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performance level

검색결과 471건 처리시간 0.028초

치과환자 및 보호자가 인지한 치과위생사 이미지 (A Study on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al Patients and Caregivers)

  • 강부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97-2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396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o visited 14 dental hospitals and dentists' offices in and around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The people investigated gave a mean of 4.0 to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Dental hygienists rated highest in terms of looking neat and tidy(4.33), and were given the lowest marks in arbitrary job performance(3.46). 2. There appeared four different types of dental hygienist images, which made a 59.824 prediction of th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general. A typical image(4.11) was most dominant, followed by professional one(4.07), personal one(4.01) and social one(3.73). 3. The rela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ir image of dental hygienists could be described as below: 1) By age, those who were in their 60s(4.12)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teenagers(3.90) had the worst image of them. 2) By gender, the men(4.05) looked at dental hygienists more positively than the women(3.96). They had a significantly different opinion on the soci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gender(pE0.05). 3) By marital status, the married people(4.00) had a bette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the unmarried ones(3.95). 4) As for the influence of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 they had a more favorable image of dental hygienists in dentists' offices(4.13) than in dental hospitals(3.88). There was a broa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ay they looked at the professional and person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the type of dental institutions(pE0.001). 5) As to the impact of educational level, those who received community-college or higher education(4.01)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ose who received middle-school or lower education(3.91) had the worst image of them. 6) By occupation, the government workers and students(4.07)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e company employees(3.90) had the worst image of them. They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social image of dental hygienists according to occupation(pE0.05). 7)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frequency of receiving dental treatment, the respondents who had received it seven times or more(4.16) had the best image of dental hygienists, and those who hadn't(3.79) the worst image of them. There was a wide significant gap according to that frequency. The way they looked at the typical, social and professional images of dental hygienists was quite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at frequency as well(pE0.001). 8) As for the influence of whether they were accompanied by caregivers or not, the people who weren't accompanied by caregivers(3.99) had a better image of dental hygienists than those who were(3.97).

  • PDF

계산 과학 응용을 위한 과학 워크플로우 통합 수행 환경 설계 (A Design of Integrated Scientific Workflow Execution Environment for A Computational Scientific Application)

  • 김서영;윤경아;김윤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7-44
    • /
    • 2012
  • 빠르게 발전하는 컴퓨팅 기술에 비례해서 컴퓨팅 기기의 이용이 더욱 편리해짐에 따라 계산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은 점점 더 컴퓨팅 기술에 의존하고 있으며 더욱 계산 집약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계산 과학 연구자들의 연구 환경 지원을 위하여 전 세계적으로 e-사이언스 환경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여전히 연구자의 실험 환경과 컴퓨팅 자원간의 별도의 설정과 설치 과정이 필요 없는 자유로운 연구 환경에 대한 보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산과학 분야의 연구자들의 실험 환경을 분산된 고성능 컴퓨팅 인프라와 함께 웹 브라우저를 통해 쉽게 접근 가능한 과학 워크플로우 통합 수행 환경을 제시한다. 이 환경에서는 워크플로우 설계 툴을 통해 정의된 순서와 작업 특성을 고려하여 분산된 그리드 자원에 제출함으로써 작업들에 대한 자동화된 수행을 제공한다. 포탈을 통해 제공되는 워크플로우 설계 툴은 사용이 용이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실시간으로 워크플로우의 실행 상태를 모니터링 서비스를 통해 제공한다. 사용자는 워크플로우의 실행에서의 중간 결과를 확인하고 수행의 흐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로써 복잡한 HTC 기반의 실험 수행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연구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치과기공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연구 - 서울지역 근무자에 한하여 - (A Study on the Dental Technicians' Professional Self-Concept - Centering on the Dental Technicians in Seoul Area -)

