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ice extrac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8초

추출 방법에 따른 포도 추출액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grape juice obtained with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김미향;곽현지;유병혁;김덕진;윤선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4-790
    • /
    • 2013
  • 가압가열추출(AE), 열수추출(HWE) 및 효소처리추출(EE) 방법으로 추출한 포도 추출액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가압추출액이 79.8%, 열수추출액이 82,3% 및 효소추출액이 92.6%로 효소 추출이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pH는 추출 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산도와 당도는 효소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색상에 있어서는 $a^*$$b^*$값은 효소 추출이 5.24 및 5.09로서 열수추출(3.79, 3.83)과 가압가열추출(1.83, 3.16)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L^*$값은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도는 효소추출이 42.1 cP 이었으며 가압가열추출과 열수추출보다 높았다. 유리당은 포도당과 과당의 함량이 높으며,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효소추출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사과산의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효소 추출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효소추출이 55.7 mg% 수준으로 가압추출 31.3 mg%와 열수추출 39.5 mg%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안토시아닌 함량은 효소추출이 22.1 mg%로 가압추출과 열수추출보다 2~4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DPPH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에 있어서 효소추출이 가압추출과 열수추출에 비하여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포도 추출에 있어 가압과 가열에 의한 방법보다 효소 처리에 의한 추출이 맛과 색소 성분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며 그에 따른 항산화 활성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Influence of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Broccoli Juice

  • Lee, Sung Gyu;Kim, Jin-Hee;Son, Min-Jung;Lee, Eun-Ju;Park, Woo-Dong;Kim, Jong-Boo;Lee, Sam-Pin;Lee, In-Se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2호
    • /
    • pp.133-138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broccoli juice as affected by extraction method. Broccoli juice was extracted using method I (NUC Kuvings silent juicer), method II (NUC centrifugal juicer), and method III (NUC mixer), and the quality properties of the broccoli juices were analyz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Additionally, the antioxidative, anticancer, and anti-hyperglycemic activities of broccoli juice prepared by the three differ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in vitro. The broccoli juice made by method I contained the highest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t 1,226.24 mg/L and 1,018.32 mg/L, respectively. Particularly, broccoli juice prepared by method I showed higher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ose of the other samples. Additionally, broccoli juice made by method I showed the highest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HeLa, A549, AGS, and HT-29 cancer cells. Broccoli juice prepared by method I had the highest ${\alpha}$-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important differences in chemical and functional qualities between juice extraction techniques.

추출온도가 황백당에 의한 매실액 추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on Temperature of Plum(Japenese Apricote) Extract Juice by Osmosis of Yellow Sugar)

  • 이상대;조숙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1-136
    • /
    • 1996
  • Even though plum is well known as a health food, the available processed food of it is quite limited.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find an easy processing method for leading to a value added product at farmhous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effects of temperature for plum extract juice by osmosis of yellow sugar. The plum was mixed with yellow sugar at equal ratio(w/w) to obtain yellowish extracted plum juice and then located in incubator at 15, 25, 35$^{\circ}C$, respectively. The sugar content of extract was high at the early period but decreased throughout extraction period and it was about 66.1~67.4$^{\circ}$Brix. The color difference was increased yellowish throughout the extract period. The pH of it was decreased throughout extract processing but citric acid content was increased. The speed of extraction during extraction processing was more rapid at 15$^{\circ}C$ than 3$0^{\circ}C$. However sensory evaluation score of taste and flavour was obtained at 15$^{\circ}C$ than 3$0^{\circ}C$, so the prefer temperature for plum extract juice by osmosis of yellowish sugar was 15~2$0^{\circ}C$.

  • PDF

효소처리에 의한 마늘 착즙액의 수율 및 향미성분변화 (Effects of Enzyme Treatments on Yield and Flavor Compounds of Garlic Extracts)

  • 신동빈;허우덕;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76-282
    • /
    • 2007
  • 마늘의 향미성분을 가급적 그대로 유지하고 착즙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착즙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착즙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rotopectinase와 복합요소(cellulase, pectinesterase 및 ${\beta}-glucanase$ 등이 혼합된 효소)를 마늘펄프로부터 1차로 착즙하고 남은 잔사에 적용하여 마늘주스의 수율증가율과 향미성분 변화를 측정하였다. 착즙 전 마늘펄프 무게에 대하여 효소를 0.04, 0.08 및 0.12%씩 가하여 30, 60, 90 및 120분간 각각 가수분해하였다. 마늘주스의 수율 증가는 최대수율에 도달할 때까지 효소의 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0.12%의 protopectinase를 첨가하여 90분간 가수분해하여 착즙한 결과 수율은 13.8%가 증가하였다. 복합효소를 0.12% 첨가하여 90분간 가수분해 후 착즙한 경우에는 최대수율인 14.5%의 증가효과가 있었다. GC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control)와 총 피크면적으로 계산하여 비교할 경우 감소하였다. 0.12%의 protopectinase를 가하여 60분간 분해 후 제조한 마늘 주스의 휘발성 향기성분 향량은 약 6%가 감소하였다. 마늘주스의 유리당 함량은 0.12%의 protopectinase를 가하여 60분간 분해후 제조한 마늘 주스가 대조구와 가장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사용한 효소의 종류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0.12%의 protopectinase를 마늘착즙잔사에 가하여 60분간 분해 후 착즙한 액을 마늘펄프로부터 직접 착즙한 액과 혼합하면 착즙수율을 최대로 증가시키고 향미 성분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스착즙 방식에 따른 당근 주스의 품질 특성 변화 (Effect of extraction method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arrot juice)

