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6초

효모의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조건 (Conditions for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of Yeast)

  • Kim, Young-Ho;Seu, Jung-Hw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3-389
    • /
    • 1985
  • 전분을 발효할 수 있는 새로울 효모균수의 개발을 목적으로 PEG를 fusogen으로 사용하여 이속 효모간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였다. 원형질체 융합에 사용한 친균주의 genetic marker로는 상보적 영양요구성을 이용하였고 각각의 영양요구성이 상호보완되어 최소배지상에 자라는 colony를 융합체로하였다. S. cerevisiae와 C. tropicalis의 이속간 원형질체의 융합빈도는 $10^{-4}$에서 $10^{-6}$ 정도였으며, 원형질체 융합에 있어서 PEG 4,000. 30%가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적 pH는 8.0이었으며, PEG의 처리효과는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증가하여 35$^{\circ}C$에서 최적을 나타내었고 또한 Ca이온의 첨가에 의해서도 증가하였는데 Ca 이온의 촉진효과는 1mM과 100mM 농도 사이에서 최고를 나타내었다.

  • PDF

Brevibacterium flavum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L-라이신 생산균주 개발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by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of Brevibacterium flavum and Corynebacterium glutamicum)

  • Kyung, Ki-Cheon;Lim, Bun-Sam;Lee, Se-Yong;Chun, Moon-Jin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79-283
    • /
    • 1985
  • L-Lysine생산균주 육종의 한 방법으로, Brevibacterium flavum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의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균주에 대한 원형질체 형성과 재생의 최적 조건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21514 S의 경우, lysozyme을 300$\mu\textrm{g}$/$m\el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12시간 경과 후 99%의 원형질체 형성과 12%의 재생율을 보였으며, Brevibacterium flavum ATCC 21528R 은 lysozyme을 400$\mu\textrm{g}$/$m\ell$로 처리했을 때 12시간 경과 후 99%의 원형질체 형성과 10%의 재생율을 보였다. Brevibacterium flavum ATCC 21514 S 의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에서 PEG 농도별 실험을 하여본 결과 PEG 6,000, 30% (w/v)를 사용함으로써 재생세포당 1.2$\times$$10^{-5}$의 재조합 빈도를 얻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재조합주들 가운데 KR$_{43}$ 주는 L-lysine 생성능이 모균보다 12%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as-partokinase 효소 활성 측정치는 모균보다 1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ryne형 세균의 이속간 융합주 MWF 9031에 의한 L-arginine생산 (Production of L-arginine by intergeneric fusant MWF 9031 of coryneform bacteria)

  • 옥치영;박청;한민수;최홍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74-179
    • /
    • 1991
  • Brevibacterium flavum 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 균주간의 원형질체 융합을 실시하였다. 원항질체 융합을 위하여, Brevibacterium flavum ATCC 21493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21831로부터 여러 변이주를 분리하고 융합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저자 등은 Brevibacterium flavum 108-125와 Corynebacterium glutamicum 41-214A 균주 간의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주 MWF 9031의 L-arginine발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융합주 MWF 9031은 10% 포도당이 함유된 배지에서 32.5 mg/ml의 L-arginine을 생산하였다. 융합주의 생리적 성질은 두 모균주의 중간정도를 나타내고, 안정성이 60일 이상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섬유질 기질로부터 L-lysine 생산균주 개발 -원형질체의 형성 및 재생 -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from Cellulosic Substrate by the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Conditions for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rotoplast -)

