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al toxicity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2초

농업해충에 대한 친환경유기농자재들의 살충력 및 섭식저해력 평가 (Evaluation of Insecticidal and Antifeeding Activities of Eco-friendly Organic Insecticides Against Agricultural Insect Pests)

  • 김유화;나영은;김민준;최병렬;조형찬;김순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99-109
    • /
    • 2015
  • 충해 또는 병충해 관리용 친환경유기농자재로 목록공시된 제품 29종의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복숭아혹진딧물 성충,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한 살충과 섭식저해활성을 분무법과 잎침지법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평가하였다.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 추천농도 분무 또는 잎침지시 유효성분으로 고삼 추출물 60% 단제(EOIS)와 고삼외 3종 식물 추출물(백부근, 멀구슬나무, 개박하, EIOSm) 및 고삼외 2종 식물추출물(EOISc)을 함유한 혼합제의 살충력이 우수했다. 하지만 반량 처리 시 그 활성은 50% 이하로 감소되었다. 파밤나방 유충에 대해서는 고삼 60%단제(EOIS)만이 우수한 살충력을 보였고, 비슷하게 꽃노랑총채벌레 성충에 대해 잎침지 후 24시간과 48시간 노출 시 85%와 95%의 살충력을 나타냈다. 복숭아혹진딧물 성충에 대한 분무시험에서 고삼 외 3종 혼합제(EOISm)와 유채외 2종 혼합제(EOIR)가 93%와 68% 살충력을 보였는데, 농도를 배량 증가시켜도 살충력은 크게 향상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추천농도 잎침지에서는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만이 100%의 강한 접촉독성을 나타냈는데, 노출 시간과 농도를 증가시키면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과 유채외 2종 혼합제(EOIR)들의 살충력이 증가하였다.흥미롭게도 cedar oil 16%(EOICe), 고삼 60% 단제(EOIS), 고삼외 3종 혼합제(EIOSm), 고삼외 2종 혼합제(EOISc), 미생물 89.62%(EOIM), 유채외 2종 혼합제(EOIR), 식물추출물(EOIPe), 차나무추출물 48%(EOIT)제 등은 파밤나방에 대해 분무처리 시 강한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배추좀나방 유충에 대해서도 이들 혼합제들 이외에 3종 미생물제들(EOIB, EOIM, EOIBs)과 시트로넬라오일외 1종(EOICi), 겨자외 2종(EOIMc) 등의 식물 추출물 혼합제들이 70% 이상의 섭식저해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 대상 곤충 종 및 유효성분이나 처리량에 따라 살충력과 섭식저해력이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고삼추출물외 2-3종 식물추출물을 복합적으로 함유한 혼합제들의 유효력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혼합 비티 독소단백질과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 억제자를 이용한 약효 증진 기술 (A Technique to Enhance Insecticidal Efficacy Using Bt Cry Toxin Mixture and Eicosanoid Biosynthesis Inhibitor)

  • 엄성현;박영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01-311
    • /
    • 2015
  •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의 약효를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Cry 독소단백질의 혼합효과를 검정하였다. 서로 다른 네 가지 비티 균주에서 분리된 Cry 독소단백질 추출물들은 각각 좁은 적용해충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Cry 독소단백질을 혼합한 결과 적용범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Xenorhabdus nematophila (Xn) 세균 배양액은 조사된 모든 곤충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Cry 독소단백질의 살충력을 증가시켰다. 이 Xn 세균배양액을 혼합 Cry 독소단백질에 추가한 결과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모두 증가시켰다.

Physi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 Newly Identified Entomopathogenic Bacteria, Photorhabdus temperata M1021

  • Jang, Eun-Kyung;Ullah, Ihsan;Lim, Jong-Hui;Lee, In-Jung;Kim, Jong-Guk;Shin, Jae-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2호
    • /
    • pp.1605-1612
    • /
    • 2012
  • The present study concerned the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bacterial strain isolated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Korea. The bacterial isolate M1021 was Gramnegative, bioluminescent, and produced red colonies on MacConkey agar medium. A rod-shaped structure was confirmed by the electron micrograph. Fatty acid composition was analyzed by using the Sherlock MIDI system. The identification was further supported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which revealed 96-99% sequence homology with strains of Photorhabdus temperata. The location of the isolated strain of P. temperata in the phylogenetic tree was confirmed and it was named P. temperata M1021. P. temperata M1021 exhibited catalase, protease, and lipase activities when grown on appropriate media supplemented with respective substrates. The culture of P. temperata M1021 exhibited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the larvae of Galleria mellonella and the activity was the highest after 3-4 days of cultivation with agitating at $28^{\circ}C$ under 220 rpm. Antibacterial activity was also observed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6 and Micrococcus luteus KACC 10488.

