對照群)에 비하여 산(酸) 생성(生成)의 증가(增加) 및 pH의 저하(低下)가 빨랐으며, 첨가구간에서도 대추 extract 첨가(添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pH의 저하(低下) 및 산(酸) 생성(生成)의 증가(增加)가 빨랐다. 2.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대추 extract 첨가구들의 유산균수(乳酸菌數)가 증가(增加)되었고, 첨가구들간에서도 첨가농도(添加農度)가 높을수록 유산균수(乳酸菌數)는 증가(增加)되었다. 3. 배양(培養) 6시간에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대추 extract 첨가(添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점도(粘度)는 증가(增加)되었고, 4%, 5% 첨가구(添加區)는 12시간까지 급격한 점도(粘度) 저하(低下)가 나타났으나, 이중 5%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 4. 배양후 0시간에서는 대추 extract 첨가(添加) 농도(濃度)가 높을수록 glucose와 fluctose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함량이 높아졌으며, 12시에서는 lactose는 대조구(對照區) 및 첨가구(添加區)들에서 비슷하게 감소(減少)되었고, fructose와 glucose도 감소(減少) 경향을 보였으며, galactose는 대조구(對照區) 및 첨가구(添加區)에서 0시간에 비하여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5. 관능검사 결과 맛(taste)과 냄새(odor)는 조구(照區)에 비하여 4%, 및 5% 첨가구가 우수하였으며, 색(色)(color)은 대조구(對照區) 대추 extract 첨가구(添加區)와 비교하여 우수하였고, 조직(Texture)은 대조구(對照區)가 대추 extract 첨가구들보다 좋았으나 4%, 및 5% 첨가구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전체(Overall)적으로는 대추 extract 3%,및 4% 첨가구가 우수하여 대추 extract 첨가(添加) 요구르트의 제조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Evaluation of some indigenous plant extracts for antiimplantation activity in albino rats

  • Pateel, Mallikarjun;Sharanabasappa, Sharanabasappa;Malashetty, Viajykumar B;Patil, Saraswati B;A, Veeranagoud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5권4호
    • /
    • pp.347-351
    • /
    • 2005
  • In the present investigation twelve indigenous medicinal plants have been screened for their antiimplantation activity in albino rats. The plant material was subjected for soxhlation successively and separately from non-polar solvents to polar solvents i.e., petroleum ether benzene and ethanol. Out of these three extracts the petroleum ether extract of seeds of Citrus medica, aerial part of Oxalis corniculata and Tinospora cardifolia have showed maximum antiimplantation activity. Ethanol extract of leaves of Cardiospermum helicacabum, roots of Echinops echinatus, leaves of Melia azedarach, seeds of Momordica charantia and bark of Terminalia bellirica have shown maximum antiimplantation activity amongst the three extracts of each plant material screened. Though all the three extracts of seeds of Annona squamosa and leaves of Zizyphus jujube screened for antiimplantation activity, no extract has showed any loss in implantation. The details of the results obtained are discussed.

포도줄기추출물 및 발효화분 처리가 생대추의 저장기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torage Property of Fresh Jujube Treated with Grape Fruit Stem Extracts (GFSE) and Fermented Pollen (FP))

  • 우관식;황인국;장금일;강태수;이희봉;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90-1094
    • /
    • 2008
  • 생대추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 위하여 완숙 생대추를 PE와 밀폐용기를 이용하여 포도줄기추출물 및 발효화분을 처리하고 에틸렌가스제거제를 첨가하여 $0^{\circ}C$에서 저장하면서 장해과 발생율, 경도, 총산도, 가용성 성분의 함량, 비타민 C 함량, 미생물수 및 연화효소 등을 측정한 결과 장해과 발생율은 밀폐용기 처리구가 PE 포장 처리구에 비하여 부패율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화분과 에틸렌가스 제거제 처리구의 상태가 양호하였다. 경도는 전반적으로 4주차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그 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산도는 각각의 처리구별로 큰 차이는 없었지만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용성 성분은 초기 당도는 $33.97^{\circ}Bx$로 저장 2주까지는 모든 처리구에서 당도가 약간 증가됨을 보이다 $9{\sim}12$주에서는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대추의 vitamin C 함량은 401.97 mg/100 g이었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함량 변화는 대추의 개별특성상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미생물수는 전체적으로 초기에는 균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지만 4주 이상부터는 다시 증가하여 12주까지 계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연화효소는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연화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저장 $4{\sim}5$주까지는 효소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완숙대추를 이용한 저장은 $8{\sim}9$주까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포도줄기추출물과 에틸렌가스제거제를 동시에 처리할 경우에 좀 더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용식물추출물을 첨가한 건강미숫가루음료 개발 (Development of Functional Misutkaru Drink Added with Several Medicinal Herbs Extracts)

