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ting Regional Typ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Foreigner Commuting

외국인 통근 특성에 따른 지역 유형별 비교 연구

  • Ryu, Ju-Hyu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류주현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many implications of commuting regional typ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foreigner commuting. Research on the pattern of distribution of foreigners has been very simple and limited because foreigners usually lived together in a specific area, and their workplace often tended to be their residence. However they currently live dispersed more Widely, and their job and housing increasingly tend to be mismatched. This study divided areas inhabited by foreigners into general one characterized by job-housing match and exceptional one characterized by job-housing mismatch, and then examined the features of foreigner commuting. General commute type showed a high rate of intra area commute and foreign workers' universal features. Inflow commute type showing high E/R ratio. In these areas, outflow commuters had a short journey to work while inflow commuters had relatively a long journey to work, and professionals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of employees. Outflow commute type showing low E/R ratio. In these areas, outflow commuters had a long journey to work while inflow commuters had a relatively short journey to work. The composition ratio of three commute typ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nationality and visa type.

외국인의 분포패턴에 대한 연구는 특정 입지에 집중 분포하는 경향과 직주일치하는 경향으로 인해 매우 단순하고 제한적이었으나, 점차 그들의 거주지가 확대되고 직주불일치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주일치경향을 보이는 외국인 통근자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통근 특성을 나타내는 지역과 직주불일치경향을 나타내는 예외적인 지역으로 분류하여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았다. 통근일반형은 역내통근율 비중이 높으며, 외국인노동자의 보편적 특성이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비율이 높은 통근유입형은 유출되는 통근자가 근거리 통행을 하는 반면 유입되는 통근자는 상대적으로 원거리 통행을 하며, 전문직 종사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고용비율이 낮은 통근유출형은 유출되는 통근자가 원거리 통행을 하는 반면 유입되는 통근자는 상대적으로 근거리 통행을 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춘령, 2008, 수도권 맞벌이 가구의 가구 특성 및 통근통행 행태 변화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철홍.이전, 1997, '경남 서부지역의 중심지 세력권 변화와 주민 통근형태 연구,'한국지역지리학회지, 3(1), 13-34
  3. 김강수.정경옥, 2004,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대도시 통근·통학 특성분석, 교통개발연구원
  4. 김순화, 2004, 우리나라 도시 거주자의 통근형태 변화 결정요인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석사논문
  5. 류주현, 2008, '외국인 근로자와 결혼이주자의 공간적 특성 및 스케일 소외지역, '한국지역지리학회 하계학술대회자료집, 160-162
  6. 류주현, 2009, '수도권 외국인 노동자의 직주거리에 관한비교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2(1), 77-90
  7. 박배균, 2003,'세계화와 잊어버림의 정치: 안산시 원곡동의 외국인 노동자 거주지역에 대한 연구,'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73-176
  8. 변현진, 2004, 이주노동자 조직의 형성과 활동, 충북대학교 석사논문
  9. 손승호, 2003, '수도권의 통근통학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69-83
  10. 손승호, 2004, '서울시 등질지역과 기능지역의 구조분석,' 대한지리학회지, 38(4), 562-584
  11. 손승호, 2008,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분포 변화와 주거지 분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1), 19-30
  12. 양정윤, 2008, 외국인노동자의 직주거리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금연, 2001, 국내여성이주노동자의 차별실태와 복지욕구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논문
  14. 이번송, 1998, 서울 거주자의 통근거리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 33(3), 241-263
  15. 이용균, 2007, '결혼 이주여성의 사회문화 네트워크의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2), 35-51
  16. 이종상, 2008,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수도권 공간구조와 그 변화: 1995-2005년,'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3), 91-100
  17. 이희연.김흥주, 2006,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수도권의 공간구조변화, 1980-2000년,' 국토계획, 41(1), 91-111
  18. 이태정, 2004,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배제 연구- 안산시'국경 없는 마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19. 정환영.백종렬, 1999, 우리나라의 통근·통학권 설정, 지역개발연구논총, 7(1), 97-118
  20. 진종헌, 1994, '직장과 주거지의 입지적 상호의존관계에 관한 연구,' 地理學論叢, 24(1), 175-196
  21. 최재헌.강민조, 2003,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17-30
  22. 허우긍, 1991, '서울의 통근과 주거지 선택,' 지리학, 26(1), 46-61
  23. Clark, W. A .V. and Huang, Y., 2004, Black and white commuting behavior in a large southern city: evidence from Atlanta, Geographical Analysis, 36(1), 54-68 https://doi.org/10.1353/geo.2003.0019
  24. Johnston, I., 1988, The journey to work and occupational segregation, Urban Geography, 9(2), 138-154 https://doi.org/10.2747/0272-3638.9.2.138
  25. Madden, J. F., 1981, Why women work closer to home, Urban Studies, 18, 181-194 https://doi.org/10.1080/00420988120080341
  26. Plane, D. A., 1981, The geography of urban commuting fields: some empirical evidence from New England, Professional Geographer, 33(2), 183-188
  27. Rose, D. and Villeneuve, P., 1988, Gender and the separation of employment from home in metropolitan Montreal, 1971-1981, Urban Geography, 9(2), 155-79 https://doi.org/10.2747/0272-3638.9.2.155
  28. White, M. J., 1977, A model of residential location choice and commuting by men and women worker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7, 41-51 https://doi.org/10.1111/j.1467-9787.1977.tb00471.x
  29. http://www.immigration. go.kr/
  30. http://www.nso.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