  • 박혜정;김지윤;이송민;김희숙;이상현;이문현;장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9-378
    • /
    • 2019
  • 본 연구는 원심분리형, 외기어 방식 그리고 쌍기어 방식과 같은 착즙 방법에 따른 당근 주스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신선한 주스의 품질은 착즙률, 영양성분 및 층 분리 안정성을 통해 평가되었다. 쌍기어 착즙 방식은 가장 높은 착즙률을 보였다. 게다가 당근 주스의 미네랄 함량은 쌍기어 착즙방식으로 제조된 당근 주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유일하게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 100 g의 당근으로부터 1일 권장 섭취량 이상의 ${\beta}$-carotene이 얻어졌다. 더욱이 당근 주스의 입자 크기가 가장 작게 나타난 것은 쌍기어 방식의 착즙이었고 다음으로 외기어 방식과 원심분리형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쌍기어 방식의 착즙을 최적의 방법으로 선정하고, 이를 이용해 당근 주스의 항산화 활성 및 대사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근 주스는 ${\alpha}$-tocopherol 보다 더 높은 지질과산화 저해율을 보였으며, 위장과 소장 소화를 거치면서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저해 활성이 증가되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의 정미성분 및 항산화 특성 (Taste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in Extracts of Angelica keiskei and Oenanthe javanica Juice By-Products According to Extraction Methods)

  • 이현정;유하나;이현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17-527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추출 수율 및 소재의 풍미를 높일 수 있는 EE와 CE를 통해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을 제조하여 추출물의 정미 성분인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당류와 항산화 특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 TPC, TFC를 비교분석하여 명일엽과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의 업사이클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명일엽 착즙박은 EE가, 돌미나리 착즙박은 CE가 더 높은 추출 효율을 가졌으며, 착즙 전 원물로 제조한 추출물에 비해 높은 추출 효율을 나타냈다. AKEE의 주요 아미노산은 leucine, alanine, aspartic acid, AKCE의 주요 아미노산은 valine, alanine, aspartic acid 이다. OJEE의 주요 아미노산은 leucine, aspartic acid, arginine, OJCE의 주요 아미노산은 valine, aspartic acid, arginine으로 추출물의 특성에 맞게 사용한다면 식품의 풍미 향상과 더불어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기산과 당류 함량은 명일엽, 돌미나리 착즙박 공통적으로 CE의 추출 효율이 높았다. 추출방법에 따라 유기산 및 당류의 조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신맛과 단맛의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며 산도 조절과 같은 기능적 특성도 예상할 수 있다. DPPH 라디칼 소거능과 TPC 함량은 명일엽, 돌미나리 착즙박 공통적으로 CE의 추출 효율이 높았다. 이는 CE에 사용한 에탄올과 페놀성 화합물이 반응하여 추출 함량이 증대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폴리페놀 함량이 높아질수록 DPPH라디칼 소거능이 높아지고 있어 양의 상관관계 성립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하지만 착즙 전 원물 추출물 대비 착즙박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다소 낮은 수준이므로 사용량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TFC 함량은 명일엽 착즙박 추출물은 CE 대비 EE 에서 더 높은 추출 효율을 가지지만, 돌미나리 착즙박 추출물에서는 EE와 CE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게 나타났다. 이는, 착즙박 추출물에 가해진 효소의 활성 조건이 착즙박의 세포벽 결합 구조를 파괴하여 플라보노이드의 추출을 유도할 때 AKEE에서는 적합하였지만, OJEE에서는 부적합하여 다른 경향의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명일엽과 돌미나리 녹즙 제조 후 생성되는 착즙박을 활용한 추출물의 정미 성분과 항산화 특성을 분석하였고 고부가가치 소재의 이용성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용화를 위한 구체적 연구개발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Blending and Juicing on the Phytochemicals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Typical Korean Kernel Fruit Juices

  • Pyo, Young-Hee;Jin, Yoo-Jeong;Hwang, Ji-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2호
    • /
    • pp.108-114
    • /
    • 2014
  • Four Korean kernel fruit (apple, pear, persimmon, and mandarin orange) juices were obtained by household processing techniques (i.e., blending, juicing). Whole and flesh fractions of each fruit were extracted by a blender or a juicer and then examined for phytochemical content (i.e., organic acids, polyphenol compounds). The antioxidant capacity of each juice was determined by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ssays. Results revealed that juices that had been prepared by blending whole fruits ha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and contained larger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than juices that had been prepared by juicing the flesh fraction of the fruit.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ascorbic acid in apple, pear, and mandarin orange juices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juice that had been processed by juicing, rather than blending. The juices with the highest ascorbic acid (233.9 mg/serving), total polyphenols (862.3 mg gallic acid equivalents/serving), and flavonoids (295.1 mg quercetin equivalents/serving) concentrations were blended persimmon juice, blended mandarin orange juice, and juiced apple juice,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juice extraction techniques significantly (P<0.05) influences the phytochemical level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 juices.

