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vanica

검색결과 231건 처리시간 0.034초

Influence of Additives on the Yield and Pathogenicity of Conidia Produced by Solid State Cultivation of an Isaria javanica Isolate

  • Kim, Jeong Jun;Xie, Ling;Han, Ji Hee;Lee, Sang Yeob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46-352
    • /
    • 2014
  • Recently, the Q biotype of tobacco whitefly has been recognized as the most hazardous strain of Bemisia tabaci worldwide, because of its increased resistance to some insecticide groups. As an alternative control agent, we selected an Isaria javanica isolate as a candidate for the development of a mycopesticide against the Q biotype of sweet potato whitefly. To select optimal mass production media for solid-state fermentation, we compared the production yield and virulence of conidia between 2 substrates (barley and brown rice), and we also compared the effects of various additives on conidia production and virulence. Barley was a better substrate for conidia production, producing $3.43{\times}10^{10}$ conidia/g, compared with $3.05{\times}10^{10}$ conidia/g for brown rice. The addition of 2% $CaCO_3+2%$ $CaSO_4$ to barley significantly increased conidia production. Addition of yeast extract, casein, or gluten also improved conidia production on barley. Gluten addition (3% and 1.32%) to brown rice improved conidia production by 14 and 6 times, respectively, relative to brown rice without additives. Conidia cultivated on barley produced a mortality rate of 62% in the sweet potato whitefly after 4-day treatment, compared with 53% for conidia cultivated on brown rice. The amendment of solid substrate cultivation with additives changed the virulence of the conidia produced; the median lethal time ($LT_{50}$) was shorter for conidia produced on barley and brown rice with added yeast extract (1.32% and 3%, respectively), $KNO_3$ (0.6% and 1%), or gluten (1.32% and 3%) compared with conidia produced on substrates without additives.

미나리 및 부추의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의 지질 함량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and Allium tuberosum on Lipid Content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송원영;최정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2-30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 흰쥐에서 미나리 및 부추가 혈청 및 간조직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군을 5군으로 나누어 정상 식이군(N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HF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를 5% 첨가한 군(OP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부추를 5% 첨가한 군(AP 군),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에 미나리와 부추를 각각 2.5% 첨가한 군(OAP 군)으로 나누었다. 혈중의 중성지방 농도는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HF 군에 비해 OP 및 AP 군에서 유의적이지는 않았지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특히 OAP 군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이 N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감소하였다. H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증가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LDL-콜레스테롤은 함량은 HF 군에 비해 OP 군과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어졌다. AI의 경우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에서 감소하였고, 특히 OAP 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조직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HF 군에 비해 미나리 및 부추 공급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분변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N 군에 비해 HF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미나리 및 부추의 공급군에서 HF 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어졌다. 또한 OP 군에 비해 AP 군 및 OAP 군에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미나리 및 부추는 지질대사 조절에 효과적으로 작용되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미나리와 부추의 복합공급은 이러한 체내 지질조절에 상승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 (Sclerotinia Rot on Water Cress (Oenanthe javanica) Caused by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진혁;신순선;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9권2호
    • /
    • pp.85-88
    • /
    • 2003
  • 2002년 12월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 비닐하우스 밭미나리 재배포장에서 미나리 잎과 줄기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부위에 흰색 곰팡이와 균핵이 발생하는 이상증상이 발생했다. 균총은 무색에서 흰색을 띠면서 초코렛색으로 된다. 균핵은 병반부와 PDA 배지 모두 검은색의 구형, 타원형 또는 불규칙한 모양이었으며, 크기는 1.0~10.7 ${\times}$1.0~7.6 mm 이었다. 자낭반은 컵모양으로 크기는 0.4~1.6cm이었다. 자낭은 원통형으로 자낭안에 자낭포자가 8개 들어있으며, 크기는 74~236 ${\times}$4.2~24.8 $\mu\textrm{m}$ 이었다. 자낭포자는 타원형으로 단세포이며 무색이다. 크기는 8.3~$12.4{\times}3.6$~7.2 $\mu\textrm{m}$ 이었다. 균사생육 최적온도는 $25^{\circ}C$이며, 균핵형성 최적온도는 15~$20^{\circ}C$이었다. 이상과 같이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및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병을 Sclerotinia sclerotiorum에 의한 미나리 균핵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하였다.

