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pection information

검색결과 1,628건 처리시간 0.027초

원전 구조물 결함 탐지를 위한 음향방출 신호 처리 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 (The Basic Study on the Method of Acoustic Emission Signal Processing for the Failure Detection in the NPP Structures)

  • 김종현;김재성;이정;곽노권;이보영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85-492
    • /
    • 2009
  • 열피로균열은 원자력발전소의 운영 과정에서 구조물의 수명을 결정짓는 문제로 정량적인 탐지가 어렵다. 현재 산업현장에서 구조물에 대한 건전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radiographic탐상 및 초음파탐상, eddy current 등 다양한 종류의 비파괴검사 기술이 사용되고 있지만, 위에 열거한 비파괴탐상법의 경우 균열이 일정부분 진행된 이후에나 검출이 가능하다는 제한 사항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구조물에 대한 연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 음향방출탐상법(acoustic emission testing)이 대안적인 검사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물이나 장비의 건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들이 음향방출 신호의 발생을 일으키기 때문에, 음향방출을 이용한 결함 탐상시 함께 발생하는 노이즈를 구분하는 일은 음향방출을 연구하는 대부분의 연구원의 주요 업무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열피로 사이클 조건에서의 배관에 대한 음향방출 신호를 수집하여 유효한 균열 신호를 노이즈로부터 구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방법으로 유사한 조건에서 실시한 결과를 이용하여 노이즈 필터링 조건을 설정하였으며, 균열의 신호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으로 음향파형(waveform) 구분법을 제시하였다. 이 실험에서 도출된 결과는 구조물의 결함을 탐지하는 실시간 연속적 모니터링 기술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과 중국의 옥상녹화 제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Building a Rooftop Gardening between Korea and China)

  • 조홍하;강태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1-17
    • /
    • 2011
  • 본 연구는 한 중 옥상녹화의 법률을 분석하여 법규 및 지원제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보완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옥상녹화의 법규 및 지원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구조안전 측면은 옥상녹화의 가장 중요한 조건이다. 따라서 옥상에 하중안전을 위하여 옥상녹화 설계 시 시공재료의 중량, 우수와 설(雪) 하중에 대한 영향, 방문자의 수용량을 정확하게 계산해야 한다. 둘째, 설계기준으로 방수 및 방근재료는 지역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해야 한다. 셋째, 유지관리는 식물, 시설물, 토양 등으로 구분하여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가 필요하다. 넷째, 품질검사 기준으로 방수 및 방근 성능검사 기준과 식물생육 상황을 판단하는 기준이 있어야 한다. 방수 및 방근 성능은 옥상녹화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시공 후 공사 품질을 엄격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다섯째, 옥상녹화 지원제도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보다 더 적극적이고 상세한 지원체계가 제시되어야 한다. 아울러 옥상녹화 의무화 규정을 더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국가지하수 관측소 측정자료의 이상값 분석 (Analysis of Abnormal Values Obtained from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Stations)

  • 이명재;이진용;김규범;원종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1호
    • /
    • pp.65-74
    • /
    • 2005
  • 한국수자원공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지하수의 수위 및 수질의 변동을 관측하고 국내 지하수자원의 보전 관리를 위한 기반 구축을 위하여 국가지하수 관측소를 설치${\cdot}$운영하고 있다. 자동 관측장비를 관측정 내에 설치하여 6시간 간격으로 지하수위, 온도, 전기전도도를 관측하고 있다. 주기적인 관측소 현장점검과 노후화된 혹은 고장난 관측장비 교체 및 수리 등의 작업에도 불구하고 자동 관측 및 전송의 내재적 한계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이상값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이상값의 발생으로 인한 자료의 교란이나 관측 발생기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빠른 인지와 대처가 필요하다. 본 단보에서는 한강유역 국가 지하수 관측소 2000년도 지하수 관측 원자료에 대하여 이상값이 발생되는 시기와 빈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 지하수위는 급하강, 수온은 무변동 그리고 전기전도도는 급하강 이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해당항목에 대해 이상값 판단기준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안면부 CT 검사 시 치아 충전물에 의한 화질 저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Decrease due to Tooth Restoration in Facial CT)

