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quisitive learni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3초

탐구학습을 위한 교과서 재구성에 관한 소고 -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of a Textbook for Inquisitive Learning - Focused on the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

  • 김원덕;임해경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1-98
    • /
    • 2007
  • 현재 초등학교 학생들은 도형 영역을 어려워하고 있으며, 학교 수학에서 배운 도형 관련 지식을 실제 생활에 잘 적용시키지 못하고 있다. 도형의 성질을 제대로 알지 못하거나 도형 사이의 포함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며, 전형적인 예에서 조금만 벗어나면 무슨 도형인지 알아채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의 기하적 개념들을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van Hiele의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GSP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를 재구성하였다. 또한 재구성한 교과서가 실제 학생들의 van Hiele 수준 상승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초등학교 도형 학습에 GSP가 활발히 활용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Challenges Faced by a Mathematically Strong Student Intransferring his Success in Mathematics to Statistics: A Case Study

  • Kim, Hyung Won;Fukawa-Connelly, T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3호
    • /
    • pp.223-240
    • /
    • 2015
  • This study qualitatively investigates the nature of the challenges that a student who is highly successful in mathematics faces in learning college-level elementary statistics. The study draws on the constructs of eagerness, flexibility and willingness to characterize the necessary disposition for critical thinking that is essential in learning statistics. The case study is based on data collected through a survey assessment and a follow-up interview with a mathematics major enrolled in an elementary college statistics course at the time of the study. The qualitative analysis relies on the student's verbal descriptions of the challenges he was experiencing in the course. Th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his strong inclination towards inquisitive learning and strong understanding of mathematical concepts supported this student's mathematics learning, the same characteristics might have been causing him difficulties in learning college-level elementary statistics.

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 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 분석 (Analysis of Question Patterns Appearing in Teaching Demonstrations Which Applied Science Teachings Model Prepared by a Pre-service Biology Teacher)

  • 조인희;손연아;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167-185
    • /
    • 2012
  • 본 연구는 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을 분석하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질문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질문 분석틀은 크게 범주1(인지적 영역질문, 탐구기능질문, 정의적 영역 질문), 범주2(반복질문, 범위를 좁히는 질문, 연습 질문), 범주3(학생활동 진행 질문, 기억 질문, 사고 질문) 질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5가지 과학수업 모형을 적용한 생물 예비교사의 질문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질문과 기억질문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순환학습모형에서는 인지적 영역 질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특히, 학생활동 진행형 질문은 순환학습모형의 '1차 개념도입단계'와 실험을 수행한 '2차 탐색단계'에서 많이 사용되어 단계의 특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발견학습모형은 관찰과 측정, 분류, 일반화 과정이 통합되어 있으나 수업시연에서는 기억질문이 많았고, 탐구기능 질문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탐구학습모형에서도 기억질문이 많았고, 다른 수업모형에 비해 탐구기능 질문이 탐구학습모형의 '실험설계단계'와 '실험단계'에서 많이 나타났다. STS수업모형에서는 정의적 영역질문과 사고질문이 다른 수업모형에 비해 많이 나타났다. 개념변화학습모형에서는 기억질문을 많이 사용하여 개념변화학습모형의 모든 단계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을 자극하고 과학적 개념의 수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의복관리와 재활용' 관련 내용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연관성 및 탐구적 성향 분석 (Analysis of ESD-Related Content in Clothing Management Unit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2015 Revised Curriculum)

  • 장다원;이윤정;이선영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9-105
    • /
    • 2020
  • 본 연구는 2015 개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을 ESD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과 ESD와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지속가능한 의생활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고 실천적 행동을 이끌어내는데 중요한 요소인 교과서의 탐구성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유네스코 통영 지역전문센터(Regional Centers of Expertise on ESD, RCE) 출판물의 ESD 핵심내용을 준거로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학습내용을 사회·정치·문화적 관점, 환경적 관점, 경제적 관점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Romey의 탐구적 교과서 분석방법을 변형하여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본문문장, 그림 및 도표, 학습활동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정치·문화적 관점에서는 안전과 건강 및 식품, 환경적 관점에서는 자연자원과 에너지, 환경문제, 경제적 관점에서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에 대한 내용을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ESD 내용은 환경적 관점에 치우쳐져 있어 세 관점이 균형을 이루는 교과서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모든 교과서가 사실이나 정의적인 내용이 많아 탐구능력의 개발 기회를 얻기 어려운 성향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관리와 재활용' 단원의 탐구성향 분석값과 ESD 관련 내용을 비교한 결과, 학습자의 수업참여를 높이기 위하여 글의 결론 부분에 ESD 관련 내용을 반영하고, 학습활동의 내용으로 ESD 관련 주제를 다루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다.

