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leukin-2

검색결과 2,107건 처리시간 0.032초

체외순환시 염증과 혈액학적 반응에 대한 관류온도의 영향 (The Influences of Perfusion Temperature on Inflammatory and Hematologic Responses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 김상필;최석철;박동욱;한일용;이양행;조광현;황윤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0호
    • /
    • pp.817-826
    • /
    • 2004
  • 배경: 심혈관 수술 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저체온 체외순환이 세포의 저체온 손상, 말초혈관계의 비정상적 반응 및 수술 후 높은 출혈 경향을 일으키는데 비해 정상체온 체외순환은 이러한 저체온 체외순환의 유해한 효과들을 예방하고 심장의 빠른 회복을 가져다준다고 한다. 저자들의 연구는 염증 및 혈액학적 반응에 대한 저체온 체외순환과 정상체온 체외순환의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전향적으로 실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심장수술이 계획된 34명의 성인 환자들을 연구목적에 따라 무작위로 저체온 체외순환군(비인두 온도 26~28$^{\circ}C$, n=17, 저체온군)과 정상체온 체외순환군(비인두 온도&35.5$^{\circ}C$, n=17, 정상체온군)으로 나누었다. 심근보호는 양 군 모두 비혈액성 냉각심정지법을 적용하였다. 환자들로부터 체외순환 시작 전(Pre-CPB), 체외순환 실시 10분(CPB-10), 체외순환 종료 후(CPB-OFF)에 요골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총 백혈구 수, 혈소판 수, interleukin-6 (IL-6)농도의 변화율(백분율로 표시), D-dimer 농도, protein C 활성도 및 Protein S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수술 후 24시간 출혈량, 혈액제제 사용량도 조사하여 양 군 간에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Pre-CPB에 비해 CPB-OFF의 경우 정상체온군의 총 백혈구 수(10,032$\pm$65/mm$^3$) 및 IL-6 증가율(353$\pm$7.0%)이 저체온군의 총 백혈구 수(7,254$\pm$$48/mm^3$) 및 IL-6 증가율(298$\pm$7.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2 및 p=0.03). 그러나 정상체온군의 protein C activity (32$\pm$3.8%) 및 protein S activity (35$\pm$4.1%)는 저체온군의 protein C activity (45$\pm$4.3%) 및 Protein S activity (51$\pm$3.8%)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4 및 p=0.009). 체외 순환 중 혈소판 수와 D-dimer농도의 변화는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상체온군의 수술 후 24시간 출혈량(850$\pm$23.2 mL) 및 수혈을 위한 농축적혈구(1,402$\pm$20.5 mL), 신선냉동혈장(970$\pm$20.8 mL), 농축 혈소판(252$\pm$6.4 rnL) 사용량은 저체온군의 수술 후 24시간 출혈량(530$\pm$21.5 mL) 및 수혈을 위한 농축적혈구(696$\pm$15.7 mL), 신선냉동혈장(603$\pm$18.2 mL), 농축혈소판(50$\pm$0.0 mL) 사용량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4 및 p=0.01, p=0.04, p=0.01). 결론: 정상체온 체외순환은 저체온 체외순환에 비해 더 높은 염증반응, 수술 후 더 많은 출혈 및 혈액제제 사용량의 증가를 유발하므로, 저자들은 심장수술시 정상체온 순환법을 일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Bleomycin 유도 폐 섬유화에 있어서 성장인자 및 Cytokine의 역할 (Role of Growth Factors and Cytokines on Bleomycin Induced Pulmonary Fibrosis)

