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s to housing ratio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수도권의 직주균형과 통근통행의 변화: 2005-2010년 (The Changes of Job-Housing Balance and Commuting Trip in Seoul Metropolitan Area: 2005-2010)

  • 손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90-404
    • /
    • 2014
  •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종사자수와 취업자수를 지표로 직장과 주거지의 일치현상을 고찰하고 직주비와 통근통행간의 관계를 탐색한 것이다. 수도권에서는 2005~2010년 사이에 도시의 중심지기능을 수행해 온 도심지역에서 종사자수가 감소하고 인구증가 현상이 둔화되었고, 경기도가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면서 고용과 인구의 교외화현상이 진행되었다. 수도권에서는 종사자수에 비해 취업자수의 증가현상이 두드러지면서 취업자수 초과현상이 심화되었고, 이는 직주비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경기도에서의 직주불균형이 심화되었다. 사무직, 판매직, 전문직 등에서는 직주불균형이 개선된 지역이 많았지만, 단순노무직과 서비스직에서는 직주불균형이 심화된 지역이 많았다. 직종별로는 업무중심지일수록 더 많은 수의 직종에서 직주불균형이 개선되었다. 직주비가 높은 지역일수록 통근통행의 자족도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다른 지역에서 유입되는 역외유입통행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았다. 종사자수가 취업자수에 비해 월등하게 많았던 주요 고용중심지에서는 직주비와 역외유입통행률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외국인 통근 특성에 따른 지역 유형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ing Regional Typ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Foreigner Commuting)

  • 류주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39-354
    • /
    • 2009
  • 외국인의 분포패턴에 대한 연구는 특정 입지에 집중 분포하는 경향과 직주일치하는 경향으로 인해 매우 단순하고 제한적이었으나, 점차 그들의 거주지가 확대되고 직주불일치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주일치경향을 보이는 외국인 통근자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통근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과 직주불일치경향을 나타내는 예외적인 지역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근일반형은 역내통근율 비중이 높으며, 외국인노동자의 보편적 특성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비율이 높은 통근유입형은 유출되는 통근자가 근거리 통행을 하는 반면 유입되는 통근자는 상대적으로 원거리 통행을 하며, 전문직 종사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비율이 낮은 통근유출형은 유출되는 통근자가 원거리 통행을 하는 반면 유입되는 통근자는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행을 하고 있다.

수도권 신도시 개발이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에 미친 영향 (The Influence of New Town Development on the Changes of the Migration and Commuting Patterns in the Capital Region)

  • 이희연;이승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61-579
    • /
    • 2008
  • 서울로의 인구밀집화는 만성적인 서울의 주택난을 가져왔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 주변에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수도권의 신도시 개발에 따른 인구이동과 통근통행패턴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특히 신도시들이 성장하면서 자족성이 커져서 통근통행 패턴의 변화를 일으키는지 또는 여전히 서울에 의존적인 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지난 10년 동안 이루어진 신도시 및 대규모 택지개발은 인구이동 패턴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으며, 주거지 이주 목적으로 이루어진 인구이동은 통근통행패턴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개발사업이 경기북부로 확대되어 나감에 따라 인구이동 흐름도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되고 통근통행패턴도 변화되면서 서울대도시권이 광역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동안 신도시들의 자족수준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시간이 지나면서 자족수준이 높아져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도시들이 경제적 기능을 점차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고 보이며, 이는 향후 수도권의 새로운 고용중심지로 부상될 잠재성을 갖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향후 신도시의 직주불균형을 완화하고 자족성을 높이는 정책은 수도권의 교통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씨 괼 수도 있을 것이다.

한국의 80~90년대 소득분배와 대규모 주택공급정책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utua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Income Distribution during 1980s-1990s and Huge-scale Housing Supply Policy)

  • 임재빈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3호
    • /
    • pp.11-19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rovement of the income distribution index from the late 1980s to the 1990s and large-scale housing supply projects such as the 2 millio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Looking at Korea's economic development in terms of income growth and distribution, GDP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especially in the late 1980s. The Gini Index, a representative income inequality index, rapidly deteriorated in the early 1970s, and gradually improved from the late 1980s. The 2 millio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announced in 1988, supplied a third of the existing nationwide housing stock of 6.5 million units in three years. The project cost was 65 trillion won, equivalent to 50% of Korea's GDP at the time. This study questioned whether the ratio of the number of employed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a variable directly affecting the Gini Index. To verify thi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ortion of employed workers in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and the Gini Index from 1979 to 2008 was statistically analyzed. For this, the ARIMA model was established for each variable, and the correlation of their residuals was verified. The 2 million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had the effect of improving income inequality in terms of rising wages for production workers and creating jobs for the low-educated and low-income class. During the project period, the number of middle-income earners increased sharply, and the income gap between the high-income and low-income earners greatly decreased. The expansion of the construction volume can be used as a powerful and direct policy tool for improving income distribution. However, the effect may be limited. When the proportion of workers exceeds the threshold, the effect is weake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