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ibitory index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29초

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L.)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타감물질(他感物質)의 동정(同定) - 1. 해바라기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의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자가억제작용(自家抑制作用) (Allelopathic Activity and Determination of Allelochemicals from Sunflower (Helianthus annuus L.) Root Exudates - 1. Allelopathic and Autotoxic Effects of Sunflower Root Exudates)

  • 박광호;;김순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2-60
    • /
    • 1992
  • 해바라기의 타감작용(他感作用)(Allelopathy) 및 천연제초제(天然除草劑)로서의 개발가능성(開發可能性)에 관한 시험(試驗)을 1988-1991년(年)에 걸쳐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IRRI) : 농학(農學), 생화학부(生化學部) 및 국립(國立)필리핀 대학교(大學校) 화학과(化學科)(천연물(天然物) 연구실(硏究室))에서 수행(遂行)하여 얻은 결과중(結果中) 해바라기의 생육중(生育中) 뿌리에서 분비(分泌)되는 타감작용(他感作用) 및 자가억제작용(自家抑制作用)에 관(關)한 연구결과(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해바라기의 근분비물질(根分泌物質)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전체적인 발아율(發芽率)에는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가 인정되지 않았지만 발아시(發芽始)등에는 다소 큰 영향(影響)을 미쳤음. 2. 생물검정재료(生物檢定材料)의 지상부(地上部), 지하부(地下部) 생장(生長) 및 전체 생체중(生體重)에는 유의적인 감소(減少)가 있었음. 3. XAD-4 Resin올 부착한 시험(試驗) 3에서 해바라기는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전반적인 생장량(生長量)이 많은 것으로 보아 자가억제작용(自家抑制作用)이 인정되었으며 이는 Resin에 의한 타감물질(他感物質)(Allelochemicals)의 판착효과(坂着效果)로 추정(推定)된다.

  • PDF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에서 인진쑥 및 동충하초의 지질대사촉진 및 간독성저하효과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by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 김영섭;유윤숙;한은경;강일준;정차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48-554
    • /
    • 2008
  • 본 연구는 $CCI_4$를 투여한 흰쥐에서 인진쑥과 동충하초를 서로 다른 혼합비율로 투여했을 때 간 손상에 대한 생리활성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혈청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사염화탄소의 투여는 간독성을 나타내 간의 무게 및 ALT, AST 수준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인진쑥과 동충하초의 투여에 의해 개선되며 인진쑥과 동충하초를 병행 투여 시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염화탄소 투여로 인해 증가된 혈청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인진쑥, 동충하초의 투여로 저하되었으며 혈청 중성지방은 인진쑥과 동충하초를 동량으로 투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혈청 콜레스테롤은 전체 인진쑥, 동충하초 투여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인진쑥과 동충하초를 병행 투여하는 경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맥경화지수는 사염화탄소의 투여 시 정상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인진쑥, 동충하초의 투여로 감소되었으며 4% 인진쑥과 2% 동충하초 병행 투여가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데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흰쥐의 간장 내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함량은 정상군보다 증가하였다. 인진쑥, 동충하초의 투여는 사염화 탄소 투여로 높아진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감소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4% 인진쑥과 2% 동충하초를 병행 투여 시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인진쑥과 동충하초의 투여는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간 독성을 저하시키며 혈청과 간지질 대사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간 기능 개선과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가지고있는 인진쑥과 동충하초를 단독으로 투여하는 것보다 병행 투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며 그 혼합비율이 4% 인진쑥과 2% 동충하초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나타났으나 혼합비율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오징어 간 가수분해물의 기능성 (Functionalities of Squid Liver Hydrolysates)

  • 이수선;박시향;박주동;;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677-1685
    • /
    • 2012
  • 북해도산 오징어 간의 유효이용을 목적으로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품학적 특성과 몇 가지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자가소화를 위한 최적 조건은 간의 함량 93.5%, pH 6.4, 항온온도 $47^{\circ}C$였으며, Protamex 가수분해의 최적 조건은 오징어 간에 대한 Protamex의 첨가비율 0.33%, pH 6.0, 가수분해온도 $55^{\circ}C$이었다.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총 아미노산 조성에서 proline, cysteine 및 methionine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조성에서는 검출되었다. 오징어 간, 자가소화물 및 Promatex 가수분해물의 카드늄 함량은 건조 중량으로 각각 $8.32{\pm}0.03$ mg/100 g, $3.56{\pm}0.02$ mg/100 g, $13.26{\pm}0.04$ mg/100 g으로서 식품안전 규정 이하의 농도로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자가소화물의 주요 저분자 물질의 분자량은 1.0~1.5 kDa인 반면, Protamex 가수분해물은 210~470 Da이었다. 자가소화물과 Protamex 가수분해물 간에 표면 소수성, 유화활성 지표, 유화안정성, 지방 및 수분 흡착능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높은 ACE 효소 저해효과가 관측되었다. 한편 HepG2 세포주에 대한 독성은 200 ${\mu}g/mL$까지 관측되지 않았다.