  • 이용희;정순희;안철민;김성규;조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4호
    • /
    • pp.871-888
    • /
    • 1997
  • 연구배경 : 특발성 폐 섬유화확 병인론으로 폐포염과 폐에 침윤한 염증세포 및 폐 조직자체의 실질세포들이 성장인자를 포함한 다양한 cytokine을 분비하여 실질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에 손상을 야기함으로써 종국에는 섬유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가 부족하고 매개체 각각에 대한 단편적인 논문들뿐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BLM유도 폐 손상및 섬유화의 발생기전에 있어서 IL-1, IL-6, TNF-$\alpha$와 TGF-${\beta}_1$, PDGF, bFGF들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Wistar백서를 정상대조군, BLM투여군, BLM과 비타민 E병합투여군으로 나누었고 BLM 투여후 제 1, 2, 3, 4, 5, 7, 14, 21, 28일에 각각 도살한 다음 기관지폐포 세척술을 시행하여 시기별 총 세포수, 세포 구성성분비율을 살펴보았고 TGF-${\beta}_1$, PDGF, bFGF, IL-1, IL-6, TNF-$\alpha$에 대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TGF-${\beta}_1$ mRNA에 대한 동소보합결합검사를 시행, 각 매개체의 생성소, 발현분포 및 정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BLM 투여후 1~7 일에 중성구와 기관지상피세포에서 생성된 IL-1, IL-6는 폐손상부위로 원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7일이내에 기관지상피세포에서의 IL-1, IL-6 의 양성발현은 기관지상피세포가 BLM 유도 폐 섬유화시 기도주변에서 일어나는 염증 및 면역반응을 항진 및 유지시키는 간접증거로 생각된다. TNF-$\alpha$는 BLM투여후 1~5일에는 기관지상피세포, 중성구가 주생성소로 폐손상부위로의 염증세포의 이동에 주요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7~28일에는 대식세포가 주생성소로서 섬유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TGF-${\beta}_1$은 기관지 상피세포, 대식세포가 주생성소로서 섬유모세포가 표적세포로 생각되며 섬유모세포가 세포외 기질을 생성하도록 자극하고 대식세포에서 유리된 PDGF와 함께 섬유모세포의 증식을 자극한다. 대식세포 및 섬유모세포에서 유리된 bFGF는 TGF-${\beta}_1$과 함께 교원질과 같은 세포외기질의 생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비타민 E와 BLM 병합투여군의 경우 6가지 성장인자 및 cytokine의 발현세포는 같았으나 발현세포수는 극히 미미하였고 trichrome염색상 섬유화도 미약하였다. 결 론 : BLM으로 인한 혈관내피 및 폐포상피세포 손상이후 침윤한 중성구 및 기관지 상피세포가 IL-1, IL-6, TNF-$\alpha$를 분비하여 BLM투여 1~7 일에 많은 수의 중성구를 동원하도록 유도하며 이들이 유리하는 다양한 효소 및 산소유리기가 폐의 정상구조를 파괴하여 섬유화를 시작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손상이 진행됨에 따라 BLM투여 7~28 일에 대식세포가 유리하는 TGF-${\beta}_1$, PDGF, bFGF, TNF-$\alpha$는 섬유모세포를 자극, 이들의 증식을 유도하고 또한 세포외기질의 생성증가를 유도하여 폐 섬유화를 진행시키는 것으로 사료되며 TNF-$\alpha$는 BLM투여후 전 기간에 걸쳐 다수의 세포에서 발현된 점으로 미루어 섬유화에 있어서 TGF-${\beta}_1$ 못지않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비타민 E가 BLM유도 폐 손상으로 인한 폐 섬유화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주박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과 (Ethyl Acetate Extract of Korean Rice Wine Lees Inhibits IgE-Mediated Degranulation in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an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Mice)

  • 강여진;박세진;배기호;유정민;표형배;최지호;김택중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364-1369
    • /
    • 2011
  • 제 1형 과민반응은 비만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알러지 반응으로서, 예기치 못한 알러젠에 의해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어 탈 과립 되면서 히스타민등과 같은 여러 가지 매개체들을 분비하면서 과도하게 면역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주박(Korean rice wine lees)은 청주, 약주 등의 술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양조 부산물로서, 최근들어 청주를 걸러내는 과정에서 생기는 술 지게미의 생리기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박의 ethyl acetate (EA) 추출물을 이용하여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주박 EA 추출물이 탈과립의 표지인 ${\beta}$-hexosaminidase의 양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탈과립억제 현상이 다양한 사이토카인 중 IL-3과 IL-13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매개된다는 사실을 RT-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쥐에서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PCA)를 유도하여 EA를 경구투여 했을 때 anaphylactic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주박 EA 추출물이 항 알러지 약물의 개발에 잠재적인 후보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Effect of Bacillus Subtilis-based Direct-fed Microbials on Immune Status in Broiler Chickens Raised on Fresh or Used Litter

  • Lee, K.W.;Lillehoj, H.S.;Jang, S.I.;Lee, S.H.;Bautista, D.A.;Siragusa, G.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1592-1597
    • /
    • 2013
  • Type of dietary direct-fed microbials (DFMs) or poultry litter could directly influence the composition of gut microbiota. Gut microbiota plays an important role in shaping the developing immune system and maintaining the homeostasis of the mature immune system in mammal and chicken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teraction among litter, DFMs and immunity in broiler chickens exposed to a field-simulated environment. Immune status of broiler chickens was assessed by serum antibodies against Eimeria spp. and Clostridium spp. and intestinal cytokine mRNA expression. The current experimental design had a $3{\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with three types of litter, i.e., fresh litter or used litter that was obtained from a farm with no disease outbreak (used litter) or a farm with history of a gangrenous dermatitis outbreak (GD litter), and two dietary treatments with or without DFMs. It was found that either DFM addition or type of litter significantly affected anticoccidial antibody levels of broiler chickens at d 42. In general, dietary DFMs increased the anticoccidial antibodies in the fresh-litter raised chickens, but lowered the levels in the GD-litter raised chickens. Serum antibodies against Clostridium perfringens ${\alpha}$-toxin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hickens raised on GD litter compared with those raised on fresh litter. Cytokine mRN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p<0.05) altered by either the type of litter or DFMs. Of interest, dietary DFMs lowered interferon-${\gamma}$, interleukin 1beta, and CXCLi2 cytokine mRNA expression in chickens raised on fresh litter but increased them in GD-litter raised chickens. In conclusion, dietary DFMs modulate various immune parameters of broiler chickens, but the DFM-mediated effects were dependent upon the type of litter on which chickens were raised.

