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oral scan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19초

임플란트 디지털 인상용 코핑의 정확성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mplant digital impression coping)

  • 안교진;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1호
    • /
    • pp.29-40
    • /
    • 2020
  • 목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pick-up 인상용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법의 정확도를 다른 임플란트 식립 각도에서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D 프린터를 이용해 주모형을 제작하고 0°, 10° 및 20°의 근심경사로 3개의 임플란트를 위치 시켰다. 각각의 임플란트에 지대주를 체결하고 주모형을 스캔하여 참조 모델을 만들었다. P군 모델은 pick-up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여 15개의 석고 모형을 만들고 지대주를 장착 후 스캔하여 제작하였다. E군과 S군의 모델은 각각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를 주모형에 체결하고 구내 스캐너를 이용해 15회씩 인상채득을 하여 제작하였다. 각각의 실험군 STL 파일은 best fit alignment를 이용해 참조 모델과 중첩하였고 root mean square (RMS) 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RMS 값은 P군에서 가장 작았고(25.56 ± 2.53 ㎛), 그다음 S군(35.27 ± 2.56 ㎛), E군(38.29 ± 4.12 ㎛) 순 이었다. S군과 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고, P군은 S군과 E군 보다 작았다(P < 0.05). 임플란트 각도와 RMS 값의 상관관계는 E군에서 유의하였다(P < 0.05). 결론:Pick-up 인상용 코핑 방법은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채득 방법에 비해 더 높은 정확도를 보였고 encoded healing abutment와 scan body 인상 방법은 정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ncoded healing abutment의 임상적 사용은 가능하나 경사진 임플란트의 인상의 경우 주의하여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단일 치관 수복 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교합평가 활용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single crown restoration using an intraoral scanner for occlusal evaluation)

  • 송준범;이종혁;하승룡;최유성;최선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41-349
    • /
    • 2021
  • 디지털 방식을 이용한 교합평가는 종래의 방식인 교합지와 occlusion foil 등에 비해 기록, 비교, 분석 등이 쉽고 간편하며 객관적 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증례보고에서는 교합평가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자 단일 전장관 수복이 필요한 환자에서 구강스캐너(i500, Medit, Seoul, Korea)를 이용하여 매 내원시 교합을 평가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교합지를 이용한 교합관계 확인과 디지털 교합분석장비(Dental prescale II, GC corporation, Tokyo, Japan)를 이용하여 교합관계를 평가하였다. 치료과정에서 구강스캐너를 이용한 방법과 기존의 교합지를 이용한 방법이 유사한 결과를 보여 향후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effect of the improperly scanned scan body images on the accuracy of virtual implant positioning in computer-aided design software

  • Park, Se-Won;Choi, Yong-Do;Lee, Du-Hyeo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2권3호
    • /
    • pp.107-113
    • /
    • 202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the defect-free scanning of a scan body by assessing the accuracy of virtual implant positioning in computer-aided design (CAD) software when the scan body image is improperly scanned. MATERIALS AND METHODS. A scan body was digitized in a dentiform model using an intraoral scanner, and scanned images with differing levels of image deficiency were generated: 5%, 10%, and 15% deficiency in the flat or rounded area. Using a best-fit image matching algorithm on each of the deficient scan body images, corresponding virtual implants were created. The accuracy of the implant position was evaluated by comparing the linear and angular discrepancies between the actual and virtual positions of the implant. Kruskal-Wallis tests and Mann-Whitney U tests with Bonferroni correction were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 seven scanned image deficiency groups (α=.05). RESULTS. In general, the linear and angular discrepancies of the implant position in the software increased as the deficiency of the scan body images increased. A 15% scan body image deficiency generated larger discrepancies than deficiency of 5% and 10%. The difference of scan defect position, flat or rounded area, did not affect the accuracy of virtual implant orientation at 5% and 10% deficiency level, but did affect the accuracy at 15% deficiency level. CONCLUSION. Deficiencies in the scanned images of a scan body can decrease the accuracy of the implant positioning in CAD software when the defect is large, thus leading to the incorrect fabrication of implant prostheses.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마우스가드 (3D Printed customized sports mouthguard)

  • 류재준;이수영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8권11호
    • /
    • pp.700-712
    • /
    • 2020
  • The conventional mouthguard fabrication process consists of elastomeric impression taking and followed gypsum model making is now into intraoral scanning and direct mouthguard 3D printing with an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Also, dental professionals can get various diagnostic data collection such as facial scans, cone-beam CT, jaw motion tracking, and intraoral scan data to superimpose them for making virtual patient datasets. To print mouthguards, dental CAD software allows dental professionals to design mouthguards with ease. This article shows how to make 3D printed mouthguard step by step.