Characterization of an Improved Recombinant Baculovirus Producing Polyhedra that Contain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Crystal Protein

  • Kim Jae-Su;Cho Jae-Young;Chang Jin-Hee;Shim Hee-Jin;Roh Jong-Yul;Jin Byung-Ae;Je Yeon-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710-715
    • /
    • 2005
  • A novel recombinant baculovirus, Bactrus, was constructed by the insertion of the Bacillus thuringiensis cry1Ac gene between two polyhedrin genes of Autographa californica nucleopolyhedrovirus (AcNPV) under the control of the polyhedrin gene promoter. Polyhedra produced by Bactrus in insect cells were incorporated with 130 kDa of polyhedrin-Cry1Ac-polyhedrin fusion protein, and 30 kDa of intact polyhedrin, resulting from a homologous recombination between two polyhedrin genes, was also expresse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Bactrus against Spodoptera exigua larvae was similar to that of AcNPV, but it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xicity towards Plutella xylostella larvae in comparison with that of AcNPV. The expression level of fusion protein and the insecticidal activity of recombinant polyhedra produced by the Bactrus against P. xylostella larvae were decreased after serial passages. In conclusion, the Bactrus had improved insecticidal activity and returned to wild-type AcNPV after several passages.

Cry 독소단백질 혼합과 면역억제제 첨가를 통한 Bacillus thuringiensis 살충제 적용범위 및 방제력 증진 기술 (A Technique to Enhance Bacillus thuringiensis Spectrum and Control Efficacy Using Cry Toxin Mixture and Immunosuppressant)

  • 엄성현;박영진;김용균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1-190
    • /
    • 2014
  • 곤충병원세균인 Bacillus thuringiensis (비티)는 포자 형성과 더불어 살충성 Cry 독소단백질을 생산한다. Cry 독소단백질은 대상 곤충의 중장에 위치한 수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살충작용을 발휘하기에 비티의 적용해 충범위가 비교적 좁다. 본 연구는 비티의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실시되었다. 서로 다른 네 가지 비티 균주에서 분리된 Cry 독소단백질은 각각 좁은 적용해충범위를 나타냈다. 이들 Cry 독소단백질을 혼합한 결과 적용범위가 현격하게 증가했다. 벡큘로바이러스가 비티의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지 알아보기 위해 Cry1Ac 또는 Cry1Ca 독소단백질을 각각 발현시키는 재조합바이러스로 검정한 결과 벡큘로바이러스는 Cry 독소단백질의 적용범위를 증가시키는 데 유효하지 않았다. Xenorhabdus nematophila (Xn) 세균 배양액은 조사된 모든 곤충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고 Cry 독소단백질의 살충력을 증가시켰다. 이 Xn 세균배양액을 혼합 Cry 독소단백질에 추가한 결과 적용해충범위와 살충력을 모두 증가시켰다.

털두꺼비하늘소 성충에 대한 monoterpenoids의 살충활성과 산란기피 (Insecticidal Activity and Ovipositional Repellency of Monoterpenoids against Moechotypa diphysis Adults (Coleoptera: Cerambycidae))

  • 유정수;김길하;이상길;신상철;박지두;박승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285-292
    • /
    • 2002
  • 본 연구는 표고원목재배시 골목을 가해하는 털두꺼비하늘소(Moechotypa diphysis) 성충에 대해서 25종 monoterpenoid의 훈증독성, 접촉독성 및 산란기피효과를 조사하였다. 훈증독성은 20(equation omitted)/954 ml (공기)의 농도에서 1, 8-cineole, fenchone, pulegone, (equation omitted)-terpinene이, 10(equation omitted)/954 ml (공기)의 농도에서는 pulegone과 (equation omitted)-terpinene이, 그리고 5(equation omitted)/954 m1 (공기)의 농도에서는 pulegone만이 100%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접촉독성은 pulegone만이 70%의 살충률을 보인 것 외에 대부분의 monoterpenoid에서 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후각계를 이용한 기피반응은 1 (equation omitted)에서 bornylacetate, carvacrol, 1, 8-cineole, menthol은 기피반응을 보였고, 반면 citronellol은 유인반응을 보였다. 실내에서 수행한 산란기피효과는 25개의 monoterpenoid중 1,000ppm의 농도에서 carveol, geraniol, perillyl alcohol이 각각 82.1%, 78.3%, 87.5%의 효과를 보였다. 이 3 화합물을 가지고 야외포장 적용시험을 수행한 결과 10,000ppm과 1,000ppm의 농도에서 3일째까지 geraniol이 가장 효과가 좋았으나 잔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세포주에서 Autographa californica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다각체 단백질과 Bacillus thuringiensis cryIA(c) 내독소 단백질의 융합 단백질 발현 (Expression of Fusion Protein with Autographa californica Nuclear Polyhedrosis Virus Polyhedrin and Bacillus thuringiensis cryIA(c) Crystal Protein in Insect Cells)