어병세균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Herbal Medicine Extracts against Edwardsiella tarda)

  • 김아라;김도균;변태환;조은지;이은우;권현주;김병우;김태훈;이경본;김영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87-90
    • /
    • 2011
  • 시판 19종 한약재 methanol 추출물의 어병세균 Edwardsiella tarda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오배자 추출물에서 가장 강한 활성이 나타났다. 오배자 methanol 추출물은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하였으며, 각 분획물의 항균활성 측정 결과 ethyl acetate 층에서 가장 강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다. 이는 E. coli와E. tarda 모두에 대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C)를 측정한 결과 $64\;{\mu}g$/mL에서 E. tarda의 생육을, $256\;{\mu}g$/mL에서 E. coli의 생육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활성물질이 정제되어 단일 물질화 하였을 경우에는 상당히 낮은 농도에서도E. tarda에 대한 저해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험 결과에서 나타난E. coli와E. tarda에 대해 강한 효능을 나타내는 항균활성물질을 분리 동정 중에 있으며, 상용되고 있는 항생제와의 병용투여 효과 및 조건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riental Herbal Medicine Extracts)

  • 이창은;조정권;김재덕;이동근;김원석;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11-616
    • /
    • 2017
  • 식중독의 원인 세균 및 병원성 세균 7종(Bacillus cereus (11.2, 20), Clostridium perfringens (2.4, 4.7), Escherichia coli (9.1, 9.1), Listeria monocytogenes (11.1, 20), Salmonella typhi (4.7, 9.1), Staphylococcus aureus (2.4, 4.7), Vibrio parahaemolyticus (2.4, 5.3))에 대해 한약재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물은 증류수를 이용한 고온추출법($121^{\circ}C$에서 30분간)으로 제조하였고, 9가지 한약재 추출물의 수율은 0.5-33.4% 범위였다. 종이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 활성을 평가하였을 때 황련, 지유, 오배자 추출물에서만 항균활성이 나타났다. 황련과 지유 추출물은 Clostridium perfringens과 Listeria monocytogenes에만 항균활성을 나타낸 반면, 오배자는 시험한 모든 세균에 대해 강한 항균 작용을 보였다. 오배자 추출물의 건조시료가 나타내는 최소억제농도(MIC)와 최소살균농도(MBC)는 2.4~20 mg/ml 범위였다. 본 연구결과는 추후 정제와 항균물질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기존 항균제의 보완제 및 식품의 유통기한 증진 등 항균소재로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Phase II Study on Javanica Oil Emulsion Injection (Yadanzi®) Combined with Chemotherapy in Treating Patients with Advanced Lung Adenocarcinoma

  • Lu, Yan-Yan;Huang, Xin-En;Cao, Jie;Xu, Xia;Wu, Xue-Yan;Liu, Jin;Xiang, Jin;Xu, L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8호
    • /
    • pp.4791-4794
    • /
    • 201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Javanica oil emulsion injection (Yadanzi$^{(R)}$) combined with pemetrexed and platinum (PP) for treating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Patients and Methods: From June 2011 to June 2013, we recruited 58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Twenty eight patients received Yadanzi$^{(R)}$ (from ZheJiang Jiuxu Pharmaceutical Co., Ltd.) together with PP chemotherapy (combined group), while the others were given only PP chemotherapy (control group). After two cycles of treatment, efficacy and safety of treatment were evaluated. Results: The overall respnse rate [(CR+PR+SD)/(CR+PR+SD+PD)] of the combined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89.7% vs. 86.2%, p>0.05). Regarding rate of life improvement, it was 82.8% in combined group, and 51.7% in the control group (p<0.05). In terms of side effects, leukopenia in combined group was less frequent than that in control group (p<0.05). More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found to suffer liver toxicity. Conclusions: Javanica oil emulsion injection combined with chemotherapy could be considered as a safe and effective regimen in treating patients with advanced lung adenocarcinoma. I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leukopenia. Further clinical trials with a large sample size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addition of Yadanzi$^{(R)}$ to chemotherapy could increase the response rate, reduce toxicity, enhance tolerability and improve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advanced lung cancer.

인공부도의 생물학적 처리 기술 비교 연구: 인공부도의 조류의 저감 효과 개선을 위한 여재와 물벼룩 적용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Technology in Artificial Floating Island: Application of Media and Daphnia to Algal Biomass Control)

  • ;장광현;김태훈;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83-91
    • /
    • 2018
  • 호소의 경관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은 자연정화법인 인공식물섬을 설계하고 수질개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재, 식생과 물벼룩을 혼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조류 제거 효율을 알아보기 위한 각 혼합시스템은 G-BD-여재와 물벼룩, G-OB-식물과 여재, G-BOD-여재 식물과 물벼룩, G-C-대조군으로 실험 및 평가하였다. 각 혼합시스템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hl-a, TN과 TP의 제거효율을 조사 하였고, 그 결과 G-BD의 평균제거 효율은 69.24%, 16.61%, -0.61%; G-OB는 평균 68.39%, 14.11%, 10.52%; G-BOD는 평균 78.30%, 6.69%, 25.09%; G-C는 평균 35.42%, -3.47%, -25.18%로 조사되었다. 결과에 따라 제안하면 여재, 식생과 동물플랑크톤을 혼용한 시스템이 조류제어방면에서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영양염류 제어관리에서는 식생과 여재를 혼합한 시스템이 가장 효율적이다.