  • 김현주;윤준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97-503
    • /
    • 2018
  • 안면부 CT검사 시 치아교정용 충전물과 주변 해부학적 구조와의 밀도차이에 의해 발생한 화질 저하 정도와 화질개선 방향을 실험을 통해 정량 및 정성적 분석방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64-MDCT(Discovery 750 HD, GE HEALTH CARE, Milwaukee, USA)를 사용하여 치아 충전물로 교정한 치아를 스캔하였으며 관전압 변화, 실리콘 적용, MAR 알고리즘 적용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관전압 변화 시 140 kVp에서 10.36 % CT value가 감소하였으며, Silicon 물질 적용 시 약 5.81 %가 감소하여 감소율이 가장 적었다. 정성적 평가결과 MAR 알고리즘 적용 시 관찰자 10명 중 Equivalent가 7명, Acceptable로 3명이 평가하여 MAR 알고리즘 적용 시 상대적으로 가장 화질 개선 효과가 있다고 평가되었다. 따라서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사 파라미터와 더불어 고밀도 인공물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스캔 한다면 방사선 피폭선량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밀도 인공물을 감소시켜 영상 데이터의 소실을 줄여 보다 많은 영상정보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복합화력발전의 가스연료 공급계통에 대한 위험도 평가 기법 연구 (I) : API RBI 절차에 기반한 위험도 평가 (Risk Assessment Technique for Gas Fuel Supply System of Combined Cycle Power Plants (I) : Based on API RBI Procedures)

  • 송정수;유종민;한승연;최정우;윤기봉
    • 에너지공학
    • /
    • 제27권2호
    • /
    • pp.1-13
    • /
    • 2018
  • 미세먼지 저감 및 에너지원 변환에 대한 정책 추진에 따라 천연가스를 연료로 하는 발전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다. 복합화력발전 플랜트, 열병합발전 플랜트 등에서 천연가스 연료공급계통이 가스가 가열된 상태에서 고압으로 운용되고 있으므로, 누출사고를 예방하여 화재 및 폭발에 의해 사고를 방지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PI RP 581 RBI 코드를 기반으로 복합화력발전 플랜트의 천연가스 연료공급계통을 대상으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API RBI 코드의 적용을 위해 평가 대상 계통의 라인 및 세그먼트를 구분하였다. 파손확률과 파손피해 산출을 위해 운전 데이터 및 입력 정보를 분석하였다. 설치 초기 시점 및 운전시간 경과에 따른 위험도 평가 결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코드 기반 평가 시 가스연료 공급계통은 두께 감육, 외부 손상, 기계적 피로 손상기구의 영향이 주로 반영되었다. 운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단열재 하부 부식(CUI, Corrosion Under Insulation) 등에 의한 외부손상이 위험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예상되었다.

유도탄 점검 장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개발 방법 (The method of development for enhancing reliability of missile assembly test set)

  • 고상훈;한석주;이계신;이유상;김용국;박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7-43
    • /
    • 2018
  • 유도탄 점검 중 결함이 검출되면 개발자는 고장을 식별하여 문제 조치 후 시험을 재개한다. 고장 식별을 위해 장비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분석해야 하는데, 점검 환경에 따라 수신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발자는 문제가 재현될 때 까지 반복 시험을 수행하던지 연계된 장비를 찾아 각 성능 점검을 수행 하여 정상 여부를 확인한다. 해당 업무가 추가되면 일정 관리에 문제가 생기고 개발비용이 상승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인 절차로 유도탄 점검 장비를 설계하여 결함 검출률을 높여 요구 신뢰도를 만족해야 한다. 절차마다 필요한 프로세스를 설계하여 운용 중 결함검출 시 고장식별에 대한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결함 검출률 100%를 만족할 수 없기에 비용대비 효과를 분석 해 설계해야 한다. 본 논문은 유도탄 점검 장비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개발 방법과 적용 시 기대효과 및 한계점에 대한 내용을 기술한다.