  • 성낙계;정덕화;이무영;정영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0-155
    • /
    • 1988
  • L-Lysine 생산균주인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과 Corynebacteriurn glutamicum ATCC13032에 섬유소 자화능이 우수한 Cellulomonas flavigena KFCC31221를 속간 융합시켜 섬유소로부터 L-lysine을 생산할 목적으로 이들 균주의 영양요구성 변이주 분리, 원형질체의 형성 및 재생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NTG(500$\mu\textrm{g}$/$m\ell$)로 유기하여 penicillin-G(300$\mu\textrm{g}$/$m\ell$)로 농축한 변이주에서 B. flavum은 hse- str$^{r}$(100$\mu\textrm{g}$/$m\ell$), C. glutamicum는 Met$^{-}$T$hr^{-}$ Rif$^{r}$(5$\mu\textrm{g}$/$m\ell$), C. flavigena 는 T$hr^{-}$Val$^{-}$Kan$^{r}$(50$\mu\textrm{g}$/$m\ell$)의 gene marker를 가지는 영양요구성과 약제내성균주를 분리하였다. 공시균주의 원형질체 형성은 osmotic stabilizer로서는 0.5M sucrose, 배양기간은 대수증식기 중기의 균이 양호하였고, lysozyme 최적 처리 pH, 온도, 농도 및 반응시간은 각각 pH6.5, 33$^{\circ}C$, 500 $\mu\textrm{g}$/$m\ell$, 6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원형질체형성율은 95-98%였다. 원형질체를 1.5% agar가 함유된 완전재생용 배지위에 0.7% agar가 함유된 완전재생용 배지로 중층했을 때 약 30~33%의 재생율을 보였다.

  • PDF

유당 자화 효모간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Lactose Assimilating Yeasts)

  • 최원기;전순배;이용규;배석;이진종;이향
    • 미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8-196
    • /
    • 1988
  • 유당함유 울질로부터 알코올을 생산하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 X 2180-1 A, Candida pseudotropicalis ATCC 8619와 CBS 607 사이에 속간 및 종내 원형질체 융합을 시도하였다. S. cerevisiae X2180-1A(ade rho)와 C. pseudotropicalis CBS 607 (his met)간의 속간 융합율은 $1.0\times 10^{-5}$ C. pseudotropicalis ATCC 8619와 CBS 607 사이의 종내 융합율은 $3.9\times 10^{-6}$ - $1.0\times 10^{-4}$ 이었다. 이는 bovme serum albumin, myoinositol 그리고 ergosterol을 처리하지 않고 얻어진 원형질체 융합율과 비교해서 약 2-3.5배의 증가를 보여 이들 화합물이 속간 및 종내 융합을 증진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DNA 함량, 핵염색, UV 조사에 따른 생존력 비교 그리고 형질분리 후 교잡형 출현 등을 통해서 속간 (S. cerevisiae와 C. pseudotropicalis)과 종내 ( C psemdotropica/is strains) 융합체에서 핵융합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친형과 비교해서 알코올 생성능이 증가된 종내 융합체를 얻었다.

  • PDF

인삼 캘러스와 독활 엽육조직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Panax ginseng Callus and Aralia Continentalis Mesophyll)

  • 박종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3-170
    • /
    • 2008
  • Protoplasts of Panax ginseng C. A. Meyer and Aralia continentalis K. (Araliaceae) were isolated from callus cells and mesophyll cells, respectively. The maximum yield of protoplasts isolated from callus cells of P. ginseng were obtained by incubation for 3 hrs in the enzyme mixture of 0.5% macerozyme, 1.5% cellulase, and 0.5 M mannitol as an osmoticum. In the case of mesophyll cells of A. continentalis, the highest yield of protoplasts were obtained by incubation for 5 hrs in the enzyme mixture of 1% macerozyme, 2% cellulase, and 0.6 M mannitol. A polyethylene glycol (PEG) treatment induced an intergeneric fusion of the protoplasts. The fusion products, that is, heterokaryocytes were obtained by treatment of 50% PEG containing 0.05 M Ca salts.

Saccharomyces cerevisiae의 Transformant와 Candida tropicalis간의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of Heterologous Transformant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Candida tropicalis)