Meyerozyma guilliermondii FM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효과 및 면역 활성 (Antioxidant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Sparassis crispa Fermented with Meyerozyma guilliermondii FM)

  • 박성은;서승호;문양선;이유미;나창수;손홍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1398-1405
    • /
    • 2016
  • 꽃송이버섯에서 분리 선발한 Meyerozyma guilliermondii FM을 이용하여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제조하고 항산화 활성 및 면역조절 효과를 조사하였다. 꽃송이버섯 발효물 제조 시 M. guilliermondii FM은 유산균과 비슷한 생육능력을 보였으며, 5일째에는 오히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발효 후 총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유산균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면역저하가 유발된 rat에서 비장 무게는 면역을 저하시킨 대조군보다 꽃송이버섯 비발효 추출물과 발효물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꽃송이버섯 발효물 투여에 따라 TNF-${\alpha}$, IL-2, IgE의 수치는 대조군보다 감소하였으며, IL-10은 증가하였으나 꽃송이버섯 비발효 추출물과 발효물 투여 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M. guilliermondii FM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투여한 실험구는 혈액 내 백혈구 함량이 대조구 및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청폐사간탕이 탕요유발 흰주의 뇌허혈손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ungpaesagan-tang on Ischemic Damage Induced by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in Diabetic Rats)

  • 정춘근;김은영;신정원;손영주;이현삼;정혁상;손낙원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7-230
    • /
    • 2005
  • Objectives: Chungpaesagan-tang (CPSGT), which is frequently used for treating patients of cerebrovascular disease, has not been reported by clinical doctors concerning the effect of neuronal aptosis caused by brain ischemia. To study the effect of CPSGT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normal and diabetic rats and SHR, focal cerebral ischemia was induced by transient MCAO, and after onset CPSGT was administrated. Methods: Rats (Sprague-Dawl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sham-operated group, MCA-occluded group, CPSGT­administrated group after MCA occlusion, and normal group. The MCA was occluded by intraluminal method. CPSGT was administrated orally twice (l and 4 hours) after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All groups were sacrificed at 24 hours after the surgery. The brain tissue Was stained with $2\%$ 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TTC) or $1\%$ cresyl violet solution, to examine effect of CPSGT on ischemic brain tissue. Th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the heart.~. Tumor necrosis $factor-\alpha$ level and interleukin-6 level of serum was measured from sera using enzyme-linked immunoabsorbent assay (ELISA). Then changes of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TNF-\alpha$ in ischemic damaged areas were observed. Results: In NC+MCAO+CP and DM+MCAO+CP, CPSGT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the number of neuron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PSGT markedly reduced (p<0.01) the infarct size of the forebrain in distance from the interaural line on cerebral ischemia in diabetic rats. CPSGT significantly reduced the $TNF-\alpha$ expression in penumbra region of damaged hemisphere in diabetic rats. Conclusions: CPSGT had a protective effect on cerebral ischemia in SD rats, especially in diabetic rats compared with normal SD rats.

  • PDF

The Effect of Dohongsamul-tang on Cytokine Production in Peripheral Blood Monocular Cells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al Infarction

  • Park, Sae-Wook;Lee, Sun-Woo;Kang, Baek-Gyu;Lee, In;Cho, Kwang-Ho;Moon, Byung-Soon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11
    • /
    • 2006
  •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ohongsamul-tang (DHSMT) on the production of various cytokines in lipopolysaccaride (LPS) stimulated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PBMCs) from CI patients. Method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MTT assay. ELISA was carried out for investigating $TNF-{\alpha}$, $IL-1{\beta}$, IL-6, IL-8, IL-4, and $TGF-{\beta}$ 1 Results : The amount o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IL-6, IL-8, IL-4,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TGF)-${\beta}$ 1 in PBMC culture supernatan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PS treated cells compared to unstimulated cells. We show that DHSMT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alpha}$, IL-1${\beta}$, IL-6, IL-8, and IL-4 induced by LP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 maximal inhibition rate of the TNF-${\alpha}$, IL-1${\beta}$, IL-6, IL-8, and IL-4 production by pretreatment of DHSMT (1.0mg/ml) was 38.52 ${\pm}$ 2.5% (P < 0.01), 44.02 ${\pm}$ 3.5% (P < 0.05), 45.32 ${\pm}$ 2.3% (P < 0.01), 42.30 ${\pm}$ 3.1% (P < 0.05), and 49.70 ${\pm}$ 3.1%(P &lt; 0.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DMSM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LPS-induced TGF-${\beta}$ 1 production(P<0.05).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HSMT might have regulatory effects on cytokine production, which might explain its beneficial effect in the treatment of CI.