  • 제연호;진병래;박현우;노종열;장진희;우수동;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1-350
    • /
    • 1997
  • Autographa californica 핵다각체병 바이러스(AcNPV)의 다각체 단백질과 Bacillus thuringiensis(Bt) cryIA(c) 내독소 단백질의 융합단백질을 생산하는 새로운 재조합 바이러스를 제작하고, 곤충세포주(Spodoptera frugiperda 9)에서 발현된 융합단백질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Bt kurstaki HD-73의 cryIA(c) 내독소 단백질 유전자의 N-발단 AcNPV의 완전한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앞쪽에 융합함에 의하여 또는 다닥체 단백질 유전자내의 제한효소 HindII부위에 삽입함에 의하여 다각체 단백질 유전자의 프로모터 조절하에 도입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재조합 바이러스를 각각 Btrusl 또는 BtrusII라고 명명하였다. BtrusI은 분명히 단일 전사체를 보임에도 92kDa의 융합 단백질과 다각체 단백질의 두 단백질을 생산하였다. 또한 Btrusl에 의해 만들어진 융합 단백질은 다각체를 형성하지 않았다. 한편, BtrusII에 의해 감염된 곤충세포주에서는 33kDa의 다각체 단백질은 보이지 않았고 단지 융합 단백질만 생산하였으나 다각체는 형성하지 않았다. 따라서 Btrusl에 의해 생산된 융합 단백질의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Btrusl으로 감염된 곤충세포주를 2령 누에(Bombyx mori)에 접종한 결과 융합 단백질에 의한 독성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다각체 단백질과 Bt cryIA(c) 내독소 단백질에 의한 융합 단백질이 독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Xenorhabuds nematophila 세균 배양액 유래 미확인 생리활성 물질의 비티플러스 살충력 상승효과 (Enhancement of Bt-Plus Toxicity by Unidentifie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Derived from the Bacterial Culture Broth of Xenornabdus nematiphila)

  • 박영진;김민우;김건우;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5-62
    • /
    • 2015
  • 비티 포자와 Xenorhabdus nematophila (Xn)의 배양액을 혼합하여 비티플러스가 개발되었다. 높은 살충력에도 불구하고 비티플러스는 다양한 해충에 대한 넓은 살충범위를 보이지 않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Xn 대사물질 첨가를 통한 파밤나방과 같은 비감수성 해충에 대한 비티플러스의 살충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Xn의 주요 대사물질인 oxindole (OI)과 benzylideneacetone (BZA)는 비티의 살충력을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 OI 또는 BZA의 첨가는 비티플러스의 살충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동결건조된 Xn 배양액의 첨가는 보다 낮은 농도의 OI 또는 BZA로도 충분히 비피플러스의 살충력을 상승시켰다. HPLC 분석에서 Xn 배양액에 최소 12개의 대사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OI와 BZA 외에도 Xn 대사물질에 생리활성물질이 존재하는 것을 제시한다.

한국 토양에서 분리된 Bacillus thuringiensis의 분포와 특성조사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d fro soils in Korea)

  • 김호산;박현우;이대원;유용만;김정일;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44-349
    • /
    • 1995
  • 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으로 이요할 수 있는 Bactllus thuringiensis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전국의 다양한 토양을 채취하여 B. thuringiensis의 분포와 독성을 조사하였다. 총 548개의 토양을 전국 각지에 채취하여 포자와 내독소 단백질을 생산하는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분리했다. 분리된 64개의 B. thuringiensis를 나비목의 누에(Bombyx mori), 파리목의 빨간집모기(Culex pipens), 딱정벌레목의 쌀바구미(Sitophilus oryzae)의 세 종에 대해서 독성을 검정한 결과, 누에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42.2%로 가장 많았으며, 누에와 빨간집모기에 동시에 독성을 띠는 균주가 31.3%, 빨간집모기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20.3%의 비율로 분리되어 다양한 독성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쌀바구미에 독성을 띠는 균주는 분리되지 않았고, 내독소 단백질은 형성하지만 독성이 없는 무독성 B. thuringiensis가 62%의 비율로 분리되었다.

  • PDF

Genetic Toxicity Test of Methylcarbamate by Ames, Micronucleus, Comet Assays and Microarray Analysis

  • Kwon, Kyoung-J.;Go, Seo-Y.;Park, Sue-N.;Sheen, Yhun-Y.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5권3호
    • /
    • pp.199-204
    • /
    • 2007
  • Carbamates have excellent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a broad spectrum of insects. They possess knocking-down, fast-killing, and systemic effects, however, they are toxic to mammals. In this study, we have carried out in vitro genetic toxicity test of methylcarbamate and microarray analysis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response to methylcarbamate. Methylcarbamate did not show mutations in base substitution strain TA1535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ethylcarbamate did not show mutations in frame shift TA98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ethylcarbamate showed DNA damage based on single cell gel/comet assay in L5178Y cells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ethylcarbamate did not increase micronuclei in CHO cells both with and without exogenous metabolic activation. Microarray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rofiles in L5178Y cells in response to methylcarbamate selected differentially expressed 132 genes that could be candidate biomarkers of genetic toxic action of methylcarbam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