  • Seu, Jung-Hwn;Jun, Do-Youn;Kim, Young-H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1989
  • Transformant TSD-14의 starch 발효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52$^{\circ}C$에서 60분간의 열처리로써 regeneration능을 제거한 TSD-14의 protoplast와 C, tropicalis RCT-40 (lys-)의 protoplast를 20 mM CaC1$_2$를 함유한 30% PEG를 fusogenlc agent로 하여 융합시키고 최소배지상에서 fusant를 선별한 결과 4.4$\times$$10^{-5}$ 빈도로 fusant를 얻었다. Fusant들의 탄소원 자화능을 조사한 결과 parental strains의 성질이 동시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cell volume은 Parental Strains에 비해 약 1.5배정도 크게 나타났다. 또한 fusant는 유전적으로 매우 안정하였으며, parent인 TSD-14와는 달리 $\alpha$-1, 6-glucosidic linkage를 가수분해할 수 있었다. Fusant중 가장 우수 한 FSC-14-75 균주는 15%의 liquefied potato starch로부터 8.7%(v/v)의 ethanol을 생성하였고 또한 이때의 fermentation broth에 0.3%의 peptone을 첨가한 경우, ethanol 생성은 9.3%(v/v) 수준으로 증가하여 총당에 대해 86.0%의 발효율을 나타냈으며 산업적 이용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Nicotiana tabacum과 Solanum nigrum의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서 유도된 캘러스의 단백질 양태변화에 미치는 생장조절제 및 광선의 효과 (The Effect of Growth Regulators and Light Quality on the Changes in Protein Pattern of Callus from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tween Nicotiana tabacum and Solanum nigrum)

  • 김영상;이동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1-155
    • /
    • 1994
  • 담배(Nicotiana tabacum)와 까마중(Solanum migrum)의 솩간 원형질체 융합으로 유도된 켈러스를 재료로하여 캘러스의 전체 단백젤과 틸라코이드막 단백질의 양태변화를 중심으로 식물생장 조절물질과 단색광의 생리적 상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여러 단색 광선을 캘러스에 조사하였을때, 적색 및 청색광이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과 킬라코이드막 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였으며 , NAA+$ extrm{GA}_3$ 와 NAA+BA의 조합구에서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과 틸라코이드막 댄백질의 축척이 활발히 일어났으며, NAA+$ extrm{GA}_3$처리구에서 더욱 효과적 이였다. NAA+$ extrm{GA}_3$ 처리구에 청색광, 적색광 및 근적외광을 제각각 처리하였을때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과 킬라코이드막 단백질의 합성은 적색광에 의하여 가장 촉진되었다. 따라서 적색광과 NAA+$ extrm{GA}_3$구의 동시처리가 캘러스의 전체 단백질 및 킬라코이드막 단백질의 합성을 상승적으로 촉진함을 보였다.

  • PDF

Factors affecting the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Bacillus pumilus and Cellulomonas fimi for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 Kim, D.M.;Lee, K.H.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8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27.3-527
    • /
    • 1986
  • Several factors predicted to affect the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lysozyme, casamino acid and PVP concentration were 0.5 (mg/$m\ell$), 0.1 (%) and 1.5(%). In B. pumilus, Penicillin-G treatment concentration was 0.3 (U/$m\ell$) and optimum treatment period was transit log. phase. And in the case of Celm. fimi, 0.3 (U/$m\ell$) and initial log. phase. Osmotic stabilizer and di-cation for OSM medium of B.pumilus and Gelm .fimi were 25mM CaCl2, 0.5M sodium sucinate and 50mM MgCl$_2$, 100mM CaCl$_2$, 0.4M sodium succinate. The regeneration frequency of B.pumilus and Celm. fimi were 14.6(%) and 6.9(%).

  • PDF

Candida sp. KM-09와 Saccharomyces cerevisiae의 이속간의 원형질체 융합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beween Candida sp. KM-09 and Saccharumyces cerevisiue)

  • 문종상;고학룡;심기환;성낙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25-330
    • /
    • 1991
  • 섬유성 당화액에서의 ethanol 생산에 적합한 균류를 개발할 목적으로 Candida sp. KM-09-135와 Saccharomyces cerevisiae SM-07의 이속간의 원형질체 융합을 행하여 우수한 융합체로 인정된 KMS-23 균주를 얻었다. 융합주 KMS-23은 37'C에서 생육 및 ethanol 생성능이 가장 좋았고, 발효당으로 xylose, cellobiose, maltose 및 raffinose도 이용하였다. 세포의 크기는 KM-09-135 및 SM-07에 비해 각각 1.2배, 1.5배 증가하였으나 DNA 함량은 약간의 증가만 보여 완전한 2배체의 융합주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으로서 6.44(w/v)의 당을 함유한 밀기울 당화액에서 융합주 KMS-23은 동일조건하에서 KM-09-135보다 약 1.3배 높은 2.57(v/v)의 ethanol을 생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