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vasive weed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2초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V)

  • Hyun, Jong Young;Yoon, Chang Yo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16-632
    • /
    • 2021
  • We performed taxonomic reviews and habitat circumstances survey for 41 un-introduced environmentally harmful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2016). And we investigated plant specimens from several herbaria and performed a field surve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result, we presented the most comprehensive results of weed risk evaluation and taxonomic description up to now as well as classification keys for 11 species to apply the regulation manage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species - Senecio madagascariensis Poir., Sphagneticola trilobata (L.) Pruski, Ageratina riparia (Regel) R.M. King & H. Rob. (Asteraceae), Andropogon gayanus Kunth (Poaceae), Echinocystis lobata (Michx.) Torr. & A. Gray (Cucurbitaceae), Salvinia minima Baker (Salviniaceae), Vincetoxicum rossicum (Kleopow) Barbar. (Asclepiadaceae), Asparagus asparagoides (L.) Druce (Asparagaceae), Alternanthera pungens Kunth (Amaranthaceae), Salpichroa origanifolia (Lam.) Thell., and Lycium ferocissimum Miers (Solanaceae).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I)

  • Hyun, JongYoung;Yoon, ChangYo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0-219
    • /
    • 2020
  • We performed taxonomic reviews and habitat circumstances survey for 41 un-introduced environmentally harmful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2016).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plant specimens from several herbaria and performed a field surve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United States. Base on the result, we presented the most comprehensive results of weed risk evaluation and taxonomic description up to now as well as classification keys for 11 species to apply the regulation manage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species - Centaurea maculosa Lam., Centaurea diffusa Lam., Mikania micrantha Kunth. (Asteraceae), Cenchrus echinatus L., Neyraudia reynaudiana (Kunth) Keng ex Hitchcock, Brachiaria mutica (Forsskål) Stapf, Vulpia bromoides (L.) Gray, Lolium persicum Boissier & Hohennacker, Setaria palmifolia (J. Konig) Stapf (Poaceae), Prosopis glandulosa Torr. (Fabaceae), Fallopia baldschuanica (Regel) Hobub. (Polygonaceae).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II)

  • Kim, Tae-Hee;Yoon, ChangYo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48
    • /
    • 2021
  • We conducted a taxonomic study and agricultural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s of 41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6.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we carried out the field survey four tim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Mexico, and investigated specimens, literature, and other information including seed morphology, classification key, and habitat conditions. In this study, we reported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41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and suggested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11 species to contribute to establish solutions of regulation management for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 Spirodela punctata (G.Mey.) C.H.Thomps. (Araceae), Sagittaria graminea Michx. (Alismataceae), Elodea nuttallii (Planch.) H.St. John, Hydrocharis morsus-ranae L., Stratiotes aloides L. (Hydrocharitaceae), Eichhornia azurea (Swartz) Kunth, Monochoria hastata (L.) Solms (Pontederiaceae), Aegilops tauschii Coss. (Poaceae), Myriophyllum heterophyllum Michx. (Haloragaceae), Bunias orientalis L. (Brassicaceae), and Heracleum sosnowskyi Manden. (Apiaceae).

일본잡초학회에서 본 일본의 잡초연구 동향 (Report on the 54th annual meeting of the weed science society of Japan)

  • 황재복;김경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35-339
    • /
    • 2015
  • 일본잡초학회를 참석하여 잡초방제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연구의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잡초연구, 잡초관리, 제초제, 그리고 해외동향 등이었다. 일반강연 49편, 포스터 발표 45편이 었다. 학회 일정 중에 미니심포지엄이 소분과로 나누어 각각 개최되었고, 젊은 과학자의 모임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일본도 우리나라와 같이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외래잡초의 관련연구의 비중이 높고, 친환경 방제를 위한 식물체 유래 제초활성 물질 탐색, 저항성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 미기록 외래잡초 Cyperus esculentus L.의 발생과 위험성 (Cyperus esculentus L. - A New Weed in Korea)

  • 이정란;김창석;이인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3-318
    • /
    • 2011
  • 전 세계 악성잡초 중의 하나인 Cyperus esculentus L.가 2011년 경기도 이천시 고추밭에서 처음 보고가 되었다. 국내에는 언제 어떤 경로로 도입이 되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본 잡초는 사초과 다년생으로 주로 괴경으로 번식하고 습지, 강둑, 호수가, 경작지 등에 넓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잡초는 일반적인 손제초나 제초제 처리로 완전 방제가 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매우 신속하게 다른 경작지로 확산되어 국내 농경지에 큰 타격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므로 본 잡초의 국내 발생에 대한 상세한 모니터링과 발생생태에 관한 연구는 물론 효율적인 방제기술에 관한 연구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Leaf Blight Caused byCurvularia intermedia on the Invasive Weed Lactuca serriola in Korea

  • Jin A Lee;Seon Young Lee;Young-Joon Choi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45-249
    • /
    • 2023
  • Prickly lettuce (Lactuca serriola), an invasive annual plant, poses a significant threat to the agricultural systems of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n 2020, leaf blight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prickly lettuce populations of various farms across Korea. Detail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equence analyses revealed that the disease was caused by the fungus, Curvularia intermedia. A pathogenicity test confirmed that the fungus can cause the same symptoms in healthy prickly lettuce, thereby fulfilling Koch's postulat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 intermedia causing leaf blight on L. serriola in Korea, suggesting its potential as a biocontrol agent for this weed. However,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determine its ecological impact to prevent any non-target effects.

