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oculum source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7초

Evolutionary Operation (EVOP) to Optimize Whey-Independent Serratiopeptidase Production from Serratia marcescens NRRL B-23112

  • Pansuriya, Ruchir C.;Singhal, Rekha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5호
    • /
    • pp.950-957
    • /
    • 2010
  • Serratiopeptidase (SRP), a 50 kDa metalloprotease produced from Serratia marcescens species, is a drug with potent anti-inflammatory property. In this study, a powerful statistical design, evolutionary operation (EVOP), was applied to optimize the media composition for SRP production in shake-flask culture of Serratia marcescens NRRL B-23112. Initially, factors such as inoculum size, initial pH, carbon source, and organic nitrogen source were optimized using one factor at a time. The most significant medium components affecting the production of SRP were identified as maltose, soybean meal, and $K_2HPO_4$. The SRP so produced was not found to be dependent on whey protein, but rather was notably induced by most of the organic nitrogen sources used in the study and free from other concomitant protease contaminant, as revealed by protease inhibition study. In addi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different sets of EVOP design with each factor varied at three levels. Th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with a standard set of statistical formula. The EVOP-optimized medium, with maltose 4.5%, soybean meal 6.5%, $K_2HPO_4$ 0.8%, and NaCl 0.5% (w/v), gave a SRP production of 7,333 EU/ml, which was 17-fold higher than the unoptimized media. The application of EVOP resulted in significant enhancement of SRP production.

Chlorella saccharophila 배양 최적화 및 유용물질의 생산 (Optimization of Chlorella saccharophila Cultivation and Useful Materials Production)

  • 김아람;박미라;김효선;김성구;정귀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1호
    • /
    • pp.74-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Chlorella saccharophila의 배양을 통하여 바이오에너지 자원을 대량으로 확보하고자 배지 최적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적화 인자로는 배양 형태, 초기 접종량, 탄소원 종류 및 농도, 질소원 종류 및 농도, 배양시간이다. 실험 결과, 배양 형태는 광원과 외부탄소원을 모두 공급하는 mixotrophic 배양이 적절하였다. 초기 접종량은 3% (v/v), 탄소원은 glucose 30 g/L, 질소원은 $NaNO_3$ 0.95 g/L를 첨가하는 것이 우수하였다. 최적 배지 조건으로 배양한 결과, oil의 함량은 12일에서 가장 높았으나, 회수되는 C. saccharophila의 biomass양과 chlorophyll의 양은 10일에서 가장 높았다. 위의 결과는 미세조류의 배지 최적화를 통하여 대량배양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백색부후균에 의한 크라프트 펄프 표백폐수의 탈색 (Decoorizatiion of Kraft Pulp Bleaching Effluent by White -rot Fungi)

  • 조남석;이재원;박종문;최태호;안드레레오노비치
    • 펄프종이기술
    • /
    • 제31권4호
    • /
    • pp.58-68
    • /
    • 1999
  •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decoloization characteristics of E1 effluents from the bleaching plant of pulp mill with three white-rot fungi(Trametes versicolor, Ganoderma appanatum and Pleurotus ostreatus).In addition, the effect of carbon and nitrogen resources was discussed on its decolorization. The color removal of E1 effluent during shaking and stationary cultures were 72% and 80%, respectively. Stationary culture was more effective on decolorization of E1 effluent compared to the shaking culture. The optimum inoculum weight was 1.0g based on dry weight of mycelia . The decolorization medium I showed 88% of the color removal of E1 effluent with in one day cultivation of T.versicolor and P.ostreatus . Color removal was increased from 87% to 90%. T.versicolor and P.ostreatus by the addition of 0.5% glucose. By addition of nitorgen sources(ammonium sulfate and ammonium choride), medium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carbon source. With 0.1% ammoniumm sulfate, P.ostreatus and T.versicolor showed 94% and 92% of the color removal within one day of cultivation , respectively. On decolorization medium II, T.versicolor and P.ostretus were 94% of oclor removal with addition of carbon source. The addition of nitrogen source was much more efficient than that of carbon source. With 0.1% amminium chloride, T.versicolor and P.ostreatus showed 95% of its color removal . The decolorization medium II was higher color removal than medium I, and also MnP and laccase were produced. However, the decolorization medium I produced a little MnP and laccase activity. It could be suggested that MnP and lacca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olorization of E1 effluent.

  • PDF

Production of red pigments by Monascus purpureus in solid-state culture

  • 박해연;이범규;정욱진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5-316
    • /
    • 2001
  • In this study various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initial moisture content, pH. inoculum size, air rate, sample size and nutrient supplement that influence pigment production were evaluated in solid-state cultures. optimum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pH were determined to be 50% and 6.0, respectively. The supplement of the substrate with different carbon, nitrogen, and mineral source reveals a more inhibitive effect as the substrate concentration increase. optimum aeration rate was determined to be 2vvm in flask culture. The maximum amount of red pigment, 3500 OD/g dried fermented rice, was obtained in optimum conditions which is obtained in solid flask culture.