직무기반 국제해상위험물 전문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Job-based Expert Training Model for International Maritime Dangerous Goods)

  • 이홍훈;임긍수;서혜경;금종수;김철승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49-65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위험물 취급자의 직무에 기반을 둔 국제해상위험물 전문교육 모델을 제안하고자 해외사례 검토를 통하여 직무별 교육과정 세분화 방안을 모색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위험물 취급자들의 개선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해외사례 검토 결과, 미국의 경우 위험물 취급자의 직무에 따른 다양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었고, 영국에서는 위험물의 종류 및 운송수단에 따른 교육과정이 세분화되어 운영되고 있었으나, 국내에서는 다양한 직무에 종사하는 위험물 취급자에 대하여 동일한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 현 국내 교육과정의 효과가 높지 않고, 응답자들이 IMDG Code 교육의 확대 실시와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제공을 주로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결론으로 육상의 위험물 취급자를 육상현장직, 육상사무직, 육상운송직의 세 가지 직군으로 분류한 후 각 직군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고, 또한 현 수도권에 집중된 교육 실시지역을 피교육자의 수요에 맞추어 권역별로 확대 실시할 것과 On-line 교육과정의 개설을 제안하였다.

통합형 전자폐색제어장치의 적합성 확인을 위한 현장시험 (A Field test of an Integrated Electronic Block System for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 김영준;백종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6427-6433
    • /
    • 2013
  • 열차를 안전하면서도 신속하게 운행하기 위해서는 항상 선행열차와 후속열차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운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일정한 간격의 폐색구간을 설정하고, 열차의 안전운전을 위해 단일 폐색구간에는 1대의 열차만이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폐색시스템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기존의 폐색시스템은 신호기에 신호를 현시하는 계전기 방식의 자동폐색장치(ABS: Automatic Block System)로 구성되며, 이것은 연동장치를 통해 궤도회로 등선로변 장치들과 연동된다. 연동장치의 경우 국산 전자연동장치로 교체되고 있지만, 폐색장치는 여전히 아날로그 방식의 계전기 형태를 사용하고 있으며, 다른 선로변 장치들과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기존의 폐색장치는 건설과 유지보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 국내 기존선에 사용되고 있는 ABS와 선로변 전자장치(LEU: Lineside Electronic Unit)는 동일한 장소에서 동일한 신호 정보에 의해 열차를 제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개 시스템으로 분리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각 제품의 단가 및 유지보수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폐색장치인 ABS에 통신 및 디지털 전자 기술을 접목시킨 통합형 전자폐색제어장치(integrated electronic block system)와 그것의 현장시험 결과를 소개한다. 현장시험은 1월초부터 8월말까지 8개월간 총 8번의 주기점검을 통해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발된 전자폐색장치의 유효성과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CQI 활동 후 사후관리 체계 조사연구 (A study on the follow-up management system of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 현석균;유승흠;오현주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9-123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follow-up management is carried out continuously following CQI activity and to analyze the factors behind the success and failure of follow-up management. Past presentations from 1994-1999 of CQI coordinators and lecturers from various institutions who presented at The Korean Society of Quality Assurance in Health Care(KoSQA) on the conditions of follow-up management in each institu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ince the number of subjects on CQI increased each year at symposiums, this has expanded to all medical institutions. Although medical institutions usually conduct 11-20 subjects on CQI per year, there were many such occasions where more than 31 subjects were conducted. Moreover, institutions with less than 800 beds have come up with more projects than those with more than 800 beds, thus 23.3% of these institutions had at least 1 person involved in 4 projects. This had created an overload of responsibilities for specific persons' involvement, prompting them to incline toward formalities in their work rather than substantial activities. Among the projects presented at the symposiums, 51.7% demonstrated that follow-up management could be carried out. In particular, 55.3% of the projects from provincial regions could carry out follow-up management compared to 48.8% in Seoul. Moreover, it was demonstrated that 80% of the projects from institutions with 600-799 beds carried out follow-up management most effectively. With regards to previous presentations, the older they were, it was found that follow-up management could not be effectively carried out. Some institutions that responded that follow-up management was carried out effectively in their institutions were found to have conducted follow-up management without any inspection strategies or the appropriate tools. CQI activities were executed and terminated with no consistency and team members had no real concern for i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contribute to an effective follow-up management are the need for concern and interest from the directors of the hospitals, from the relevant departments and team members in addition to the role of the supervising department, follow-up management through management of target goals, consistency in tasks along with communication between all team members. The biggest problems were perceived to be overload of work due to accumulation of proposed projects in addition to lack of awareness pertaining to follow-up management. CQI is beneficial for all staff for the improvement of the mind and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us it is believed to be desirable. To carry out follow-up management effectively, leadership, analysis and application of information, follow-up management and planning, as well as quality management are perceived to be essential,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prevent CQI activities from becoming just an activity, the basic system should be reconstructed and augmented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over, we hope this study will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that would encourage the administration of follow-up management after CQI activities in most hospitals. Furthermore, various studies on follow-up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or CQI activities in the future.

