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radiation biological activities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2초

방사선 조사에 의한 감자 발아 억제시 생화학적 효과 (Biochemical Effect on Potato Tubers Irradiated by Gamma-Ray at Sprout-Inhibition Dose)

  • 전재홍;변시명;박영숙;정규회;조한옥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1호
    • /
    • pp.28-35
    • /
    • 1985
  • 방사선 조사에 의한 발아 억제기작을 살펴보기 위하여 $4^{\circ}C$ 에서 저온 처리 한 감자에 0.12 kGy 감마선을 조사한 후 5주 동안 $20{\pm}2^{\circ}C$, 상대습도 $70{\sim}90%$에서 저장하였다. 이 기간 중 발아에 관여된다고 생각되는 ${\alpha}-amylase$, peroxidase, indole acetic acid (IAA) oxidase, IAA synthesizing enzyme의 활성 변화를 추적하였다. 시판 ${\alpha}-amylase$와 peroxidase의 방사선 감수성은 0.94와 0.36 kGy의 감마선 조사하여 $D_{37}$ 값을 얻었다. 감마선 조사를 행한 감자의 IAA oxidase 역가는 조사후 급격히 증가됐고 IAA 합성 효소의 역가는 조사직후 조금 증가하였으나 저장 기간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형태적인 변화에서 조사된 감자에서는 성장점의 고사와 변형된 눈이 관찰되었고 IAA 흑은 gibberellin 등의 처리에 의해 이들 자체로는 회복되지 않았고 그 주위로 새로운 눈의 성장이 관찰되었다. 결론으로 방사선 조사에 의해 야기된 감자의 호흡은 탄수화물이 ${\alpha}-amylase$등의 효소에 의한 분해로 이루어져 ATP를 공급하며 뒤이은 peroxidase 역가의 증가와 같은 효소의 합성은 방사선에 의한 손상을 치유하려는 과정에 속한다 할 수 있다. 또한 눈의 생장점에서의 고사 현상은 손상에 대한 방어 작용의 일종이라 해석되며 이로인한 발아 억제 현상을 페놀 대사와 관련지어 추측할 수 있었고 증가된 IAA oxidase와 IAA 합성계의 파괴에 의한 IAA의 고갈 역시 방사선 조사에 의한 발아 억제 현상의 원인이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원적외선 조사와 열처리가 탈지대두박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Defatted Soybean Meal)

  • 임아람;정은실;김소영;이승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400-403
    • /
    • 2005
  • 원적외선 조사 및 일반 열처리가 탈지대두박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50^{\circ}C$에서 각각 5, 10, 15, 20, 40 그리고 60분간 처리한 후,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총 페놀함량, DPPH 라디칼 소거능 그리고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 무처리구 31.62 mg/ml, 11.6%, 0.068에 비해 원적외선을 $150^{\circ}C$에서 15분간 조사한 처리구는 각각 57.51 mg/ml, 53.1%, 0.147로 증가하였다. 한편, $150^{\circ}C$에서 15분간 일반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는 각각 58.04 mg/ml, 65.2%, 0.160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원적외선 조사 및 일반 열처리를 20분간 이상하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당한 조건에서의 원적외선과 열처리 조사가 탈지대두박에 존재하는 페놀 화합물의 추출을 촉진하며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의미한다.

Microwave Assisted One-pot Synthesis of Novel α-Aminophosphonates and heir Biological Activity

  • Rao, Alahari Janardhan;Rao, Pasupuleti Visweswara;Rao, Valsani Koteswara;Mohan, Challamchalla;Raju, Chamarthi Naga;Reddy, Cirandur Suresh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7호
    • /
    • pp.1863-1868
    • /
    • 2010
  • A simple and efficient synthesis of various $\alpha$-aminophosphonates (3a-l) by the reaction of substituted aromatic/heterocyclic aldehydes, 2-amino-6-methoxy-benzothiazole and dibutyl/diphenyl phosphites under microwave irradiation without catalyst was accomplished. The phosphonates were characterized by elemental analysis, IR, $^1H$, $^{13}C$- and $^{31}PNMR$ spectra. They showed promising antimicrobial, anti-oxidant activities depending on the nature of bioactive groups at the $\alpha$-carbon.

