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disabled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초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hanges of Disability Awareness and Childcare Experience through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 원영미;전지혜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92
    • /
    • 2018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애아동의 보육환경 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전후로 어떻게 장애인식 및 장애아 보육실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 9명이었고, 3인씩 3그룹의 포커스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경험을 듣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보육교사들은 장애인식개선교육 전에 장애아동에 대한 무지함과 막막함, 두려움을 호소하였고, 오히려 비장애아동의 편견 없는 태도로부터 배우기도 하였다.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교사들은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및 보육실천의 방식변화를 나타냈다. 인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비장애아동과 대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보육실천과 관련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와 협력적 파트너쉽을 통해서 함께 통합프로그램을 실천하였고, 비장애아동에게 장애이해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 통합보육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한 일반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하였다.

장애인스포츠 적용을 위한 기능성 게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rious Game Application of Disabled Sports)

  • 강승애;강선영;김현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1-68
    • /
    • 2013
  • 우리나라 장애 인구는 과거에 비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장애범위도 각종 질병 및 교통사고와 고령화, 산업재해, 기타 사고 등으로 확대되어왔다. 스포츠경험 및 기회가 적은 장애인들은 적극적으로 스포츠에 참여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스포츠 초기단계에서는 스포츠 기술보다는 지속적인 스포츠 참여를 통한 신체활동의 중요성을 자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장애인스포츠의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성과를 얻기 위해 IT 기술이 접목된 스포츠게임 방식의 시도가 시행되고 있다. 과거 게임의 역할인 놀이에서 벗어나 새로운 역할과 영역들이 확장되었으며, 이러한 인식을 주도하는 부분이 바로 기능성게임 장르이다. 기능성 게임은 교육, 스포츠, 헬스, 의료용 등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을 형성하면서 게임 산업을 주도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스포츠를 즐기기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스포츠의 재미와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는 운동게임의 시장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IT기술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기능성 게임이 장애인스포츠 현장에서 적용된 융복합 사례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한 장애인스포츠의 적용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연구: 장애학의 관점에서 (A Metaphor Study for the with Children with Disabled Child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from Disability Study Perspective)

  • 강유진;연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27-146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를 장애학의 관점을 통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9월 15일부터 9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범주화 후 수치화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는 의료-한계 유형, 의료-다양성 유형, 사회-한계 유형, 사회-다양성 유형의 총 4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에서 통합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찰과 통합교육의 실시하는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장애학생 접근성 확보를 위한 편의시설 현황연구 -전북 소재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nient Facilities for Accessibility to disabled student of 4-year university campus in Jeollabukdo)

  • 장명화;정성학;이민규;배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83-295
    • /
    • 2016
  • 본 연구는 전북소재 4년제 대학교 6개를 선정하고, 각 대학의 편의시설을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 및 기타시설로 나누고 각 시설이 편의증진법의 세부기준에 적합한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학교 편의시설은 전반적으로 편의증진법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며, 편의증진법 기준에 맞더라도 이용의 불편함과 관리 부족 등으로 인해 장애학생들에게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한 대학 내 보편적 설계에 기초한 편의시설의 기준 적합도를 높이며, 수요자 중심의 고등고육환경 발전을 위한 편의시설 개선과 확충을 위한 논의점이 제시되었다.

Educational Status in Bilateral Prelingual Dea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 Bae, Seong Hoon;Kwak, Sang Hyun;Nam, Gi-Sung;Choi, Jae Young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3호
    • /
    • pp.135-139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status in bilateral prelingual deaf children with a cochlear implant (CI), also known as early cochlear implantees (CIs). Type of schooling and enrollment rate of tertiary education were analyzed as primary results. Subjects and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a highly homogeneous group of deaf patients who underwent cochlear implantation at a similar age. Sixty-four Korean patients were enrolled. Statistical data for disabled populations and the general population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Korea. Results: Among 64 patients, 46, 8, and 10 attended mainstream, integrated, and special schools, respectively. Notab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school between hearing-impaired and CI groups (p=0.007). Ten of 13 patients enrolled in tertiary education. Conclusions: CI users were more likely than hearing impaired students to attend mainstream school. The enrollment rate of CI users in tertiary education was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Educational Status in Bilateral Prelingual Dea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ation

  • Bae, Seong Hoon;Kwak, Sang Hyun;Nam, Gi-Sung;Choi, Jae Young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5-139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status in bilateral prelingual deaf children with a cochlear implant (CI), also known as early cochlear implantees (CIs). Type of schooling and enrollment rate of tertiary education were analyzed as primary results. Subjects and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mprised a highly homogeneous group of deaf patients who underwent cochlear implantation at a similar age. Sixty-four Korean patients were enrolled. Statistical data for disabled populations and the general population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atistics Korea. Results: Among 64 patients, 46, 8, and 10 attended mainstream, integrated, and special schools, respectively. Notab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ype of school between hearing-impaired and CI groups (p=0.007). Ten of 13 patients enrolled in tertiary education. Conclusions: CI users were more likely than hearing impaired students to attend mainstream school. The enrollment rate of CI users in tertiary education was the same as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현황분석 연구 - 설립시기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t High Schools in Seoul - Focusing on the Timing of Establishment and the Presence of Special Classes -)

