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ersonal trus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2초

평판의 위력: 사회적 평판이 호감과 신뢰 및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The Power of Reputation: Can Socal Reputation Effect on Likability, Trust and Prefer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 이흥표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3호
    • /
    • pp.261-2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평판을 정의하고 대인관계에서 호감, 신뢰도 및 관계형성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비 연구에서는 남녀 6명씩 12명의 자원한 인물 사진을 제시하고 60명의 평정자로 하여금 외모 매력도를 평가하게 한 후, 척도의 중간값에 가장 가까운 평가를 받은 남녀 인물 사진 1명씩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인물 사진 및 그 인물에 대한 녹음된 긍정적, 부정적 평판 시나리오를 제시한 후 260명의 평정자로 하여금 호감, 신뢰도 및 관계형성 선호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외모의 매력도 역시 호감도, 신뢰수준 및 관계형성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으나 사회적 평판이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긍정적 평판을 받은 인물은 부정적 평판을 받은 인물에 비해 호감도, 신뢰수준 및 관계형성 선호도가 매우 높았다. 또한 긍정-부정 평판, 사진의 성별, 평정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부정 평판과 사진의 성별, 그리고 평정자의 성별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고 있었는데, 평판이 좋을 때는 평가대상이 여성이거나 평정자가 여성인 경우 남성에 비해 높은 호감이나 신뢰도 및 선호도를 나타내었지만 이와 달리 평판이 나쁠 때는 평가 대상이나 평정자가 여성인 경우 모두 남성에 비해 호감도나 신뢰도 및 선호도가 오히려 낮아지고 있었다. 이와 관련된 본 연구의 의미 및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

  • PDF

개인간 신뢰형성 과정에서 미디어의 역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ole of Media in the Building of Interpersonal Trust)

  • 오진욱;조남재
    • 경영과학
    • /
    • 제33권2호
    • /
    • pp.29-47
    • /
    • 2016
  • Trust is formed from the day-to-day and persistent interaction relationship. The trust demands more and more at the age of uncertainty. Human beings are using media interaction. The area of communication with media is extended to virtual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ain trust building process in virtual team by media using. In the pursuit of this purpose, we execute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erson who have experience communicating by media with a man of a complete stranger. They experienced the trust building process.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a Structured Coding Techniques. The derived seven categories were re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and the flow of events. We have discovered a new trust model that was the result from communication by a media using. The model presented is very useful to Individuals who need a new trust building relationship with stranger or virtual team member.

병원 조직 및 구성원들 간 신뢰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tecedents of Trust among Hospital Employees)

  • 황슬기;김성호;서영준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4
    • /
    • 2016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ntecedents of trust with regard to organization and interpersonal trust among the employees of a hospital organizatio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942 employees who work at ten hospitals of Seoul in other cities in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and AMOS Ver. 18.0 and by a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main finding here was that the trust of hospital employees is significantly affected by fairness, consideration, morality, compete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Conclusions : This result implies that hospital administrators should endeavor to improve the level of trust of among the employees of their organization and in therir coworkers through a fair reward system, an ethical management philosophy, by instilling a high competency level compared to other hospitals, and by ensuring high levels of social responsibility.

가상조직 참여자 간의 기술특성, 조직평판과 대인신뢰에 대한 지각과 조직 효율성 (Skill Uniqueness, Organizational Reputation and Interpersonal Trust between Virtual Organizations Participants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 남기찬;박양규;박경규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3권3호
    • /
    • pp.1-21
    • /
    • 2003
  • Facing competitive and complicated business environment, many companies are developing new and diverse organization forms not only to overcome to minimize costs and risks but also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an organization. Virtual organizati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allowing firms to create this value though a link of core competency among firms. In order to explain the performance of virtual organization in terms of efficiency, this study utilizes a concept of trust since it is recently considered as one of core concept to enhance the cooperative performance between firms and also virtual organizations success or failure can not be properly explained by traditional transaction-cost based economic point of view.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is study derives three success factors, organizational reputation, skill Uniqueness, and interpersonal trust and studies how three factors influence on the efficiency of virtual organization. Finding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 first, organization reputation and skill uniqueness between virtual organization's transaction parties are important elements in the success of virtual organization. Second, interpersonal trust affected by organization reputation and skill uniqueness decides virtual organization's efficiency.