배주스의 휘발성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Pear Juice (Pyrus pyrifolia cv. Niitaka))

  • 김미영;서원호;황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90-896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Shingo pear juice.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analyzed using 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 -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effect of inorganic salts solution on the extraction ability of the SPME fiber was treated by adding saturated $CaCl_2$ solution at the ratio of 1:20 (v/v) after 0, 60, 120 min of preparing pear juice, respectively. As a result, a total of 22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Shingo pear juice. Ethyl acetate was found to be the most abundant volatile compound ($13.36{\sim}19.61{\mu}g/kg$), followed in order by hexanal, ethyl hexanoate, ethyl 3-(methylthio)-2-propenoate, ethyl octanoate and 2-hexenal. Total content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were $31.07{\mu}g/kg$ (control), $40.93{\mu}g/kg$ (0 min), $27.62{\mu}g/kg$ (60 min) and $26.32{\mu}g/kg$ (120 min).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saline solutions could inhibit the enzymatic reac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effectively when treated as soon as juice preparation.

Heterologous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Exo-Polygalacturonase from Aspergillus fumigatus Af293 and Its Application in Juice Extraction

  • Chengwei Yang;Ting Zhang;Jing Zhu;Yunyi Wei;Furong Zhu;Zhong Che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4호
    • /
    • pp.533-542
    • /
    • 2023
  • Exo-polygalacturonase (exo-PG) hydrolyzes pectin acids and liberates mono-galacturonate,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juice extraction, and has rarely been reported. Exo-PG (AfumExoPG28A) from Aspergillus fumigatus belongs to the glycoside hydrolase 28 family. In this study, its gene was cloned and the protein was expressed and secreted in Pichia pastoris with a maximal activity of 4.44 U/ml.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of AfumExoPG28A were 55℃ and 4.0, respectively. The enzyme exhibited activity over almost the entire acidic pH range (>20.0% activity at pH 2.5-6.5) and remained stable at pH 2.5-10.0 for 24 h. The Km and Vmax values of AfumExoPG28A were calculated by the substrate of polygalacturonic acid as 25.4 mg/ml and 23.6 U/mg, respectively. Addition of AfumExoPG28A (0.8 U/mg) incr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juice yield of plantain pulp by 11.7% and 9%, respectively. Combining AfumExoPG28A (0.8 U/mg) with an endo-PG (0.8 U/mg) from our laboratory, the enzymes increased the light transmittance and juice yield of plantain pulp by 45.7% and 10%, respectively. Thus, the enzyme's potential value in juice production was revealed by the remarkable acidic properties and catalytic activity in fruit pulp.

고체상 추출법(SPE: Solid Phase Extraction)을 이용한 국내 사과주스 중 Patulin 간편.신속 분석방법 (Rapid and Simple Analytical Method for Removing Patulin from Apple Juice Using Solid Phase Extraction)

  • 임종갑;장혜원;이광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57-262
    • /
    • 2010
  • Patulin은 곰팡이의 이차 대사산물로 주로 썩은 사과의 병반에서 발견된다. 사과주스 중에 포함된 patulin에 대한 실험법은 LLE법을 이용한 방법이 대부분이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SPE 법을 통한 사과주스 중 patulin 분석법을 본 연구에서 시행하였다. 시료인 사과주스를 다공성 중합체인 고체상 카트리지에 주입한 후 1% sodium bicarbonate 용액 5 mL와 1% acetic acid 5 mL를 차례로 흘려 방해물질 등을 제거해준 다음 정제가 끝난 카트리지를 상온에서 1시간 정도 방치한 후 ethyl acetate/ethyl ether 5 mL를 이용해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액을 질소 농축기를 이용해 완전 농축한 후 1% acetic acid 용액 0.5 mL를 넣고 혼합 후 syringe filter로 여과하여 amber vial에 보관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HPLC 분석에 사용된 이동상은 THF 8 mL를 1 L 정용 플라스크에 넣고 물로 채워 사용하였다. HPLC 분석조건은 이동상을 0.7 mL/min 유속으로 흘려 27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샘플주입은 $20\;{\mu}g/L$로 하였다. LOD는 30 ng/mL 수준이었다. 실험 결과 SPE 법은 기존의 식품공전시험법(LLE)보다 분석시간이 1/3로 줄어들었고, 적은 양의 용매만으로 추출 및 정제가 가능하였으며 실험과정이 간단하여 공전의 방식보다 손쉽게 분석할 수 있었다. 특히, strata-X를 통한 SPE 추출방법은 재연성과 회수율 또한 우수해 저 농도 분석에도 적합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 분석법에 비해 신속하고 간소하며 정확한 정량분석 및 우수한 회수율과 신뢰도를 얻을 수 있어 다량의 분석을 요하는 연구기관 및 단체에 매우 효율적일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