콜라겐 펩타이드 및 GABA 복합물의 섭취가 피부 및 수면장애 개선에 미치는 영향 (Beneficial Effect of Collagen-Peptide Mixture with GABA on Improvement Skin and Sleep Quality)

  • 김정기;임성환;김완기;조창희;하재현;서대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77-284
    • /
    • 2018
  • 콜라겐 펩타이드(collagen peptide)는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로서 주름 완화, 보습력 증대, 탄력 개선 등의 특정 피부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화장품 혹은 피부 개선 기능식품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gamma}-aminobutyric$ acid (GABA)는 척추 동물의 뇌,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 물질로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콜라겐 펩타이드와 GABA의 복합물이 수면 장애가 있는 여성에게 8주 경구 섭취를 통해서 수면 및 피부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확인하였다. 복합물(J85091900)은 8주간 연속적으로 섭취 시, 수면장애지수(PSQI)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수면 시간을 7% 증가시켰다. 또한, 피부 거칠기, 눈가 주름 및 피부 수분량(capacitance)을 유의적으로 개선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콜라겐과 GABA의 복합물은 복합 수면 장애에 따른 피부의 노화 현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먹는 화장품의 핵심 소재로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소재로서의 흑마늘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평가 -1차 피부자극 실험 및 감작성 중심으로- (Safety Evaluation of Black Garlic Extract for Development of Cosmeceutical Ingredients -Skin irritation and Sensitization Studies-)

  • 이현순;김선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213-1219
    • /
    • 2010
  • 본 연구는 흑마늘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그 기능성을 in vitro에서 tyrosinase 및 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피부노화에 관여하는 두 효소의 활성을 모두 저해하였다. 흑마늘 추출물을 hartley계 기니픽 수컷을 사용하여 피부 1차 자극 실험을 실시한 결과 1차 피부자극지수(P.I.I.)가 0.23으로 practically non-irritation(비자극성)에 해당하는 자극으로 피부 자극이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Maximization test법으로 피부 감작성을 확인한 결과 시험물질에 의한 홍반과 부종 등이 전혀 유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흑마늘 추출물에 대한 기니픽의 피부 감작율은 0%로, 피부에 대한 피부 감작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이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피부노화를 억제하는 기능성과 안전성확보된 소재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Effects of Ramie Leaf according to Drying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ancer Cells)

  • 김아라;강수태;정은;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82-689
    • /
    • 2014
  • 본 연구는 모시잎의 건조방법에 따른 항산화 및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80% 에탄올로 추출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풍건조 모시잎이 동결건조 모시잎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000 ppm에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74%와 77.29%의 비슷한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으며, Rancimat으로 측정한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의 항산화지수는 각각 1.38과 1.32로 BHT, BHA 및 비타민 C에 비해서는 낮았으나 시료를 미첨가한 음성대조군보다는 높은 항산화력을 보였다. 위암(AGS), 간암(Hep G2) 및 폐암(A549) 세포에 대한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알아본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건조방법에 따른 항암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가장 높은 농도인 $800{\mu}g/mL$에서 80% 이상의 간암 및 폐암세포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고, 위암세포에서는 75%이상의 증식 억제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항산화효과와 암세포의 증식 억제효과를 보였고, 건조방법에 따른 모시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은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등전점 용해/침전 공정으로 어류 알 분리단백질의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공처리수에 대한 식품기능성 및 생리활성 (Functionality and Biological Activity of Isolate Processed Water Generated During Protein Isolate Preparation of Fish Roes Using an Isoelectric Solubilization and Precipitation Process)