  • 이혜은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5-47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ake dental technician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ir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devise the educational programs and policies of establishing their positive professional self-concept.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tried to present some improvement measures for dental technicians' actual services by examining their job satisfacti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 of study subjects' self-concept is 3.41($\pm$.58) (perfect score=5), middle or high in rank. As for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by realms, the self-concept of communication is 3.59($\pm$.67), the highest; the self-concept of leadership in the realm of professional service is 3.54($\pm$.75); the self-concept of skills is 3.50($\pm$.75); the self-concept of adaptability is 3.47($\pm$.69); and the recognizant level of satisfactory self-concept is 2.95($\pm$.81), below the normal.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variables as age, marital states, and the length of one's servi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recognition of self-concept. First, the self-concept of those whose age is between 31 and 35 is the highest (3.64$\pm$.49), and it is followed by that of those whose age is 36 and above (3.57$\pm$.77) and then that of those whose age is between 26 and 30 (3.31$\pm$.56)). And that of those whose age is below 25 is the lowest. The obove results show us that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older study subjects is higher than that of younger ones in general(p<.01). As for marital states, that of married persons(3.54$\pm$.64) is higher than that of unmarried ones(3.35$\pm$.55)(p<.05). As for the length of one's service, that of longtime employees is higher than that of short-period workers(p<.01). In relation to positions, a manager's professional self-concept is the highest(3.89$\pm$.55) and that of an assistant technician is the lowest(3.17$\pm$.58). Study findings show that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higher ranking technicians is higher than that of lower ones in general (p<.001).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he investigator suggests followings: First, studies on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that is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technicians must be carried out with a new point of view. Second, a tool must be researched and developed in order for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dental technicians to be measured. Third, if a new professional self-concept is established and a measuring tool is developed,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technicians'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practice performance can be carried out again.

  • PDF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정도 (Pain Management Knowledge, Attitudes, and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조현주;권소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9권4호
    • /
    • pp.322-330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 태도, 수행정도를 파악하여 추후 요양병원 통증관리 교육을 설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4개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20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통증관리 지식과 통증관리 태도는 원래 연구도구는 Watt-Watson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통증관리 수행정도는 요양병원에서의 통증관리 가이드라인들을 근거로 연구자가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 통증관리 지식은 40점 만점 평균 26.2점이었다. 가장 많이 틀린 문항은 통증의 주관성에 대한 항목으로 '통증에 따르는 환자의 생리적, 행동적 반응을 보고 통증의 유무와 강도를 파악할 수 있다(89.2%)'였고, 56.7%는 내성의 증가는 마약성 진통제 중독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였다. 통증관리 태도와 실무에 관해서는, 80.2%가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환자에게 위약을 사용한다고 하였고, 위약사용은 간호사가 두 번째로 자주 사용하는 통증관리 방법이었다. 결론: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통증관리 지식이 낮고 태도가 부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증관리 실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양병원 간호사들에게 통증관리 교육, 특히 통증의 속성과 위약남용에 대한 교육이 시급하다.

대학 특성화 사업 성과에 관한 연구-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chievements of Characterized Education for Healthcare Data Science Initiative)

  • 박화규
    • 서비스연구
    • /
    • 제9권3호
    • /
    • pp.87-99
    • /
    • 2019
  • 본 소고는 '대학 특성화 사업'의 헬스케어분야에 선정된 순천향대학교의 CK-1 사업단의 보건의료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특성화 프로그램인 HDSI 성과에 관한 연구이다. 현 대학들의 HDSI 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활성화를 위한 지원정책은 미진하나 해외 경우 전문인력 양성교육 및 과정 개발등 에 특성화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HDSI 국내 인력양성 프로그램은 기업과의 멘토링·사례 공유 등 단기적 콘텐츠 위주로 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기업에서 요구하는 기술수준과 직무능력에 맞춘 교육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CK-1 사업단에서는 현재 대학의 HDSI 보건의료의 IT 교육이 급변하는 환경과 현실 간 괴리가 있음을 판단하고, 실무중심의 특성화 산학연계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활성화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여 1) 실무형 Field Inside 교육 2) 융합형 트랙교육, 3) 회복탄력성 및 변화대응력 강화 교육의 3가지 특화전략을 갖고 추진되었다. 이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우수사업단으로 선정되었고, 종합평가에서 A등급을 받아 매우 유의미한 연구 성과로 인정받았다. 더불어, 본 특성화프로그램에 참여 학생들은 설문분석과 결과지표 분석을 통해, 만족도 유의미하게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HDSI 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을 통해 특성화 사업의 과정, 결과와 성과를 비특성화 사업 참여 대학 및 일반에 알림으로서 CK-1 정책이 대학 경쟁력 강화에 얼마만큼 기여하고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직업훈련이 조직몰입의 영향에 관한연구 -자격증 취득자 중심으로- (Vocational Training Study on th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Certification of Qualification-)

  • 이재규;김경화;윤이중;임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7호
    • /
    • pp.23-29
    • /
    • 2012
  • 본 연구는 자격증 취득이 조직몰입과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직업교육훈련생의 인구사회학적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변인에 따른 조직몰입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여자보다는 남자가, 연령대는 20대가 학력수준은 고졸 그리고 결혼유무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업훈련경로와 연령에 관한 차이분석에서는 20대 16명(31.4%), 30대 14명(27.5%), 40대(33.3), 50대 3명(5.9%), 60대 1명(2.0%)로 순으로 나타났으며 훈련생들은 5~6시간 장시간 교육받은 것을 선호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정서적 규범적 몰입에서 높은 조직 몰입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로는 40대와 50대가 조직몰입이 20대와 30대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격증만족도와 훈련만족도는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격증훈련은 조직몰입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격증취득 후 만족도는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상기 수치는 정책당국의 대책마련에 시사점 줬다는데 의미가 있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대학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을 위한 중요도분석연구 (An Importance Analysis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4-year College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Curriculum)