누에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의 항피로효과 및 조혈장해 개선효과 (Antifntique Effect and Improvement of Hematotoxicity by Dongchongxiacno (Paecilomyces japonica ))

  • 김세라;조성기;안미영;신동호;김성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8-332
    • /
    • 2002
  • Cordyceps is reputed for its broad biological activities and as a tonic for replenishing vital function in Chinese traditional medicines. As an attempt to obtain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ew type Cordyceps, the effects of the fruiting bodies of cultivated fungus of Paecilomyces japonica grown on silkworm larvae on fatigue and hematotoxicity were investigated. The antifatigue activity of dongchongxiacao (Paecilomyces japonica) was studied in mice using weight loaded forced swimming performance method. The water extract of dongchongxiacao(25 mg/kg of body weight, intraperitoneal injection at 12 and 36 hours before irradiation and 30 minute and 24 hours after irradiation) showed a significant antifatigue effect in normal mice and radiation-induced fatigue mice (p<0.0005). In the experiment on the improvement of hematotoxicity,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irradiated controls was seen at day 3 of the group treated with dongchongxiacao and substantial differences from the irradiated controls at day 7 was also detected.

감귤박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과 열처리 효과 (Effect of Far-Infrared Irradiation and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Citrus Pomaces)

  • 김종완;전유진;이종화;이승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60-64
    • /
    • 2006
  • 원적외선 조사 및 일반 열처리가 감귤박의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100, $150^{\circ}C$에서 각각 0, 10, 20, 30, 40, 50, 60분간 처리한 후, 70% 에탄올 추출물(EE)과 물추출물(WE)을 제조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 무처리구 EE의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각각 14.9%, 0.290이었으나 $100^{\circ}C$에서 30분간 원적외선 조사한 EE는 44.2%, 0.886이었고, $100^{\circ}C$에서 60분간 열처리한 EE는 44.7%, 1.045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무처리구 WE의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은 각각 13.3%, 0.322였으나 $100^{\circ}C$에서 20분간 원적외선 조사한 WE는 54.0%, 0.938이었고, $100^{\circ}C$에서 50분간 열처리한 WE는 48.6%, 1.146로 각각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적당한 조건에서의 원적외선 조사 및 열처리 공정이 감귤박의 항산화능을 향상시킴을 의미하였다.

감마선 조사에 의한 복분자 착즙액 에탄올 추출물의 색상 및 생리활성 변화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Color Chang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a Mechanically Pressed Juice of Bokbunja (Rubus coreanus Miq.))

  • 김희정;조철훈;김현주;신동화;손준호;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71-27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복분자 착즙액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감마선 조사(20kGy)한 후 색상 및 생리활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감마선 조사에 의한 색도변화는 명도($L^*$)의 경우 조사 후에 증가한 반면, 적색도($a^*$) 및 황색도($b^*$)의 경우에는 감소하였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비조사구와 조사구 각각 58.4 및 56.5 mg/g으로 조사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전자공여능은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 250 ppm 이상의 모든 시료에서 80%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추출물(1%)을 돈육에 적용하여 저장시간에 따른 지질산패도를 TBARS로 측정한 결과 추출물을 첨가 시 지질산패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아질산염 소거능도 pH 1.2, 4.2 및 6.0에서 각각 51.1%, 8.3% 및 7.5%로 나타났으며 전자공여능, 지질산패억제 및 아질산염 소거능 모두 조사에 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균활성은 농도에 따른 생육 저해효과를 측정한 결과 10,000 ppm에서 B. Cereus 및 S. Typhimurium의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Ames test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시험에서는 $10,000{\mu}g/plate$이하일 때 복분자 에탄올 추출물의 돌연변이원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복분자 추출물에 감마선 조사기술을 이용한다면 산업적으로 활용도가 높은 천연소재를 제조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Zooshikella sp. 17TA 색소 추출물의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항균활성 (The Physicochemical Stabilitie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Pigment Extracts from Zooshikella sp. 17TA)