  • 이균우;윤인성;강상인;이수광;김재일;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94-706
    • /
    • 2017
  • This study evaluated the protein recovery, func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isolate processed water (IPW) generated in the preparation of protein isolates from fish roes (BH, bastard halibut Paralichthys olivaceus; ST,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YT,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by an isoelectric solubilization and precipitation process. The IPWs contained 2.7-5.4 mg/mL of protein, and the protein losses were 8-21% (P<0.05). The form capacity of IPW-3 for BH and ST, and IPW-4 for YT was 155, 194, and 164%, respectively. The emulsifying activity index ($27-43m^2/g$) of the YT-IPWs was the strongest, followed by ST ($7-29m^2/g$) and BH ($10-19m^2/g$). The 2,2-diphenyl-1-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of IPW-1 and -3 were higher than those of IPW-2 and -4.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scavenging activity ($IC_{50}$, mg/mL) of IPW-2 and -4 was 0.03 mg/mL for BH, 0.04-0.08 mg/mL for ST, and 0.04-0.07 mg/mL for YT. BH IPW-3 had the strongest reducing power (0.41 mg/mL) and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1.68 mg/mL). The 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IPW-3 was the highest for ST (1.52 mg/mL), followed by BH and YT. The common predominant amino acids in the IPWs were the essential amino acids Val, Leu, Lys, and Arg and the non-essential amino acids Ser, Glu, and Ala.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추출물(抽出物)이 고지방식이(高脂肪食餌)로 유발(誘潑)시킨 고지혈증(高脂血症) 흰쥐의 혈액(血液) 및 간(肝) 기능(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yolbuchukeo-tang Extracts on Blood and liver of Hyperlipidemia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필감매;정명수;김혜자;조화은;최윤희;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58
    • /
    • 200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olbuchukeo-tang extracts on the hyperlipidemia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Methods and Materials: In vitro; The extracts prepared for Hyolbuchukeo-tang by hot water extraction (HH), fermentation(HF) and UMPM extraction(HU) method. The extracts were examined for levels of polyphenol compounds,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hibitory potencies for HMG-CoA reductase. In vivo; Sprague-Dawley male rats of weighing $150{\pm}5g$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 normal control diet(NC), and high fat diet(HC), high fat diet with treated lovastatin of 10mg/kg(PC), high fat diet with Hyolbuchukeo-tang extracts; HH, HF and HU treated extracts of 300mg/kg, respectively. Also, we compared the effects of the extracts of HH, HF and HU on rats fed high fat diet for four weeks. Results: 1. The content of polyphenol compounds and electron donating abilities(EDAs) was the HF higher than HH and HU. The superoxide dismutase(SOD)-like activities were proportionate in consistency and they appeared highly from all extracts. The HMG-CoA reductase inhibition activities was highest activities in the HU. 2. The activities of serum GOT and GPT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H and HF groups.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F group. HH and HU group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therogenic index(AI).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liver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HF group, and HU showed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iglyceride than of the lovastatin. Also, photomicrographs of liver tissue showed higher fat accumulation in the HC group than in the HH, HF and HU groups. Conclusions: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hyper-lipidemia caused by a high fat diet was effectively inhibited the administration of HF and HU.

  • PDF

Trans지방산의 함량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Trans Fatty Acid Contents)

  • 안명수;서미숙;김현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42-548
    • /
    • 2008
  • 기질유지 4종을 $170{\pm}2^{\circ}C$$210{\pm}2^{\circ}C$에서 가열하면서 산가, 요오드가 및 trans지방산 함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산가는 4종 기질유지 모두 가열시간과 가열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그 증가폭은 감소되었다. 요오드가는 가열하는 시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항산화제 첨가로 감소폭이 감소하였다. 시료유지 중 올리브유의 경우 $170{\pm}2^{\circ}C$$210{\pm}2^{\circ}C$에서 7시간 가열 시 각각 88.7$\pm$0.6 및 89.2$\pm$0.5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rans지방산 생성량은 가열온도 및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옥배유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이 가장 크게 증가되었으며, 올리브유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이 가장 적어 안정된 유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Catechin과 BHT의 항산화제를 첨가함으로써 $0.5{\sim}15.4$%의 trans지방산의 생성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techin이 BHT보다 trans지방산 생성량을 감소시키는데 좀 더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에서 trans지방산 생성량은 옥배유> 대두유, 채종유> 올리브유의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제를 사용함으로써 trans지방산의 생성을 줄일 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진통(鍼鎭痛) 작용에 있어서 시상 후방 층판내핵(속방핵)의 역할 (Role of Posterior Intralaminar Thalamic Nuclei in Acupuncture Analgesia in Rats)

  • 노식;민병일;윤상협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6-44
    • /
    • 1999
  • Objectives: It has been well known that electroacupuncture(EA) has an analgesic effect and there is a pain control system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CNS). The pain control system is composed of three major nuclei, which are periaqueductal gray(PAG), raphe nuclei, and the pain inhibitory complex located in the spinal cord.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analgesic effect of EA might be the result of activation of the pain control system in the CNS. However, there may be a possibility that other nuclei are also involved in this pain modulation. Thus, we investigated whether the posterior intralaminar thalamic nuclei (PTIN) are involved in the pain modulation. Methods: To measure the level of pain, the jaw opening reflex (JOR) was used as a pain index. The magnitude of JOR is estimated by averaging the area of 10 successive responses. JOR was evoked by tooth-pulp stimulation with bipolar electrode carrying stimulus with the following parameters: intensity ranging from 420uA to 680ulA, 0.3ms duration of square pulse, and 0.5 Hz. Hapkog($LI_4$) and Taechung ($LR_3$) were the chosen acupoints. The Hapkog point was stimulated ipsilaterally at 5V, 3 Hz, for 15min in total, and the Taechung was stimulated at 2-3 V, 3 Hz, and for a total of 15 or 30 minutes. Different intensities of stimulation were given the PITN; one was given at $300{\mu}A$ and the other was at 500uA. The position stimulated in these nuclei by Paxinos Atlas was AP; from bregma $-4.0{\sim}-4.3mm,\;L; 0.5{\sim}1.8mm,\;D;\;4.8{\sim}6.3mm$. Results: The Hapkog point had a significant analgesic effect (P<0.05). However, the Taechung point had no effect. Both types of stimulation in the PITN did not reveal any analgesic effects. Conclusions: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posterior intralaminar thalamic nuclei are not involved in the modulation of p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