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ukin-6 (IL-6)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4초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improves insulin resistance by modulating inflammatory cytokine secretion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C57/BL6J mice

  • Yang, Jung-Hwa;Lim, Hyeon-Sook;Heo, Young-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99-105
    • /
    • 2010
  • Obesity is considered a mild inflammatory state, and the secretion of inflammation-related cytokines rises as adipose tissue expands. 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ukin 6 (IL-6) and monocyte-chemoattractant protein 1 (MCP-1), are modulated by adipose tissue and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insulin resistance which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obesity related disorder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s of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on inflammatory cytokines and insulin resistance in diet induced obese C57/BL6J mice. The obese state was induced by a high fat diet for 20 weeks and then the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bese control group (OBC, n = 7) and experimental group (OB-SBE, n = 7). The OBC group was fed a high fat diet and the OB-SBE group was fed a high fat diet containing 5% Sasa borealis leaves extract (SBE) for 12 weeks. We also used mice fed a standard diet as a normal control (NC, n = 7). The body weight and adipose tissue weight in the OB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C group. The effects of the high fat diet were reduced by SBE treatments, and the body weight and adipose tissue deposition in the OB-SBE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OBC group. The OBC group showed higher serum glucose and insulin levels which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incremental area under the curve (IAUC) and HOMA-IR than the NC group. Also, serum leptin, TNF-${\alpha}$, and IL-6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C group than in the NC group. In contrast, the OB-SBE group showed a reversal in the metabolic defects, including a decrease in glucose, insulin, IAUC, HOMA-IR, TNF-${\alpha}$, IL-6 and leptin leve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SE can suppress increased weight gain and/or fat deposition induced by a high fat diet and theses effects are accompanied by modulat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 and IL-6 secretion resulting in improved insulin resistance.

호박 덩굴손 물 추출물의 염증제어 활성 (Inflammation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pumpkin's tendril)

  • 정하나;최주희;이하늘;이소현;조순장;박종환;김영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1122-1128
    • /
    • 2017
  • 애호박의 부위 중 덩굴손 유래의 열수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 및 염증제어활성 대하여 조사하였다. 애호박 덩굴손의 열수에 대한 세포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0.313-2.5 mg/mL의 농도일 때 물 추출물은 세포의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BMDMs를 배양한 세포에 호박덩굴손 열수 추출물과 LPS와 함께 처리한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및 TNF-${\alpha}$의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호박 덩굴손 열수 추출물로부터 단리 정제된 rutin에 의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가 억제되었다.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호박의 부위별로 조사해본 결과 호박부위 중 유일하게 덩굴손부분에서 염증억제 활성을 보였다. 쥬키니 호박, 애호박 및 늙은 호박의 덩굴손에서 유효성분인 rutin을 함유하고 있었고 향후 염증 억제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중등도 유산소 운동이 비만아동의 adiponectin, RBP-4(retinol binding protein-4) 및 혈관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derate Aerobic Exercise on Adiponectin, Retinol Binding Protein-4, and Vascular Inflammation Factors in Obese Children)

  • 이성수;소용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44-750
    • /
    • 2012
  • 본 연구는 비만아동을 대상으로 12주간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통해 신체조성, 아디포넥틴, RBP-4, 혈관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은 두 집단으로, 운동군(n=15)은 12주간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고, 대조군(n=13)은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운동군은 여유심박수 50%의 운동강도로 300 kcal에 도달할 때까지 트레드밀에서 런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운동군이 통제군보다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이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5), 최대산소섭취량은 운동군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공복시 혈당, 인슐린과 인슐린저항성은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아디포넥틴은 12주 운동 후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혈중 RBP-4, CRP, IL-6 농도는 대조군보다 운동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본 연구에서 12주간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프로그램은 비만 아동들의 염증과 신체지수 개선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i-tumo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the Methanol Extracts from Adlay Bran

  • Lee, Ming-Yi;Tsai, Shu-Hsien;Kuo, Yueh-Hsiung;Chiang, Wench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6호
    • /
    • pp.1265-1271
    • /
    • 2008
  • Adlay bran is a waste product previously thought to have no commercial value, Its methanolic extract was fractionated using n-hexane (ABM-Hex), ethyl acetate (ABM-EtOAc), 1-butanol (ABM-BuOH), and water (ABM-$H_2O$). The ABM-EtOAc fraction exhibited a strongest inhibition against growth of human lung cancer cell A549 and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s HT-29 and COLO 205. Inhibi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at $G_0/G_1$ transition, increase of cells at the sub-$G_1$ phase, and DNA ladders were observed in cells treated with ABM-EtOAc. The ABM-BuOH fraction showed the strongest inhibi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ukin (IL)-$1{\beta}$ in 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urther, ABM-EtOAc and ABM-BuOH inhibited cyclooxygenase (COX)-2 expression in A549 and HT-29 carcinoma cells, while COX-l expression was not affected. These results reveal that both ABM-EtOAc and ABM-BuOH may aid the prevention of cancers and the applications in cancer chemotherapy.