  • 이규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0
    • /
    • 2022
  • 기존 고등학교 공간 내의 무장애환경이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조성되어 있는지에 관해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77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편의시설 적용 수준을 평가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등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 학교의 세부적인 시설관련 기준인 장애인 등 편의법과 장애인차별금지법의 기준과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3장에서는 장애인 등 편의법 규정을 토대로 고등학교 환경의 현장 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장애인 편의시설의 전반적인 적용수준과 장애인등 편의법 시행 전후 시기별 및 특수학급의 유무별로 적용수준을 평가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지속적·포괄적 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애인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활용체계 연구 (A Study on Disability Database and Applicable System to Provid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Service)

  • 이희연;호승희;강현규;이승영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9-308
    • /
    • 2011
  • Background : Demands have increased for a variety of welfare services and customized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PWD). A management System focused on PWD was needed to provide for comprehensive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 disability database and an application system in order to provide continuous and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service for PWD. Methods : We analyzed local and abroad disability-related policies and systems and derived the conten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WD through a survey among rehabilitation specialists. Result :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WD was composed of 7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Health & Medicine, Assistance, Education, Employment, Economics and Daily & Social Life. The applicable system of integrated database for PWD was proposed to help conducting policies in such areas as follows ; 'welfare', 'education and culture', 'economic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Health'. Conclusion : The main goal of disability policy an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disability-related data integrating database of PWD. Accordingly, specific objectives and directions for disability policies should be set and efficiently managed and operated. The integrated database for PWD may be utilized for disability-related policies and service monitering, sustainable and integrated management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based on the rights of the disabled.

What Else Is Needed in the Korean Government's Master Pla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Lee, Jin Yong;Yun, Jieu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2권3호
    • /
    • pp.200-204
    • /
    • 2019
  • On September 12, 2018, President Jae-In Moon announced the Comprehensive Plan for Lifelong Car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representatives from the associated government branch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attendance. The goals of this plan are to provide health, medical, rehabilitative, special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stages of the affected individuals; to reduce parental pressure; to promote social interventions; and to enhance community-level participation in order to create a 'welfare society in harmony.' However, in order for the plan to succeed, additional efforts must be made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an epidemiological surve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scale, prevalence, and incide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establish an evidence base to support policy development. Second, accurate definition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void policy discrimination based on impairment type and age. Third, personal evaluations to assess disabled individuals' unmet needs and customized service designs to deliver those needs are required. Fourth, the plan must fulfill the goals of accessibility and fairness that the government intends to provide. Fifth,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an integrated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to propose a detailed plan for monetary distributions. Finally, an integrated system that links health, medical, employment, educational, and welfare services must be constructed.

장애 체험 활동을 통한 학교 편의시설 접근성 평가 (Evaluation for School Facility by Disabled Experiment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조재순;이정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7-64
    • /
    • 2007
  • 이 연구는 학생들이 유니버설디자인과 편의시설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응한 편의시설 가운데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고 이 과정안에 따라 장애체험활동을 함으로써 학교편의시설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개발한 자료는 학교편의시설 실험활동에 활용할 2차시분의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안과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활동 평가에 사용할 활동 평가지가 있다. 연구 대상학교는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중학교 2개 학교와 일반 중학교 5개 학교로 설립기준, 지역, 건축년도, 학급 수, 건물 층수, 학교형태, 통합교육 실시여부 등을 고려하여 편의시설이 다양한 7개 학교를 임의 선정하였다. 대상학생 수는 학교별로 30명씩 희망자를 선정하고 실제 장애우(4명)를 포함하여 총 214명이 참여하였다. 각 실험조는 손이나 팔 장애우 팀, 목발 장애우팀, 휠체어 장애우팀과 더불어 비장애우 1개팀 총 15명으로 구성하였다. 학교편의시설 장애체험활동으로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2005년 11월 26일부터 12월 24일까지 실험하였으며, 학교편의시설 평가는 장애체험활동 기록지 185부와 활동 평가지 200부를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version 10.0)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백분율, 교차분석, t 검증, 일원분산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편의시설이 편의증진법의 학교편의시설 기준에 미달되거나 설치율이 낮으며, 설치되어 있어도 접근하기 어렵거나 이용이 불편한 시설이 맡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교에서 안전사고나 부상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고, 학교편의시설에 대한 위험하고 불편하여 개선할 시설로 화장실, 복도, 계단을 지적하여 접근성 평가의 학교편의시설 실태와 일치하였다. 장애체험활동 교수 학습과정 안에 대한 평가는 장애체험활동에 대한 의견은 내용이 유익하고 만족스러우며 수업 시간에 배워야 할 내용으로 평가하였으며, 이 의견보다 학교편의시설을 바르게 설치해야하는 중요성을 알게 되거나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인식 변화가 더 높았다. 학교편의시설의 불편한 점을 알게 되거나 학교편의시설이 장애우에게 불편할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비판 의식은 세요인 중 가장 높아 장애체험활동을 통해 학교편의시설의 접근성을 실험하는 교수 학습은 학교편의시설의 개념을 이해와 실태를 파악하여 학교편의시설이나 생활환경에 관심을 갖게 되고, 장애우 통합교육을 위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 개선을 위해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모든 사람들과 더불어 생활하는 공동체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