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5초

학습성과 향상을 위한 보봇 이용 공학설계입문 운영사례 (A Case Study of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Course using Boe-Bot for Improving Course Outcomes)

  • 김희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74-8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공학설계입문 교과목에서 공학설계에 대한 흥미를 높이면서 교과목 학습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존의 교재 내용 중심 강의에서 벗어나 본 교과목의 학습성과인 PO3에 해당하는 설계능력과 PO6의 팀웍, PO7의 의사소통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학습성과 중심으로 주별 강의 내용을 재설계하였다. 그리고 학습성과별 평가도구를 개발하였고, 평가도구별 측정기준(Rubrics)를 정의하였다. 또한 교과목 학습성과의 달성목표를 정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과목 학습성과의 향상과 더불어 설계입문 교과목에 대한 흥미와 만족감을 유발하기 위해서 보봇(Boe-Bot)로봇을 이용한 설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학습성과 평가및 강의 평가를 통하여 이전 강의에 비해 학습성과 향상과 더불어 설계에 흥미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A Study on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Development of Submarine: Focusing on Modeling System for Digital Submarine

  • Oh, Dae-Kyun;Shin, Jong-Gye;Jeong, Yeon-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Ocean System Engineering
    • /
    • 제2권4호
    • /
    • pp.214-222
    • /
    • 2012
  • The shipbuilding process is changing due to changes in th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technological requirements for military ships. This would also hold true for a submarine, because its shipbuilding process includes complicated design and construction conditions. System improvement efforts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military ships have continued with the goal of overcoming these conditions. At present, the Korea Navy is developing a 3,000 ton-class Korean type submarine, and its design is progressing by the introduction of a full 3D-ship CAD system. Although the 3D modeling system was introduced for effective design realiz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llaborative design and active utilization of M&S (modeling and simulation), the introduction effects are not yet generally obviou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hip design. The present paper discusses the collaborative environment for developing a submarine to enhance this. This paper proposes the architecture and data structure of a system for realizing collaborative design and discusses a case system developed on the basis of this.

LEGO MINDSTORM NXT를 이용한 공학설계입문 운영사례 (A Case Study of Introduction to Engineering Design Course using LEGO MINDSTORM NXT)

  • 이강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83-88
    • /
    • 2009
  • 본 논문은 저학년을 위한 공학설계입문 과목에서 레고 Mindstorm NXT를 이용하여 설계 실습교육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공학설계입문 과목의 특성상 전공 지식을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설계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야 하면서 동시에 저학년들의 전공에 대한 흥미를 끌어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레고의 Mindstorm NXT가 이러한 문제의 한가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LEGO Mindstormd NXT를 입문설계 수업에 사용했을 경우, 학생들의 설계에 대한 흥미 유발과 설계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경험이 충분히 가능하다. 즉, 설계의 목적설정, 설계 제약조건 찾기, 설계물의 기능 열거, 설계 공간의 탐색, 예비설계 수행 등의 설계 각 과정에 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레고를 공학설계 입문 과목에서 도입할 경우 사용할 만한 무선조정 축구 로봇, 라인 트레이서, 청소기 로봇 등의 프로젝트 목록을 제시하였다.

폭발 보호(진압, 배풍, 차단) 시스템에 관한 소개 (An Introduction on Explosion Protection System)

  • 김찬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76-79
    • /
    • 1996
  •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r an introduction covering the nature of explosions, explosion protection techniques and explosion protection systems(EPS), It is not intended to be a result for the design or research of protection including explosion suppression, venting, isolation, and an explanation to the mechanical system.

  • PDF

개방형 BIM 구현을 위한 국제 IFD 표준 도입방향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for the International IFD Standard to Implement Open BIM)

  • 노태임;조주원;조찬원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3-81
    • /
    • 2011
  • This study aims to study IFD based IFC application, and API technology were examined for extending $IFC2{\times}4$ information by using IFD libraries. According to this, information exchange scenarios for Open BIM were established with IFD application. And necessary standard elements for introduction of IFD were introduced and the templates of object and property information were suggested for realization.

성능기초설계를 위한 차세대 내진설계의 방향 (Towards New Generation of Seismic Design Methodologies for Performance-based Design)

  • 홍성걸;김남희;장승필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1
    • /
    • pp.276-283
    • /
    • 2001
  • Performance-based design concepts require the next generation of codes. To implement the main concepts several design methodologies have been proposed. This paper reviews the framework of Korea Seismic Code and shows necessary modification for adoption of appropriate design methods. The selection of design earthquake levels with the introduction of risk factor is discussed for proper risk levels for all earthquake hazards. Displacement-based design, energy-based design, comprehensive design, and force-strength design methods are reviewed as one of possible next generation design methods. This paper proposes the direction of reconstruction for design earthquake levels with performance matrix, introduction of new design methods, and emphasis on non- structural compon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