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ment and equipment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35초

정밀 기선장 관측에 의한 EDM 장비의 영점오차와 축척오차의 결정 (Calculation of Zero Error and Scale Error of EDM by Precise Baseline Measurement)

  • 조재명;윤홍식;이원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7-143
    • /
    • 2004
  • EDM 기계는 1950년대 최초로 소개된 이후 전자 및 광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소형화, 고정밀화 됨으로써 현재에는 측량뿐만 아니라 정밀 과학 계측 분야에서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다. EDM 기계에 대한 원리의 이해 및 표준화된 관측 방법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정밀도에 대한 이해는 측정 결과의 신뢰성 향상 및 산업측량, 시공측량 등의 활용 분야에 있어서 2차적인 생산물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EDM 기계의 정밀도 유지를 위해서 규칙적이고 주기적인 점검이 이루어져야 하며, 단순하면서도 정밀한 점검 방법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선거리 관측 데이터로부터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EDM 기계의 보정계수인 영점오차와 축척오차를 동시에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고 산정된 보정계수를 이용하여 EDM 기계의 정밀도에 따른 검교정을 위한 검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관 유동에서 폴리머 첨가에 의한 저항감소 현상의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rag Reduction with polymer Additives in Pipe Flow System)

  • 차경옥;김재근
    • 태양에너지
    • /
    • 제19권3호
    • /
    • pp.1-11
    • /
    • 1999
  • Previous researchers have studied how to reduce a pumping power in order to save energy in the fluid transporting system. Especially, it has been studied a lot about reducing the pressure drop among parameters related to the energy saving for fluid transport.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ubstantial drag reduction caused by the polymer(A611P, A601P) when the working fluids flow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 in the vertical cylindrical equipment of closed flow system. In this experiment, we mount a visualization equipment on the test section and take pictures. With using the PIV system, instrument and analyzing the movement of bubble for different polymer concentration are observed and some mechanism of the drag reduction effect is clarified.

  • PDF

현장투수계를 이용한 유역 토양의 수리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Hydraulic Properties of Soils in the Watersheds Using the Guelph Permeameter)

  • 박승기;김태철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61-69
    • /
    • 2001
  • The Guelph Permeameter (Soil Moisture Equipment Co., 1986) is an in-hole constanthead permeameter, employing the Mariotte Principle. The Guelph Permeameter has been proved to be a useful and versatile instrument for determining the in situ hydraulic prope

  • PDF

Diffractive Liquid Crystal Displays

  • Tsvetkov, V.A.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4권1호
    • /
    • pp.9-13
    • /
    • 2003
  • An overview of author activity in the area diffractive LCDs are given. The formation of colour spectrum DL CDs is made by switchable phase diffraction gratings created in a LC layer due to using of comb-like electrodes. The offered DLCDs functionate without polarizes, have high contrast and spectral of pure colours, broad viewing ngles. The existing production equipment can be adapted to manufacturing of DLCD without considerable alterations.

영상의학과 흉부 엑스선 촬영 기기의 세균 오염도 (Bacteriological Research for the Contamination of Equipment in Chest Radiography)

  • 최승구;송운흥;권대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4호
    • /
    • pp.395-401
    • /
    • 2015
  • 영상의학과의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기기의 오염 정도를 세균학적으로 확인하고 균을 동정하여 병원감염의 예방과 감염관리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영상의학과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환자의 기기 접촉부위인 어깨, 손, 턱, 흉부 측면촬영의 손잡이 부위를 70%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소독하기 전과 후를 면봉으로 검체를 채취하여 세균을 동정하여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흉부 엑스선 기기에서 소독전의 측면촬영의 손잡이에서 그람 양성의 Staphylococcus가 분리되었다. 최종동정을 위해 노보바이오신 (nobobiocin) 항생제 시험을 실시하여 민감성으로 Staphylococcus epidermidis로 확정하였다. 흉부촬영 기기에서 측면촬영의 손잡이 부위를 소독 전에 Staphylococcus epidermidis 균이 검출되었다. 흉부엑스선 검사에서 기기를 주기적인 소독 및 멸균을 실시하여 병원감염을 예방하는 관리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A correlation method for high-frequency response of a cargo during dry transport in high seas

  • Vinayan, Vimal;Zou, Jun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6권2호
    • /
    • pp.143-159
    • /
    • 2016
  • Cargo, such as a Tension Leg Platform (TLP), Semi-submersible platform (Semi), Spar or a circular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FPSO), are frequently dry-transported on a Heavy Lift Vessel (HLV) from the point of construction to the point of installation. The voyage can span months and the overhanging portions of the hull can be subject to frequent wave slamming events in rough weather. Tie-downs or sea-fastening are usually provided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argo during the voyage and to keep the extreme responses of the cargo, primarily for the installed equipment and facilities, within the design limits. The proper design of the tie-down is dependent on the accurate prediction of the wave slamming loads the cargo will experience during the voyage. This is a difficult task and model testing is a widely accepted and adopted method to obtain reliable sea-fastening loads and extreme accelerations. However, it is crucial to realize the difference in the inherent stiffness of the instrument that is used to measure the tri-axial sea fastening loads and the prototype design of the tie-downs. It is practically not possible to scale the tri-axial load measuring instrument stiffness to reflect the real tie-down stiffness during tests. A correlation method is required to systematically and consistently account for the stiffness differences and correct the measured results. Direct application of the measured load tends to be conservative and lead to over-design that can reflect on the overall cost and schedule of the project. The objective here is to employ the established correlation method to provide proper high-frequency responses to topsides and hull design teams. In addition, guidance for optimizing tie-down design to avoid damage to the installed equipment, facilities and structural members can be provided.