  • 이가순;이진일;이종국;이종수;박원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54-159
    • /
    • 2004
  • 캔음료용 건강미숫가루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 보리 및 콩을 이용하여 기본미숫가루용액을 만든 후 몇 종의 한약재를 선발하여 적정 혼합비율로 혼합 추출, 첨가하여 건강미숫가루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본미숫가루용액으로 적당한 재료의 혼합은 물 100mL에 쌀, 보리 및 콩을 각각 5 g씩 혼합한 것이 가장 물성이 좋았다. 건강미숫가루용액 제조를 위하여 첨가한 한약재의 추출물은 맥문동 50, 오미자 15, 인삼 10, 대추 25의 비율로 혼합 후 10배 량의 물을 가하여 75$^{\circ}C$에서 36시간 처리하여 얻었으며 기본미숫가루용액 80에 혼합한 한약재 추출물 20의 비율로 혼합한 것이 기본미숫가루용액보다 기호도가 높았다. 건강미숫가루용액의 장기 저장을 위하여 가압살균처리를 함으로써 물성이 걸쭉한 형태로 변하므로서 살균처리시의 건강미숫가루는 배합비율을 기본미숫가루 60, 한약재혼합추출물 30, 물 10의 비율로 달리할 필요가 있었으나 기호도는 살균처리하지 않은 것보다 낮은 경향이었다. 살균처리하지 않은 건강미숫가루용액은 첨가한 한약재추출물에 의하여 방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살균처리하지 않은 상태로 제품화할 경우 $25^{\circ}C$에서 6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대추 아임계수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및 산화방지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s from Ziziphus jujuba Mill extract using subcritical water)

  • 고민정;권미리;정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29-333
    • /
    • 2021
  • 아임계수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대추 추출물을 얻고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과 ABTS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페놀 성분 함량 변화 및 산화 방지효과를 확인하였다. 아임계수 추출물은 총 페놀 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결과 값이 모두 메탄올 및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결과 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아임계수 추출법은 메탄올 및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보다 추출 시간도 20분 이내로 짧았고,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아임계수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산화방지 효과의 결과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항산화 효과가 있는 페놀류가 많이 추출될수록 산화방지 효과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아임계수 추출 방법은 오직 물을 사용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친환경적이고 안전한 신가공기술이며 잠재성과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아임계수 추출기술은 앞으로도 다양한 유효성분 추출 및 소재 가공으로 식품 산업에 응용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추, 양파, 혼합추출물이 흰쥐의 혈청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Dae-Chu (Rhamnace ziziphus), Onion (Allium cepa L.), Mixture Extract on Serum Composition in Rats)

  • 조영자;박희진;주성미;허원녕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9-10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dae-chu(Rhamnace ziziphus, A), onion(Allium cepa L., O), mixture extracts (mulberry leaf, licorice root, pine needle, angelica gigas, jujube, onion, M) on serum glucose, lipid, enzyme, phosphorus levels in rats (Sprague-Dawley male rats, $357.03{\pm}7.08g$). Serum calcium of onion gro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0.05), but mixture extracts group of Cl (p<0.05) and TBIL (total bilirubin, p<0.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rum glucos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increased experimental rats than those of the normal rats. Mixture extracts was better than other groups for lipid metabolism. Also, GPT(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nd GOT(glutamic oxaloacetate transaminase) of onion extracts were protected to liver. So mixture and onion extracts were good drink for health.