  • 박재명;박진숙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9-93
    • /
    • 2019
  • In this study, the stability of the extracted natural pigments against light, temperature, pH, metal ions,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evaluated in marine bacteria Zooshikella sp. 17TA. The pigment of the strain used in the study was red with maximum absorption at a wavelength of 541 nm. The stability of the pigment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bsorbance while preserving for 15 days and examining the retention rate. After 15 days of irradiation, the pigment of this bacterium showed 98% retention in the dark and 91% reten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0℃ ~ 30℃. When the pH was in the range 4-7, the retention was about 80%, and the retention rate was higher than 85% for all kinds of metal ions except for CuCl2, ZnCl2, and KCl. The bacterial pigments showed high stability under the given irradiated pH, temperature, and metal ion conditions and had shown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str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is highly conserved microbial pigment can be applied to the food industry.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전자선 살균 효과와 생리활성 성분의 안정성 (Cold Pasteurization of Frozen Crushed Garlics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the Stability of Bioactive Components)

  • 이현규;조윤희;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9-14
    • /
    • 2016
  • 시판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전자선 살균 효과를 알아보고, 유효성분 및 항균활성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국산 및 중국산 시료에 대해 실험하였다. 냉동다진마늘은 4 kGy 이상의 조사처리에서 ND 이하의 미생물 수준을 나타내어 살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수분은 국산에 비해 중국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으나, 조사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전반적 색차는 4 kGy 이상의 선량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total thiosulfinate 및 total pyruvate 함량은 살균을 목적으로 한 7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마늘의 alliin 및 allicin 함량은 4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에 영향을 받지 않으나, 7 kGy 선량에서는 특히 중국산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마늘의 에탄올 추출액은 Y. enterocolitica 균주를 포함한 7종의 병원성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clear zone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냉동다진마늘에 대한 4 kGy 범위의 전자선 조사는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 없이 미생물학적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적정 선량으로 확인되었다.

Phanerochaete chrysosporium 변이주에서의 Cellobiose Dehydrogenase(CDH)와 $\beta$-Glucosidase 활성 향상 (Improvement of Cellobiose Dehydrogenase(CDH) and $\beta$-Glucosidase Activity by Phanerochaete chrysosporium Mutant)

  • 김은지;강성우;송광호;한성옥;김재진;김승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1호
    • /
    • pp.101-104
    • /
    • 2011
  • Hemoflavoenzyme으로서 cellobiose dehydrogenase(CDH)는 셀룰로오스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세포 외부로 분비되는 효소로서 amorphous cellulose와 강하게 결합하여 셀룰라아제(cellulase)에 의해 microcrystalline cellulose의 가수분해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CDH는 바이오 에탄올 생산의 당화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러 백색부후균으로부터 CDH 생산이 높은 Phanerochaete chrysosporium ATCC 32629 균주를 선정하였으며, 균주로부터 생산된 CDH 효소활성의 최적 온도와 pH는 각각 ${55^{\circ}C}$와 4이었다. CDH 활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P. chrysosporium ATCC 32629 균주를 돌연변이시켰다. 돌연변이는 새로운 시도로써 국부적으로 큰 에너지를 줄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양성자 빔을 이용하였다. 양성자 빔 조사 후 사멸율이 약 99.9%인 1.2 kGy에서 CDH 활성이 증가된 변이주를 얻었다. 선별된 변이주와 모균주를 액체배양했을 때 변이주가 모균주보다 CDH와 $\beta$-glucosidase 활성이 각각 약 1.4배와 20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CDH 뿐만 아니라 $\beta$-glucosidase 활성이 높은 P. chrysosporium 변이주를 확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