아시아·태평양 지역 잡초연구 동향 및 전망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Weed Science in Asian Pacific Region)

  • 이인용;이정란;김도순;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5
    • /
    • 2014
  •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농업 시스템에서 잡초방제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잡초방제 발전방향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 24차 아시아-태평양 잡초학회에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16개국 190여명이 참석하였으며 11개 분야에서160편이 발표되었다. 주요 연구분야로는 외래잡초의 발생생태, allelopathy, 논에서의 잡초관리, 일반작물에서의 잡초관리, 제초제 저항성잡초 등이었다. 쌀은 아시아 국가의 주된 식량작물로서 이와 관련된 잡초방제 및 제초제 저항성에 관한 연구내용이 주를 이루었으며 옥수수, 콩, 밀 재배지에서의 잡초방제 분야에서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앞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잡초의 증가 및 인구증가에 따른 식량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잡초관련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다양한 잡초방제 체계를 확립하고 저항성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향상된 적응형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컨포멀 배열 안테나의 빔 합성 연구 (Study on Pattern Synthesis of Conformal Array Antenna Using Enhanced Adaptive Genetic Algorithm)

  • 성철민;이재덕;한인희;류홍균;이규송;박동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592-60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2차 함수 곡선의 회전체 곡면 위에 있는 배열 안테나의 빔 합성을 위한 Enhanced Adaptive Genetic Algorithm(EAGA)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더 빠른 수렴 속도와 더 낮은 비용함수 값을 얻기 위해 Adaptive Genetic Algorithm(AGA)과 Invasive Weed Optimization(IWO)을 결합시켰다. 각 안테나 소자의 급전 크기와 위상의 최적화된 값은 EAGA를 통해 구하였으며, 이 결과를 통해 EAGA가 컨포멀 배열 안테나의 패턴 합성 알고리즘으로써 AGA보다 더 우수함을 보였다.

Developing drilling rate index prediction: A comparative study of RVR-IWO and RVR-SFL models for rock excavation projects

  • Hadi Fattahi;Nasim Baya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6권2호
    • /
    • pp.111-119
    • /
    • 2024
  • In the realm of rock excavation projects, precise estimation of the drilling rate index stands as a pivotal factor in strategic planning and cost assessment. This study introduces and evaluates two pioneering computational intelligence models designed for the prognostication of the drilling rate index, a pivotal parameter with direct implications for cost estimation in rock excavation projects. These models, denoted as the Relevance Vector Regression (RVR) optimized with the Invasive Weed Optimization algorithm (IWO) (RVR-IWO model) and the RVR integrated with the Shuffled Frog Leaping algorithm (SFL) (RVR-SFL model), represent a groundbreaking approach to forecasting drilling rate index. The RVR-IWO and RVR-SFL models were meticulously devised to harness the capabilities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and optimization techniques for drilling rate index estimation. This research pioneers the integration of IWO and SFL with RVR, constituting an unprecedented effort in forecasting drilling rate index.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gauge the precision and dependability of these models in forecasting the drilling rate index, revealing significant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In terms of predictive precision, the RVR-IWO model emerged as the superior choice when compared to the RVR-SFL model, underscoring the remarkable efficacy of the Invasive Weed Optimization algorithm. The RVR-IWO model delivered noteworthy results, boasting a Variance Account for (VAF) of 0.8406, a Mean Squared Error (MSE) of 0.0114, and a Squared Correlation Coefficient (R2) of 0.9315. On the contrary, the RVR-SFL model exhibited slightly lower precision, yielding an MSE of 0.0160, a VAF of 0.8205, and an R2 of 0.9120. These findings serve to highlight the potential of the RVR-IWO model as a formidable instrument for drilling rate index prediction, particularly within the framework of rock excavation projects. This research not onl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alm of drilling engineering but also underscores the broader adaptability of the RVR-IWO model in tackling an array of challenges within the domain of rock engineering. Ultimately, this study advances the comprehension of drilling rate index estimation and impart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methodologies within the realm of engineering projects.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 (Distribu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Croplands)

  • 김진원;이인용;이정란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2호
    • /
    • pp.117-123
    • /
    • 2017
  • 본 연구에서 국내의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를 알아보고자 한다. 생태계교란식물 9종의 지역적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분포지도를 작성하였다. 단풍잎돼지풀과 돼지풀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였으나 단풍잎돼지풀은 경기북부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돼지풀은 경우에는 강원 및 전라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미국쑥부쟁이는 경기도 및 강원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가시상추의 경우 서북-동남 방향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서양금혼초는 제주도에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었고, 도깨비가지는 주로 경기 동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애기수영과 가시박의 경우 전국에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었으나 경기도 지역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로 발생하고 있었으며, 서양등골나물은 경기도 연천군의 과수원 및 밭작물 재배지에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경지 내 생태계교란식물의 분포는 비농경지와 거의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농경지의 생태적 지위가 비농경지와 다르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작물의 수량 및 품질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잡초를 관리해야한다는 인식에서 더 나아가 주변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제거해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또한, 각 생태계 교란식물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 제초제 약효/약해 연구나 발아생리 연구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