  • PDF

Fusarium(Calonectria) nivale에 의한 맥류의 신병해 (New Disese of Wheat and Barley Caused by Fusarium (Calonectria) nivale in Korea)

  • 성재모;정봉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09-210
    • /
    • 1977
  • Early in the growing season of 1976, rain and cool weather favored the blighting of leaves of young plants of barley by Fusarium nivale. The fungus was recovered in culture from infected foliage, and the perithecia of Calonectria nivalis were demonstrated to be present as well as the Fusarium state. On 22 April 1976, in Suweon, plants pulled at random revealed stem lesions from which F. nivale was cultured. On S May 1976 near Kwangju. Perithecia were found embedded within leaf sheaths and blades of mature wheat and barley plants. It was evident in the 1976, 1977 season that Fusarium(Calonectria) nivale was common but unrecognized as an early season pathogen of barley in Korea. The probable source of primary inoculum was the infected refuse from the previous season's barlry and wheat crops. Stem lesions caused by this fungus were considered to he detrimental to the maximum yield of barley or wheat.

  • PDF

갈락토올리고당 생산 효모 Bullera singularis의 최적 배양조건 (Opimum Culture Condition of Bullera singularis for Galactooligosaccharide Production)

  • 신현재;박오진;양지원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3-598
    • /
    • 1995
  • The cultural conditions of Bullera singularis were optimized for the efficient production of galactooligosaccharide (GOS), Optimum temperature was 25$\circ$C, pH was 6.0, inoculum size was over 5% (v/v), initial lactose concentration was over 5% (w/v). The GOS production increased with microbial growth. Maximum amount of 72% (w/w) GOS was obtained from the optimized medium (5% lactose and 0.75% yeast extract) in 70 hours. Seven types of GOS (3 of dimer, 2 of trimer, 1 of tetramer, and 1 of pentamer) were identified by two-dimensional TLC. A new mechanism of GOS produc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metabolism of carbon source.

  • PDF

콩의 미기녹(未記錄) 병(病)인 Cylindrocladium(Calonectria) crotalaria에 의한 흑색(黑色) 뿌리썩음병 (An Investigation of Undescribed Black Root Rot Disease of Soybean Caused by Cylindrocladium(Calonectria) crotalariae in Korea)

  • 성재모
    • 한국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3-57
    • /
    • 1980
  • An undescribed black root rot of soybean, caused by Cylindrocladium crotalariae, was observed in Suweon area. The diseased plants showed yellowing at the top and dry rot at the root. Lesions of roots and stems in the soil were red to brown and main roots were cracked. Although not observed the disease in the field, leaves of inoculated test plants in the greenhouse exhibited circular, brown lesion surrounded by chloratic halos. The fungus was recovered in culture from the infected stem and root, and the perithecia of Calonectria crotalariae were demonstrated to be present as well as the cylindrocladium state. The fungus was pathogenic to the root, stem, petioles and leaves of soybean. The probable source of primary inoculum was microsclerotia formed in infected soybean root and stem from the previous season's soybean debris. Black root rot by this fungus was considered to be one of detrimental factors to the maximum yield of soybean. From the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athogenic behaviors, this fungus was identified as Cylindrocladium(Calonectria) crotalariae.

  • PDF

도열병 이병엽접종원에 대한 수도 품종의 반응에 미치는 온도 및 Water Stress의 영향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Water Stress on the Varietal Reactions of Rice to the Inoculum of the Blast Infected Leaves (BIL))

  • 이순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45
    • /
    • 1981
  • 1979년 수원 작물시험장 포장에서 도열병에 심하게 이병된 ‘노풍’ 품종의 이병엽(짚)을 수거하여 도열병에 대한 품종 저항성을 유묘 검정하는데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접종시외 온도 및 Water Stress 의 환경조건을 달리해 줌으로써, 공시품종의 도열병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이병엽(짚)을 접종원으로 사용하여 도열병에 대한 품종저항성을 검정하는 방법은 비교적 많은 품종 및 계통들을 일시에 조사할 경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었다. 2. 고온조건(25^\circ C \sim 35^\circ C)에서보다 저온조건(15^\circ C \sim 28^\circ C)에서 공시품종들의 도열병 발병이 비교적 더 많았다. 그러나 온도에 따른 도열병 반응의 차이는 품종에 따라서 매우 상이하였다. Indica-Japonica hybrid 품종들은 대개 고온에서 발병이 더 급격하고 많았지만, Japonica 품종들은 대개 저온에서 발병이 많은 편이었다. 3. Water stress를 받지 않은 환경조건에서보다 일시적인 Water stress를 받은 환경수건에서, 공시품종들의 도열병 발병이 더 많았다. 품종의 Water stress에 따른 도열병 반응의 차이는 온도에 따른 품종간의 차이(품종과 온도의 interaction)에 비해서 적은 편이었다. 4. 저항성 품종들(Tetep, Zenith, Toride 1, 수원 288호 등)의 도열병에 대한 반응은 환경조건의 영향을 거의 받지 많았지만 중도저항성 품종들(신002, Kanto 51, 흑조, 아끼바레 등)은 환경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병성 품종들은 어떤 환경조건에서도 발병이 많았다. 5. 접종원으로 사용된 이병엽의 병원성은 Pi-\alpha 품종(‘애지욱’, ‘Ca1oro’) 및 Pi-$textsc{k}$ 품종(‘Kanto 51’), 통일계 신품종에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나, ‘신002’, ‘Fukunishiki’, ‘진흥’ 등의 품종에 중도저항성 반응을 보였고, ‘농백’에는 병원성이 없었다. 국제판별 품종이나 일본신판별 품종으로써는 정확한 race 유별이 불가능했다. 각 환경수건에 따라 판별품종의 반응이 약관씩 다르게 나타났지만 대체로 blast nursery 성적과는 반응이 비슷하였다. 6. 정도 저항성 및 이병성으로 나타난 ‘Kanto 51’, ‘Yashiromochi’, ‘Ishikari-shiroke’ 등의 품종들에서는 접확후 병반형 및 병반수의 변이가 매우 심하였다. 급성형(이병성, PG형) 병반을 많이 형성하는 품종들(‘애지욱’, ‘Caloro’, ‘Norin 6’ 등)은 고도의 이병성이었고 저항성 품종들은 대개 병반이 없거나 저항성 병반(hypersensitivity 반응, b 혹은 bg 형)을 나타내었다.