생지황(生地黃) 추출물(抽出物)이 DNCB로 유발(誘發)된 생쥐의 Allergy성(性) 접촉피부염(接觸皮膚炎)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Rhemanniae radix extract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on Mice induced by DNCB)

  • 신광식;손정숙;김동은;전원준;정승현;신길조;이원철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57-279
    • /
    • 2000
  •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s a common skin disease resulting from specific immunologic to topically applied various allergen. After Dinitrochlorobenzene (DNCB) secondary sensitization, the ICR mice administered Rhemanniae radix extract (RRE) was observed to ascerstain the effect of RRE o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abdominal skin morphologic changes. Including mast cells and cell-surface glycoconjugates. The change of interleukin 2 (IL-2) receptor (CD25R). ICAM in abdominal skin, lymph node of inguinal region, and electro microscope-morphologic changes of abdominal sk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ntact hypersensitivity assay, the ear swelling in the RRE had lesser probability than in the ACD Group. 2. In the general morphologic change of skin, hyperplasia of keratinocytes, distribution of vasculogenesis and epidermal lymphocytes infiltration were decreased in the RRE group compared with the ACD group. In epidermal basal layer and prickle layer, cell damage was decreased in the RRE group compared with the group painted with ACD. 3. MasT-cell in dermis was decreased in the RRE group compared with the group painted with DNCB. 4. Distribution of interlukin-2 Receptior positive cell and ICAM positive cell in dermis was decreased in the RRE Group compared with the ACD group. 5. Distribution of helper T-lymphocyte and cytotoxic T-lymphocite in inguinal nodes was decreased in the RRE group, and was observed well in paracortical area and cortical cord. 6. Distribution of apoptotic cell was appeared in the RRE group compared with the ACD group, in skin, dermis. in inguinal nodes, paracortical area observed well. With above results, the restarint of immunosuppression occuring i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is resulted in the slow progress the effect of Allergic contact dermatitis, and it is thought that ithis fact has a series of relation with apoptosis.

  • PDF

바우미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Anti-inflammation Effect of Aqueous Extracts from Phellinus baumii)

  • 김혜민;이동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79-18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바우미 상황버섯의 열수 추출물의 항염증 기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식세포주인 RAW264.7을 lipopolyssacharide (LPS)로 활성화 시킨 후, 바우미 상황버섯에서 복수의 조건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처리하여 면역 및 염증 발생 경로의 활성도를 측정하여 바우미 상황버섯의 면역증강기능 및 항염증기능을 검증하였다. RAW264.7을 LPS로 처리하였을 때 전형적인 소포체 스트레스를 수반한 염증 반응이 시현되었다. 전형적인 마커인 Grp78, Grp94 및 CHOP의 과발현을 시현하였고, 인터루킨 6 (IL-6)과 염증발현의 표시인자인 nitric oxide(NO) 발현을 증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이 처리된 세포에 바우미 상황버섯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소포체 스트레스는 경감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염증유발의 신호인자인 NO의 발생량과 이를 생성하는 효소인 iNOS의 발현량이 현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바우미 상황버섯의 추출물은 유도된 소포체스트레스를 경감하는 효능을 보임과 동시에 항염증의 기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오골계 증탕액 급여가 흰쥐의 혈중 호르몬, Cytokine 및 특이항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High Pressure Boiled Extracts (HPBE) of the Ogol Chicken with Herbs on the Hormones, Cytokine, Specific Antibody of Serum in the Rat)

  • 채현석;안종남;유영모;함준상;이종문;윤상기;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83-292
    • /
    • 2004
  • 본 연구는 흰쥐(S.D, ♂)에 각 처리에 따라 기초사료로 시판사료(T$_1$)를 무제한 급여하면서 시험사료로 한약 증탕액 (T$_2$), 오골계 증탕액(T$_3$), 오골계 교잡종 육에 Flavourzyme을 0.1%첨가하여 가수 분해시킨 후 한약제와 혼합하여 증탕시킨 증탕액(T$_4$)을 35일간 경구 투여한 후 흰쥐의 혈청에 대한 glucose및 hormones과 면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비만하였을 때나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insulin 함량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나 효소 처리 오골계 교잡종 증탕액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체중 증가가 일반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어도 insulin 함량이 일반사료 급여구보다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바람직한 생리현상을 나타냈다. Aldosterone은 스테로이드 계통의 호르몬으로 물의 생리적 밸런스와 혈압조절에 관여하는데 일반사료 급여구에 비해 한약 증탕액, 오골계 증탕액,효소 처리 오골계 증탕액 급여 구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 고농도 단백 식이의 급여에도 불구하고 aldosterone수치의 저하로 혈압 저하의 효과를 나타 낸 것은 한약을 첨가시켜 고압으로 처리시킨 증탕액의 효과와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소화가 용이하도록 처리한 결과로 사료된다 Cortisol은 스트레스 측정에 감도가 높은 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는데 일반사료급여구가 0.67 nmol/L인 반면 증탕액을 급여한 구에서는 0.40∼0.49 nmol/L으로 cortisol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는데 이는 aldosterone에서와 같이 한약제와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함에 따른 효과로 사료된다. 흰쥐에 증탕액 급여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IL-4, IFN-v 및 anti-BSA IgG의 역가는 일반사료를 급여한 처리구에 비해 오골계 증탕액 및 효소 처리 오골계 교잡종 증탕액 급여구에서 spleen과 serum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앞에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한약(십전대보탕)의 효과와 소화시키기 쉬운 고농도의 단백질 가수분해 물질의 다량 섭취에 의해 면역 활성이 증가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