오배자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효과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Rhus javanica Linne)

  • 차배천;이승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1-187
    • /
    • 1998
  • 인구의 수명이 연장되고 노령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다양한 성인병이 야기되고 있고, 이들 성인병의 원인이 활성산소에 의한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이들의 다양한 성인병을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안전하고 우수한 항산화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개발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30종을 대상으로 그들의 MeOH 엑스에 대한 자유라디칼소거효과 및 오배자의 분획에 대한 항산화효과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DPPH법을 사용하여 약용식물 10종의 MeOH 엑스에 대한 1차 라디칼 소거작용 검색 시험을 한 결과 오배자, 토복령과 호장근의 MeOH 엑스가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 을 나타내었으며 이중에서 오배자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1차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 오배자에 대하여 오배자의 MeOH 엑스로부터 각 극성별로 분획하여 얻어진 n-Hpxane, EtOAc, BuOH, $H_2O$ 엑스에 대하여 DPPH법을 이용한 라더칼 소거작용을 시험한 결과, n-Hexane, EtOAc, BuOH 엑스가 강한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3. Ferric-Thiocyana법을 이용하여 오배자의 n-Hexane, EtOAc, BuOH 및 $H_2O$엑스에 대하여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시험한 결과 오배자의 n-Hexane, EtOAc, 및 BuOH 엑스는 천연 항산화제인 tocopherol 및 합성 항산화제 인 BHA 보다 우수한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H_2O$ 엑스는 tocopherol 보다는 우수하고 BHA와는 유사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미나리 줄기(Oenanthe javanica), 율무(Coicis lachryma-jobi L. var.), 차전자(Plantaginis asiatica L.) 물 추출물이 지질대사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Coicis lachryma-jobi L. var., and Plantaginis asiatica L.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Key Enzymes on Lipid Metabolism)

  • 이현주;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16-1521
    • /
    • 2009
  • 본 연구는 미나리(Oenanthe javanica, MNR), 율무(Coicis lachryma-jobi L. var., YM) 및 차전자(Plantaginis asiatica L, CJJ) 물 추출물이 지질 대사 관련 효소들인 lipoprotein lipase(LPL), acyl-CoA synthetase(ACS) 그리고 carnitine acetyltransferase(CAT) 활성에 유익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LPL와 ACS는 비만 모델군 Zucker fatty 흰쥐(fa/fa)와 대조군인 Zucker lean 흰쥐(lean)의 부고환 지질과 간에서 각각 분리하였다. MNR이나 YM 물 추출물 처리는 일반(lean) 및 비만(fa/fa) 흰쥐로부터 분리한 LPL 활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MNR, YM 그리고 CJJ 물 추출물 10000 ppm을 처리했을 때 fa/fa LPL 활성이 각각 32.5%, 30.1% 그리고 22.8% 증가하였다. Lean ACS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YM 물 추출물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MNR 물 추출물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fa/fa ACS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p<0.05). 10000 ppm MNR 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fa/fa ACS 활성을 12배까지 증가시켰다. CAT 활성이 대조군보다 10000 ppm과 2000 ppm CJJ 물 추출물 군에서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MNR, YM 그리고 CJJ 물 추출물은 비만한 사람에게 지질 대사와 관련된 효소 활성에 기인하여 유익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항산화 활성과 Melanoma 세포에서 멜라닌조절에 대한 Oenanthe javanica 에탄올 추출액의 효과 (Effect of Oenanthe javanic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Melanoma Cells)

  • 권은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28-143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melanocyte (B16F1)에서 quercetin과 kaempferol을 포함하는 미나리 에탄올 추출물(OJE)의 멜라닌 합성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OJE가 세포수준에서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여러 농도의 OJE 존재 하에서 B16F1세포를 배양하였다. 현재 연구에서 DPPH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lipid peroxidation 및 DNA oxidation에 미치는 항산화 효과는 cell free system에서 평가되었다. 더욱이 멜라닌 생성에 대한 OJE 효과는 dopaquinone (DOPA) assay 및 tyrosinase 활성으로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superoxide dismutase (SOD)-1, -2, glutathione reductase (GSH)와 같은 항산화 효소 및 tyrosinase의 단백질발현이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OJ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fenton 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에 의하여 유발되는 DNA 산화를 보호하였다. OJE는 50 ${\mu}g/ml$ 이상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고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에서 검출되었다. Western blot 분석에서는 OJE가 농도에 비례하여 tyrosinase SOD-1, -2 및 GSH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발견들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 OJE가 melanocyte에서 tyrosinase 활성과 melanin 생성을 조절할 수 있어 피부를 산화스트레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