  • PDF

디지털 스캔을 이용하여 제작된 임플란트 수술가이드의 정확도 (Accuracy assessment of implant placement using a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made with digital scan)

  • 정승미;방정환;황찬현;강세하;최병호;방일흠;전형태;안성훈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1-119
    • /
    • 2015
  • 목적: 인상재와 석고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의 정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상하악 부분 무치악 모델 6개 세트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모델을 환자 구강구조로 간주하고 부분 무치악 모델을 Trios 구강스캐너로 디지털 인상을 채득하였다. 수술가이드의 정확도 평가를 위해 제작된 Reference plate를 모델의 교합면에 고정한 상태로 CBCT를 촬영하였다. CBCT에서 얻은 영상과 디지털 인상에서 얻은 영상을 정합하고 정합한 영상에서 임플란트 식립위치를 진단하고 수술가이드를 디자인하였다.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이용하여 부분 무치악 모델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시술 후, 시술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CBCT를 촬영하여 시술 전 컴퓨터 소프트웨어에서 측정한 수치와 시술 후 CBCT촬영하여 소프트웨어상에서 측정한 시술 후 수치 사이 차이점을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거리오차가 임플란트 상단 X축에서 0.27 mm, Y축에서 0.29 mm 였으며, 임플란트 하단(Apex)부위에서는 X축에서 0.11 mm, Y축에서 0.14 mm 평균각도오차가 X축에서 $0.26^{\circ}$, Y축에서 $0.26^{\circ}$ 였다. 평균수직오차는 +0.44 mm로 시술 전 계획한 높이보다 평균 0.44 mm 더 위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인상재와 석고모형을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 영상 만을 사용하여 제작된 수술가이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 계획한 임플란트 식립 위치와 방향으로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구강 스캐너의 협측 교합 스캔 부위에 따른 교합 인기의 정확도 (Accuracy of bite registration according to the buccal bite scan range of intra-oral scanner)

  • 권태성;김대현;김민수;송동준;송주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40권3호
    • /
    • pp.125-134
    • /
    • 2024
  • 목적: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상악, 하악 스캔을 시행 후 교합 스캔을 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범위를 스캔했을 때 가장 정확한 교합 인기가 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교합지를 사용하여 교합점을 채득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양한 범위의 협측 교합 스캔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총 5개 영역(상악 치아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의 제1소구치에서 제2소구치, 제1소구치에서 제1대구치, 제1소구치에서 제2대구치, 제2소구치에서 제1대구치, 양측 견치)의 협측 교합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협측 교합 스캔파일을 CAD 프로그램을 통해 해당하는 범위 치아의 협측 부위만 남겨두고 데이터 편집 및 정렬을 통해 스캔 파일에서 교합 되는 영역을 확인하였다. 이후 교합지로 얻어진 교합점과 스캔 파일에서 얻어진 교합 영역의 일치도를 비교하였으며, 등분산성 T-test를 통해 통계 분석하였다(α = 0.05). 결과: 각 그룹간 정렬 성공률과 정렬 실패율은 양측 견치에서는 각각 77.23%, 40.85%로 나타났고, 양측 제1소구치에서 제2소구치에서 각각 68.23%, 28.89%, 양측 제1소구치에서 제1대구치에서 63.76%, 29.97%, 양측 제1소구치에서 제2대구치에서는 61.31%, 32.04%, 그리고 양측 제2소구치에서 제1대구치는 67.55%, 27.46%로 나타났다. 양측 견치에서의 결과는 상악 모든 구치부 스캔 결과와 비교했을 때 정렬 성공률과 실패율 모두 높은 양상이 나타났다. 정렬 성공률에서 구치부를 스캔 범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구치부와 양측 견치의 결과 비교에서는 양측 제2소구치에서 제1대구치의 스캔 결과를 제외하고 통계적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정렬 실패율에서는 구치부 스캔 범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구치부와 양측 견치의 결과에서는 모두 통계적 유의성이 관찰되었다. 결론: 교합 협측 스캔 채득 시 전치부를 스캔할 경우 구치부를 스캔할 때보다 교합 되는 영역이 더 많이 나타나며, 구치부를 스캔할 경우 범위에 따른 교합 인기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다.

구강스캐너 5종의 협측 악간관계 스캔 정확성 비교 연구 (Accuracy comparison of buccal bite scans by five intra-oral scanners)

  • 박지만;전진;허성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1호
    • /
    • pp.17-31
    • /
    • 2018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협측 악간관계 스캔에 따른 상하악 악궁 관계의 정확성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정상 교합을 보이는 상하악 전악 모델을 5종(Cerec Omnicam, CS3500, iTero, Trios, TruDef)의 구강 스캐너로 제조사의 지시대로 스캔하였다. 폴리비닐실록산 교합 재료로 고정시킨 금속 지그를 이용하여 우측 구치부를 1, 2, 3, 4 mm 단계적으로 올린 후 좌측 협측 악간관계 스캔을 채득하였다. 두 데이터를 중첩하여 전체적인 삼차원 변이를 평가하였고, 교합 평면에 수직인 단면을 분석하여 교두간 거리의 양과 방향을 평가하였다. 결과: 중첩연구에서 Cerec Omnicam ($165.5{\mu}m$)이 가장 적은 변이를 보였고, CS3500 ($369.0{\mu}m$)이 가장 큰 변이를 보였으며(P < 0.01), 1 mm 보다 3, 4, 2 mm 이개 그룹에서 변이가 유의미하게 컸다(P < 0.01). 단면 연구에서는 Cerec Omnicam이 교두끼리의 거리가 가장 먼 변이를 보였고($-242.8{\mu}m$), CS3500이 가장 가까워지는 변이를 보였으며($312.5{\mu}m$), 다른 거상 높이 보다 3 mm 이개 그룹에서 유의하게 변이가 컸다(P < 0.01). 결론: 구강 스캐너 마다 협측 악간관계 스캔을 이용해 상하악 교합 관계를 재현하는 정확성이 달랐다.