어휘 지도 방법이 어휘 학습전략 사용과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 학생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a vocabulary instructional method on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affective domain: Focus on an analysis of students' survey responses)

  • 김낙복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3호
    • /
    • pp.89-112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llocation-based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G2). It wa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wordlist-based vocabulary instruction for the control group (G1). This results reflect the development of low level high school EFL learners'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use and the positive change in the affective domain. I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ponses, G1 and G2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on the first questionnaire. They did, however, differ significantly on the second questionnaire. G2 used more strategies to discover and to consolidate the meaning of the words by means of combining words. In terms of the affective domain, G2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vocabulary growth, memory, self-confidence, motivation, and cooperative learning.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G2 was more inquisitive, interested, challenged, participatory, cooperative, and attentive than G1 in performing the vocabulary task activities. Moreover, the data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G2 performed more interactive and dynamic activities in solving the given tasks.

  • PDF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와 학생의 역할 (Role of tutor and stud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 정복례;이가언;김경혜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07-213
    • /
    • 1997
  • Basic science teaching and clinical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d whenever appropriate, and the development of skills, values, and attitudes which are emphasized to the same extent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in nursing. Problem-based learning provides a students-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and encourages an inquisitive style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and comment the role of tutors and students on problem-based learning. The use of problem-based learning places a high demand on faculty members' time and support. The role of tutors in Problem-based learning focuses primarily on issues of developing and teaching the curriculum and on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Tutors are an integral part of course planning. Tutors serve as a constant source of feedback on student needs and concerns to the course director and constitute an informal steering committee while the course is in progress. Tutors write cases, develop student evaluation methods, recommend resources, suggest modifications in lectures and laboratories. Students have a limited amount of time available to study what is traditionally defined as the core content of nursing. But, the role of students in Problem-based learning would be active, independent learners and problem-solvers rather than passive recipients of information. Students using a deep level approach attempt to integrate what they learn with what they already know, to understand the meaning underlying the material to be learned, and to look for explanations rather than facts. Students are encouraged, with appropriate guidance, to define their own learning goals, to select appropriate experiences to achieve these goals, and to be responsible for assessing their own learning progress. Problem-based learning is more flexible and meaningful, by encouraging student interaction, and by having a better emotional climate than the conventional learning.

  • PDF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와 적용 -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on Highschool Student's Daily Life : A Case Study of Migration and Population Change Unit in Highschool)

  • 옥한석;장현숙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523-535
    • /
    • 2005
  • 이 연구는 학습자들의 일상적인 생활 속에서 얻는 지리적 경험에 기초한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모형 설계와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교수학습의 실제사례로 고등학교 2학년의 '인구이동과 인구변화'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실험 수업대상으로는 강원도 춘천시 C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며 생활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실험집단 2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비교집단 2개 반 모두 4개반의 122명이 선정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교수할 개념들을 체계화된 지식 구조로 교수하지 않을 경우 이에 대한 학습자의 인지구조 재구성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고등학교 한국지리의 '인구이동과 인구변화' 단원의 지리개념은 상위개념인 이동에서, 기본개념인 이주, 하위개념인 이주 요인으로 위계화하고 학생들이 경험할 수 있는 일상적 지리경험을 알아보았다. 둘째, 지리과 생활 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실제 사례로 학생 자신의 가족 이주사 및 가족수의 변화를 조사하는 과제학습지를 기초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형은 암기식 수업보다 학업성취도 측면에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수업반응도 검사를 분석한 결과, 정의적인 측면에서는 수업의 흥미도, 만족도 수업내용의 활용성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수업모형에 의한 학습이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리적 탐구력 신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 (The Strategic Thinking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LOGO Project Learning)

  • 류희찬;장인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0권4호
    • /
    • pp.459-476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 유형을 분석하여 LOGO 학습과 고등 사고 활동과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영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 LOGO 활용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LOGO 교수-학습의 효과적인 접근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LOGO 프로그래밍을 계획하는 과정에서는 기존의 지식과 절차를 활용하는 유추적 사고, 변수를 이용한 일반화, 여러 가지 명령어의 기능을 통합하여 활용하는 통합적 사고, 문제 해결을 위해 기존 명령어를 평가하는 비판적 사고, 현재의 상황을 새로운 관점에서 이해하고 응용하는 발전적 사고, 여러 가지 해결 방법을 구상하는 유연한 사고 등의 전략적 사고가 관찰되었다. 오류 수정 과정에서 나타난 전략은 명령어의 문법적인 지식, 그림과 절차를 대조하는 방법, 절차를 분해하는 분석적 사고, 도형-분석적 추론, 시각적 추론, 경험적 추론 등이 나타났다.

  • PDF

현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본 '정보'교과서 '정보기기' 영역의 탐구적 경향 분석 (Analysis of Inquiry Tendency in the 'Information Equipment' Sections of Informatics Textbooks from a Perspective of Modern Curriculum)

  • 김자미;노현아;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12
    • /
    • 2011
  •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영역은 5차 교육과정에서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정보교과의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왔다. 그러나 이 영역에 대한 내용선정이나 교수방법 등과 같이 교육적 본질에 대한 논의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교육과정의 관점에서 '정보기기의 구성과 동작' 영역의 탐구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4개의 교과서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1개의 교과서만이 탐구적 교과서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과서의 제작에서는 내용의 중요성과 학습활동의 관점을 함께 고려할 것, 융복합의 시대에 기본이 되는 교과로서 단순 암기의 지식보다는 성찰을 제공하는 교과임을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