새로운 저가형 고속 RF 자동화 테스트 시스템 (New Challenges for Low Cost and High Speed RF ATE System)

  • Song, Ki-Jae;Lee, Ki-Soo;Park, Jongsoo;Lee, Jong-Chul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744-75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RF소자들의 테스트시 비용 절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저가형 고속 RF 자동화 테스트 시스템(Automatic Test Equipment, ATE)의 제작에 관하여 다루어진다. 제작된 RF ATE는 고속의 스위칭 시간과 고정밀 디지타이저를 포함한 16개의 독립적인 RF 입출력 단자를 갖고 있으며 산업 표준인 VXI(Versus module eXtensions for Instrument)와 GPIB(General Purpose Interface Bu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또한 소자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동시에 4개의 소자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현재 가격 경쟁이 상당히 심한 소자 중 하나인 RF 전력증폭모듈올, 제작된 RF ATE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여 시스템 성능을 검증한다.

항로 비행 중 Uncommanded turn 이벤트 발생 분석 및 경감조치 방안 연구 (Occurrence of Uncommanded Turn Events on the Route and Relevant Mitigation Measures)

  • 김현덕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15-520
    • /
    • 2020
  • 오늘날 항공기 항행에 있어서 자동조종장치와 FMS (flight management system)의 발전은 조종사들의 작업량감소와 항행 안전유지에 그 성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공항의 교통량이 많거나 표준계기 출발 절차 (SID; standard instrument departure)가 복잡한 항행의 경우에 자동조종장치와 FMS 장비의 효과는 더욱 크다. 하지만 일부 공항의 특정한 출발 절차에서 FMS의 오류로 인한 uncommanded turn 이벤트가 발생하여, 항공기가 항로의 중심선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대부분의 출발 절차가 RNAV(area navigation) 운영이 요구됨으로, 조종사의 상황인식과 수정 조작이 항로 편차(deviation)를 최소화하여, RNAV의 안전을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이와 관련하여 uncommanded turn 이벤트의 국내외 발생 현황을 기종별, 공항별, 비행 단계별로 조사하고 항공사의 uncommanded turn 이벤트 경감방안 분석을 통해 해당 이벤트의 더욱 근본적인 재발 방지대책 마련의 필요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국제우주정거장 범용 데이터인터페이스 시뮬레이터 설계 및 검증 (DESIGN AND REALIZATION OF UNIVERSAL DATA INTERFACE SIMULATOR FOR INTERNATIONAL SPACE STATION)

  • 김종우;서석배;김경태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59-68
    • /
    • 2005
  • 현재 추진 중인 국제우주정거장 우주실험장비 개발에 대비하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우주 활용을 위한 데이터인터페이스를 조사/분석하였고, 이를 국제우주정거장 (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의 데이터인터페이스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설계 및 제작을 완료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주활용을 위한 국제우주정거장 데이터인터페이스 시뮬레이터 개발의 설계/구현에 관한 내용을 설명한다. 국제우주정 거장 데이터인터페이스 시뮬레이터는 실험장비, 탑재체, 주거 시설 등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대한 모의 실험을 위한 장비로 범용적인 유인 우주 실험장비를 개발하는데 활용하기 장비이다. 또한 추후 탑재모듈 개발 시 GSE (Ground Station Equipment) 개발을 위한 초기연구로써의 의의도 있으며, 향후 개발될 우주실험 장비의 국제우주정거장과의 호환성 시험에도 활용 가능하다.

공압운동기기의 하지 슬관절 운동 시 재활운동 효과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Validation of Exercise Effect in Rehabilitation during Knee Extension of the Lower Limbs using Pneumatic Exercise System)

  • 이호준;강승록;김경;정구영;유미;김정자;권대규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압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는 공압용 슬관절 운동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재활운동 시 운동효과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피험자는 평소 운동을 주 1회 이하로 실시하며 슬관절 신전과 굴곡에 이상이 없는 대학생 수준의 20대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험방법은 기존의 유압식 슬관절 운동장비와 개발된 운동시스템을 이용하여 하루 12회씩 3세트의 슬관절 신전 및 굴곡운동을 실시하고, 주 3회 실시하며 실험은 총 4주간 반복되었다. 운동부하 프로그램은 유압식의 수동형 운동부하와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의 능동형 운동부하로 나누어 제공하였다. 운동부하 프로그램에 따른 실시간 근육활성 패턴과 운동 전 후 근육활성도를 비교함으로써 재활운동에 대한 운동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결과 수동형 운동부하보다 능동형 운동부하에 보다 높은 근육활성도를 이끌어 냈으며 운동 4주 후 더 큰 근력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장비 중심의 운동부하 보다 사용자 중심의 운동부하가 더 효과적으로 근력을 증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재활환자나 노약자들에게 안전하고 효율적인 재활운동프로그램으로 활용 될 것이며 또한 재활장비에 적용되어 재활치료관련 종사자들에게 보다 쉽고 편리한 재활운동처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