  • PDF

Creation of an Environmental Forest as an Ecological Restoration

  • Lee, Chang-Seok;You, Young-Ha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4권2호
    • /
    • pp.101-109
    • /
    • 2001
  • We created an environmental forest on the basis of ecological design around the incineration plant of Jindo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 Ltd., which is located in Jeongwang-dong, Siheung-si, Kyunggi-do. To get ecological information of this si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on salt marsh, which is located close to the syudy site and of forest soil transported from other sites for ecological restoration were analyzed. Texture of salt marsh and transported soils were loam and sandy loam, respectively. pH, organic matter, T-N, available P, and exchangeable K and Na contents of salt marsh and transported forest soils were 6.7 and 5.4, 4.1 and 0.4%, 1.0 and 0.3mg/g, 46.7 and 6.8ppm, 521 and 207ppm, and 3.8 and 0.5mg/g, respectively. Introduced plants were selected among the dominant species of forests and the species composing the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around the present study site. Those plants were selected again by considering the tolerances to air pollution and to salt, and their availability. Selected trees were Pinus thunbergii, Sophora japonica, Celtis sinensis, Quercus aliena, Q. serrata, Q. dentata, and Q. acutissima. Selected sub-trees were Albizzia julibrissin, Koelreuteria poniculata, and Styrax japonica and shrubs were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R. mucronulatum, Callicarpa japonica, Euonymus alatus, E. japonica, and R. schlippenbachii. On the other hand, introduction of herbs was not considered except for Liriope platyphylla, which was ornamentally planted in one site. Planting bed of mound type was adopted to provide the fine drainage system. Mound was designed to furnish litter, A, B, and C layers simuating the profile of forest soil. Slope of mound was mulched by rice straw of 2cm in thickness to prevent for sliding of litter and soil in cases of strong wind or heavy rain. Height of mound was designed to secure more than 1 m by combining A and B layers. Narrow zones, in which mound with stable slope degree cannot be prepared, was designed to equip the standard soil depth with the introduction of stone for supporting. On the other hand, plants with shallow root system were arranged in some zones, in which satisfactory soil depth cannot be ensured. Plants were arranged in the order of tree, sub-tree, and shrub from center to edge on the mound to make a mature forest of a dome shape in the future. Dispersion of plants was designed to be random pattern rather than clumped one. Problems on creation of the environmental forest by such ecological design were found to be management or inspection by non-specialized project operators and inspecting officers, and regulations for construction without ecological background. Alternative plans to solve such problems were sugges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