  • PDF

Suppression of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skin inflammation in mice by transduced Tat-Annexin protein

  • Lee, Sun-Hwa;Kim, Dae-Won;Eom, Seon-Ae;Jun, Se-Young;Park, Mee-Young;Kim, Duk-Soo;Kwon, Hyung-Joo;Kwon, Hyeok-Yil;Han, Kyu-Hyung;Park, Jin-Seu;Hwang, Hyun-Sook;Eum, Won-Sik;Choi, Soo-Young
    • BMB Reports
    • /
    • 제45권6호
    • /
    • pp.354-359
    • /
    • 2012
  • We examined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ANX1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TPA)-induced skin inflammation in animal models using a Tat-ANX1 protein. Topical application of the Tat-ANX1 protein markedly inhibited TPA-induced ear edema and expression levels of cyclooxygenase-2 (COX-2) as well as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1 beta (IL-$1{\beta}$),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lso, application of Tat-ANX1 protein significantly inhibited nuclear translocation of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and phosphorylation of p38 an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in TPA-treated mice ears. The results indicate that Tat-ANX1 protein inhibits the inflammatory response by blocking NF-${\kappa}B$ and MAPK activation in TPA-induced mice ears. Therefore, the Tat-ANX1 protein may be useful as a therapeutic agent against inflammatory skin diseases.

RAW 264.7 대식세포와 궤양성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서의 들깨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erilla frutescens Britton Seed in RAW 264.7 Macrophages and an Ulcerative Colitis Mouse Model)

  • 이유나;송보람;주지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61-6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생 들깨와 볶은 들깨의 염증매개물질 감소 효과를 RAW 264.7 대식 세포와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RAW 264.7 대식세포에서 들깨의 에탄올 추출물은 볶음 여부와는 관계없이 NO, IL-6, TNF-${\alpha}$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대조군 대비 45-85% 수준)가 있었다. 반면 DSS 처리에 의해 궤양성 대장염이 유도된 마우스 모델에서는, 볶은 들깨 식이(1%)만이 대장의 $PGE_2$, $LTB_4$와 같은 염증매개물질 수준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각각 대조군 대비 34%, 58% 수준)가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볶은 들깨는 in vitro 항염성 뿐 아니라 in vivo 항염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앞으로 들깨의 볶음 과정에서 생성된 항염 기능 성분들을 분리 동정하는 연구와 볶은 들깨의 항염성과 관련된 기전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볶은 들깨가 대장염을 포함한 여러 염증관련 질병 예방에 유용한 소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대혈 및 말포혈로부터 분리한 CD34 양성 세포의 체외 증폭 및 클론 유지 (Ex vivo Expansion and Clonal Maintenance of CD34+ Selected Cells from Cord Blood and Peripheral Blood)

  • 김순기;길혜윤;송순욱;최종원;박상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8호
    • /
    • pp.894-900
    • /
    • 2005
  • 목 적 : 조직적합 항원의 불일치로 인하여 골수이식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점점 더 제대혈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제대혈의 조혈모세포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이를 증가시킬 대책이 필요한 바, 여러 성장인자를 조합하여 체외증폭하여 말초혈의 체외증폭과 비교하였다. 방 법 : 저자들은 제대혈 및 말초혈로부터 분리한 CD34+ 세포를 혈청이 아닌 배양체에서 체외 증폭하여 비교하였다. Miltenyi 방법으로 분리한 CD34+는 조혈성장인자들과 함께 체외 증폭 시켰다. 증폭 당일, 4일 후, 7일 후 및 14일에 증폭된 세포를 가지고 burst-forming units of erythrocytes (BFU-E), colony-forming units of granulocytes and monocytes (CFU-GM) 및 colony-forming units of megakaryocytes (CFU-Mk)의 생성 능력을 알아보았다. 결 과 : 말초혈에 비하여 제대혈로부터 분리한 CD34+ 세포의 증폭 능력이 2배로 컸다. 체외에서7일 및 14일 동안 증폭된 제대혈이 더 많은 BFU-E를 생성하였고, 4일 및 7일 동안 증폭된 제대혈이 더 많은 CFU-Mk를 생성하였다. 결 론 : MGDF, FL 및 IL-3를 포함한 성장인자의 자극 하에서 제대혈의 체외 증폭이 더 많은 BFU-E 및 CFU-Mk를 생성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한 체외 증폭을 시도하는 것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