임플란트 단일 치아 수복 시 수직 침하와 인접치와의 위치 변화: 증례 보고 (Axial displacement in single-tooth implant restoration: Case report)

  • 정승회;김선재;장재승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126-133
    • /
    • 2021
  • 여러 연구에서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수직 침하에 대해 보고되고 있지만, 구강내 임플란트 지지보철물의 기능 시 수직침하 양상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증례에서는 2명의 환자에서 구치부 단일 치아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3차원적인 변화를 평가하였다. 내부연결형 임플란트를 식립하였으며 통상적인 방법으로 Screw-Cement Retained Prosthesis(SCRP) 형태의 보철물을 제작해 장착하였다. 구강스캐너(Cerec Omnicam, Dentsply Sirona, USA)를 이용해 보철물 장착 시, 장착 1주, 1개월, 1년 후 구강 스캔을 시행하였으며 디지털 분석 프로그램(Geomagic Control X, 3D systems, USA)을 이용해 기간에 따른 위치 변화를 3차원적으로 평가하였다. 인접 치아를 기준으로 보철물 장착 후 임상적인 위치 변화가 나타났으며 변화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다.

Comparison of accuracy between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two and three dimensional evaluations

  • Bi, Chuang;Wang, Xingyu;Tian, Fangfang;Qu, Zhe;Zhao, Jiami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4권4호
    • /
    • pp.236-249
    • /
    • 2022
  • PURPOSE.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accuracy between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al model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depending on the implant location and the scanning span. Digital impressions were captured using the intraoral optical scanner TRIOS (3Shape, Copenhagen, Denmark). Conventional impressions were taken with the monophase impression material based on addition-cured silicones, Honigum-Mono (DMG, Hamburg, Germany). A high-precision laboratory scanner D900 (3Shape, Copenhagen, Denmark) was used to obtain digital data of resin models and stone casts. Surface tessellation language (STL) datasets from scanner were imported into the analysis software Geomagic Qualify 14 (3D Systems, Rock Hill, SC, USA), and scan body deviations were determined through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analyses. Each scan body was measured five times. The Sidak t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experimental data. RESULTS. Implant position and scanning distance affected the impression accuracy. For a unilateral arch implant and the mandible models with two implant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ccuracy between the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on scan bodies; however, the corresponding differences for trans-arch implants and mandible with six implants were extremely significant (P<.001). CONCLUSION. For short-span scanning, the accuracy of digital and conventional implant impression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or long-span scanning, the precision of digital impressions was significantly inferior to that of the traditional impressions.

부분무치악 환자에서 구강스캐너의 지대주 자동중첩기능을 이용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 수복 증례 (Restor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is using the automatic abutment superimposition function of the intraoral scanner in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 박근우;박지만;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79-87
    • /
    • 2021
  • 구강 스캐너를 이용한 디지털 인상과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은 점차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인 인상 채득, 작업모형의 제작, 왁스 납형 제작 및 주조의 복잡한 과정이 단축되었으며 환자의 방문 횟수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구강 스캐너 기술의 발전으로 디지털 인상의 정밀도와 정확성이 향상되었으며, 그 적응증은 보다 광범위한 부위의 고정성 치과보철물의 수복으로 점차 확대되어지고 있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광범위한 부위의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의 수복을 위하여, 컴퓨터로 계획하고 가이드 수술용 템플레이트로 완전히 가이드된 수술을 하고, 즉시/조기 임플란트 보철물을 장착하였으며, 임시 보철물에서 최종 보철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구강스캐너의 지대주중첩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임플란트 수술 당일 획득한 구강스캔으로 맞춤형 지대주를 포함한 임시 보철물을 제작하여 활용하였으며, 최종 보철물은 임시 보철물에서의 맞춤형 지대주를 낀 채로 구강스캔하여 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임시 보철물 장착 전에 미리 스캔해서 라이브러리화한 맞춤형 지대주 데이터를 구강스캐너 소프트웨어 '지대주 자동중첩 기능'으로 최종 디지털 인상에 자동적으로 매칭하였고, 치은연하마진인 부분도 지대주를 탈거하지 않고, 치은압배사 없이 정밀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구강스캐너와 소프트웨어의 다양한 기술을 응용하여 임플란트 치료 과정을 디지털 워크플로우로 변화시킴으로써, 환자 불편감 및 치료 시간을 단축하였으며, 환자와 술자에게 모두 이롭고 예지성 있는 치료가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