온라인상에서 정보공유 의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ntion and Behavior of Sharing Information in Online World: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Information Importance)

  • 김구
    • 정보화정책
    • /
    • 제20권1호
    • /
    • pp.22-41
    • /
    • 2013
  •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신뢰와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를 선행요인으로, 정보 중요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한 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도는 온라인상의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대면 정도로부터 영향을 받는 동일시기반 신뢰와 상호성 규범 중에서 상호성 규범이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동일시기반 신뢰는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에 유의적 관계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성 규범은 정보공유 의도가 매개된 경우에 정보공유 행동과 유의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중요성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조절변수의 개입이 배제된 상태보다 개입된 경우에 더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정보의 중요성 정도에 따라 상호성 규범과 정보공유 의도 및 정보공유 행동의 관계가 변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결혼생활 적응을 위한 결혼 전 상담 프로그램 효과검증 연구 (Evaluation of a Premarital Counseling Program for Marital Adjustment)

  • 김미경;송정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9호
    • /
    • pp.77-87
    • /
    • 2006
  • This study focused on a premarital counseling program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The program consisted of eight sessions and was conducted with twelve premarital couples: six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six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First, the premarital counselling program influenced the relationships of the premarital couples such as communication, sexual attitude, conflict solution, financial management, openness, interpersonal trust, and intimacy. Second, the male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more than the female group in the areas of communication, conflict solution, and sexual attitude. The effects of the program continued to be effective after three months.

참여의사결정과 대인신뢰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and Interpersonal Trust Effects on the Productivity)

  • 정기호;황종호;홍순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264-272
    • /
    • 2005
  • 본 연구는 내부조직관계에서 대인신뢰를 구성원들의 상대방(부하, 동료, 상사)에 대한 능력, 상호 믿음과 지원에 기반을 두는 것으로 정의하고, 조직구성원들의 협력적 관계는 조직결과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가정하여,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생산성의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직무수행에 관련한 의사결정에 참여도와 성과의 피드백만족도 그리고 개방적 의사전달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업무생산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대인신뢰에 기반을 둔 행정조직은 또 다른 관리적 도전인 문화적 다양성의 증대와 고객기대의 충족에 대처하게 되므로, 상사와 부하간의 대인신뢰를 구축하는 것은 구성원의 직무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조직몰입을 강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ustomer Coproduction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in e-Commerce

  • Lee, Ju-Min;Han, In-Goo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7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 /
    • pp.473-478
    • /
    • 2007
  • As customers' participation in B2C e-commerce increases, customers are getting more involved in the delivery of services, which may even go beyond the completion of service transactions. To examine such proactive extra-role online customer behavior, we delve in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ramework, which has been recently extended to examine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CCB) in the service market area. Although CCB is vital for online retailing success, MIS and e-commerce research efforts have generally focused on the customer's customer coproduction that are customer in-role behaviors. Moreover, although the effect of information created by anonymous strangers on other customers increase, interpersonal trust research have focused on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ller and a customer.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wo research questions: What are motivational factors that affect CCB? How differently do the two kinds of interpersonal trusts (trust in online retailer and trust in customers) influence customers?

  • PDF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among Chinese Urban Resi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dentification

  • Chen, Hong;Qin, Jing;Li, Jing;Zheng, Guangjia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84-105
    • /
    • 2016
  • The instability of social norms on the Internet causes the diversity of social identification. Meanwhile, the anonymity of online social identity and the chaos of the role-playing among the interacting participants cause an ambiguity of identity recognition, which intensifies anxiety about interpersonal interaction. Methods that promote face-to-face interpersonal interaction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identification to the social system and intergroup trust is worth further research. Based on a telephone survey of urban residents in thirty-six cities in China (N=1080), the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Internet use on interpersonal interaction of urban residents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identif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Internet use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interactions of urban residents, and social identification plays a mediating effect between Internet use and interpersonal interaction.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한국문화에서 대인관계 신뢰-불신의 기반과 심리적 기능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 (Cultural Approach on the Basis of Interpersonal Trust and Distrust in Korean Culture)

  • 최상진;김기범;강오순;김지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spc호
    • /
    • pp.1-20
    • /
    • 2005
  • 한국인의 대인관계 신뢰와 불신의 형성 기반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신뢰와 불신에 대한 서구 문화권의 행동 중심의 합리적, 산술적 접근법이 신뢰의 문화특수적인 특성을 설명할 수 없음을 직시하고, 대인관계에서 신뢰의 이유와 기능, 불신의 이유와 기능 등의 분석을 통해 친밀한 대인관계, 즉 우리성·정 관계를 근간으로 하는 신뢰의 형성 기반을 질적인 접근법을 취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신뢰와 불신의 형성 기반이 독립적인 차원인가 아니면 연속선상에서 양극단인가에 대한 문제에 접근하고자 했다. 분석결과, 상대방을 신뢰하는 이유는 상대방과의 오랜 친밀한 관계에서 상대방의 일관성과 정직함 등 상대방이 어떤 사람이라는 것을 그리고 그 사람의 마음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불신의 이유는 언행이 불일치하거나 관계에서 이기적일 때, 즉 상대방을 배려하지 않을 때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신뢰와 불신의 형성기반은 독립적이지도 대칭적이지도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신뢰와 불신의 기능은 심리적 위안감(불안)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