  • PDF

고추 탄저병균(Colletotrichum acutatum)의 분생포자 비산과 과실병반에 형성된 전염원 밀도 (Conidial Disperse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Its Density on Infected Fruits)

  • 지형진;신순선;이지현;김원일;홍성준;김용기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101-105
    • /
    • 2010
  • 본 연구는 고추 탄저병균인 Collerorichum acutaum의 강우에 따른 비산량과 비산거리 및 포장에서 감염 후 병증상의 발현시기 그리고 병반에 형성된 전염원의 밀도 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고추탄저병균의 분생포자는 비가 오는 날에 99.2%가 비산되었고 맑은 날에는 단지 0.8%의 포자만이 비산하였다. 포자의 비산량은 전염원과의 거리와 정의 상관이 있었다. 고추 탄저병균 포자의 93.3%는 점염원과 30 cm 수평거리에서 60 cm 높이 이하로 전파되었으며 120 cm 높이까지 비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지에서 상대적으로 감수성이 높은 품종의 고추 과실과 낮은 품종의 과실은 각각 4일과 6일 후에 최초로 외부 병 증상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10일 후에 병 증상을 나타내기도 하여 기상환경에 따라 병원균의 잠복기간이 10일 이상일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추 병반에 형성된 전염원인 분생포자의 수는 병방의 크기가 클수록 많았는데 병반의 길이가 1.5 cm 이상일 경우에는 병반 당 천만 개 이상의 포자가 형성되었으며 여러 개의 병반 당 천만 개 이상의 포자가 형성되었으며 여러 개의 병반이 합쳐서 병반 길이가 4 cm가 넘을 경우 1억개가 넘는 포자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고추 탄저병균인 C. acutatum이 빗물에 튀어서 전파되고 비바람의 강도에 따라 상당히 먼 거리로 전파될 수 있으며 기상환경에 따라 감염 후 10일 이상의 잠복기를 가질 수 있으며 한 개의 큰 병반에는 수 천만개의 전염원인 형성되는 것을 확인되었다. 따라서 고추 탄저병의 가장 효과적인 방제수단은 빗물을 직접 맞지 않도록 하는 비가림 시설이며, 노지에서는 병든 과실을 조기에 제거하고 병 발생 초기에 적절한 약제를 살포하여 전염원의 밀도를 낮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액체배양에서 느타리버섯균의 적합한 생장조건 구명 (Growth Condition of Liquid Culture by Pleurotus ostreatus)

  • 성재모;문희우;박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1호통권88호
    • /
    • pp.1-9
    • /
    • 1999
  • 느타리버섯 8품종의 균사생장은 $25{\sim}30^{\circ}C$의 온도 범위와 $5.5{\sim}6.5$의 pH 범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영양원의 선발시험에서 탄소원으로서는 황백당, 밀가루 및 옥수수가루가, 그리고 질소원으로서는 대두분이 공시균주의 균사생장이 가장 우수하였다. 농업적으로 이용성이 우수한 황백당 3%, 대두분 0.3%, 인산칼륨 0.05%, 황산마그네슘 0.05%를 배지 조성으로 하는 농업용 액체배지를 선발하였다. 삼각플라스크 배양에서는 250 ml의 erlenmeyer flask에서 보다는 250ml의 shake flask에서 직경 6 mm의 균사절편을 2개 접종하여 배양액량 100ml에서 배양했을 때 공시균주의 균사체 생산이 우수하였다. 그리고 erlenmeyer flask에서 배양방법을 달리하여 느타리버섯의 균사를 배양하였을 때, $45^{\circ}$ 경사배양한 처리구에서 균사체 생산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길이 $50mm{\times}$ 직경 10mm의 유리막대를 넣고 배양한 처리구에서는 균체량이 가장 적었지만 펄프형의 균사생육을 유도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