잎새버섯 추출물의 생리 기능 및 음료 제조 (Physiological Function and Development of Beverage from Grifola frondosa)

  • 이재성;이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41-1247
    • /
    • 2007
  • 잎새버섯을 건조시 킨 후 메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고 관능검사로 최적 음료 조건을 조사하였다. 건조한 잎새버섯을 메탄올과 물로 추출한 후 수율과 폴리페놀 함량은 메탄을 추출물 28.7%, 130 mg/100 g, 물 추출물 49.2%, 327 mg/100 g으로 물 추출물이 수율 1.7배, 폴리페놀 함량은 2.5배가량 높았다. 잎새버섯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메탄을 추출물에서 65.4%,물 추출물에서 76.3%으로 높았으나 SOD 유사활성능은 $1,000{\mu}g/mL$에서 $26.3{\sim}33.8%$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CE 저해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에서 41.2%,물 추출물에서 75.1%로 나타났다. Tyrosinase 억제 효과는 메탄을 추출물에서 31.8%, 물 추출물에서 42.5%이었다. 이상과 같이 메탄을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에서 생리적 기능이 높음을 확인하였기에 물 추출물을 음료 제조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잎새버섯 음료의 최적 배합비는 잎새버섯 물 추출물 0.5%, oligosaccharide 8.0%, green tea extract 2%, jujube extract 2%, solomon's seal extract 1.0%, vitamin C 0.01%, apple extract 2%이었으며, 이 때 최종 음료의 당도는 9.8 Brix, 색도는 L, $35.05{\pm}1.08;$ a, $3.24{\pm}0.19;$ b, $13.64{\pm}0.33$으로 나타났다.

대추 추출물이 첨가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Doraji-apple juice mixed with jujube extracts)

  • 김자민;문용선;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9-2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였으며,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즙, 대추추출물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제조하고 각각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는 3.90~4.15이었으며, 산도는 1.2에서 1.5 사이를 나타내었다. 당도를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은 값(9.33 $^{\circ}Brix$)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85.05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흑도라지 사과주스 B가 41.23 mg/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당산비 수치의 경우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6.9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706 ${\mu}g/mL$)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제조를 위해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주스, 대추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버섯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and Quality of Jellies using Mushrooms)

  • 정기태;주인옥;최정식;최영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05-410
    • /
    • 2001
  • 영지, 표고, 눈꽃동충하초 그리고 번데기동충하초를 이용한 버섯젤리의 제조와 제품의 색도, 물성 및 기호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버섯 젤리 제조를 위한 추출액의 적정혼합비율을 선발한 결과, 영지버섯 젤리는 버섯추출액 85%, 대추추출액 10%, 황기추출액 5%를 혼합했을 때, 표고버섯 젤리는 버섯추출액 80%, 대추추출액 10%, 감초추출액 5%, 오미자추출액 5%를 혼합했을 때, 눈꽃동충하초와 번데기동충하초 젤리는 버섯추출액 05%, 대추추출액 10%, 감초추출액 5%를 혼합했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젤화제 종류별로 버섯 추출액에 대한 응고 효과는 모든 버섯에 대해 carrageena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버섯 젤리의 색도는 carrageenan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고, hardness, gumminess, chewiness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관능은 젤화가 완전히 이루어지면서 hardness가 낮은 carrageenan 0.6% 첨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 PDF

UHPLC/TOFHRMS analysi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leaf extracts from Zizyphus jujuba in LPS-stimulated RAW264.7 cells

  • Hyun Ji Eo;Sun-Young Lee;Gwang Hun Park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27-33
    • /
    • 2023
  • Zizyphus jujube is a plant in the buckthorn family (Rhamnaceae) that has been the subject of research into antibacterial, antifungal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its fruit and seed.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its leaves.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ZJL (an extract of Z. jujube leaf) was evaluated to verify its potential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and SARS-CoV-2 medicine, using nitric oxide (NO) assay, RT-PCR, SDSPAGE, Western blotting, and UHPLC/TOFHRMS analysis. We found that ZJL suppresed pro-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cyclooxygenase-2 (COX-2), and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i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264.7 cells. ZJL acted by inhibiting NF-KB and MAPK signaling pathway activity. We also confirmed that ZJL contains a phenol compound and flavonoid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such as trehalose, maleate, epigallocatechin, hyperoside, catechin, 3-O-coumaroylquinic acid, rhoifolin, gossypin, kaempferol 3-neohesperidoside, rutin, myricitrin, guaiaverin, quercitrin, quercetin, ursolic acid, and pheophorbide 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ZJL may have great pot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anti-inflammatory drugs and vaccines via inhibition of NF-κB and MAPK signaling in LPS-induced RAW264.7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