  • 김재경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17-129
    • /
    • 2017
  •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과 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에서 제시된 학습모듈을 파악하고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NCS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두 전문가 그룹인 대학교수와 정보시스템개발자를 대상으로 NCS의 응용SW엔지니어링 분야에 속한 26개 능력단위의 중요도를 계층화분석과정을 통해 능력단위별로 쌍대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들에 상대적 중요도는 요구사항 확인하기, UI요구사항확인하기, 물리데이터저장소설계하기, 개발자통합테스트하기와 개발자결함조치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초 중급개발자 그룹은 시스템개발 이행단계에 속한 능력단위요소를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고급개발자 그룹은 이론중심의 설계와 관련 있는 능력단위요소를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자 그룹은 두 개발자 그룹이 각각 중요하다고 판단한 실무 및 이론적 내용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개발 관련 직무수행역량의 함양과 교육의 질적 제고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NCS업무처리능력군이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NC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성행남;조동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3호
    • /
    • pp.137-15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전문대학 학생의 NCS 업무처리능력군(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진로효능감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이 진로효능감과 진로결과기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하기 위함이다. 사회인지진로이론 및 자기효능감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영향요인으로 진로효능감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업무처리능력군 중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업무처리능력군 중 기술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학과 차원의 행정지원과 교수자의 상담 및 멘토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과과목의 개설과 교수평가 지표 항목의 개발 등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해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이 진로효능감에 미치고 이는 다시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기에 해당 능력과 관련된 비교과목의 개설 및 특화 및 특강 프로그램을 위한 준비와 진행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사서학습공동체 도입 가능성 탐색 및 운영 모델 제안 (Suggesting an Operating Model and Exploring the Feasibility of a Librarian Learning Community)

  • 정영미;이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9-97
    • /
    • 2024
  • 사서의 직무수행 전문성과 미래지향적 역량 개발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서 전문교육훈련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사서학습공동체의 도입 가능성을 검토하고 적절한 운영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1)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사서학습공동체 개념, 운영 단계, 유형 등 학습공동체 운영에 관한 이론적 논의, 2) 시범 운영을 통한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가능성 탐색 및 시사점 도출, 3)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모델 및 지원 체계 제안. 본 연구는 시범 운영 과정에서 참여 관찰 및 참가자 의견수렴을 통해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모델을 검토하여 시행 초기의 혼란을 최소화하고, 향후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운영 로드맵 및 지원체계를 함께 제시하였다. 향후 여러 해에 걸친 시행과 실증적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서학습공동체 운영 모델을 더욱 정교하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타분야 전문직 교육훈련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초기 운영 모델로도 유용할 것이다.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Regarding Casino Operations Management)

  • 김동연;오승균;구자길;김진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3-163
    • /
    • 2014
  • 이 연구는 '13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매뉴얼과 국가직무능력표준 개정 분류체 계표에 근거하여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개발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단계별 연구 범위와 직무분석기법인 데이컴(DACUM) 절차에 의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전문가인 산업현장전문가, 교육훈련전문가, 자격(직무분 석)전문가, 퍼실리테이터 및 실무 검증위원인 워킹그룹과 함께 총 10차례 검토 협의 수정 보완 보고 절차 단계를 거쳐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개발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직무능력표준 개정 분류체계 표에 근거하여 카지노운영 직무 선정과 직무를 정의하였고 직무를 토대로 총 8개의 능력단위를 도출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능력단위를 근거로 총 27개의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를 도출 개발하였다. 셋째, 국가직무능력표준 수준 및 개정 분류체계표에 근거하여 능력단위요소별 수준 체계를 개발하였고 이들 능력단위요소별 수준 평정값을 이용하여 상위 영역인 능력단위별 수준 체계를 합의 도출하였다. 이에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에 따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의 개발 지침에 근거하여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분류번호를 제시하였다. 넷째, 능력단위 범위를 기준으로 총 27개의 해당 능력단위요소별 수행준거와 지식 기술 태도를 도출 개발하였다. 다섯째, 카지노운영관리 직무에 기초한 총 8개의 해당 능력단위에 근거하여 적용 범위 및 작업 상황, 평가 지 침, 직업기초능력 등을 협의 도출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