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rared rays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26초

그라운드 레슬링 가로들기 공격 시 수비 유형의 운동학적 분석 (A Kinematic Analysis of the Defence Types during Body Lock Technique in the Ground Wrestling)

  • 하종규;류지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5-164
    • /
    • 2007
  • This study is to find out effective defensive type by analysis on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defence types of the body lock technique in the ground wrestling. The subjects are 5 athletes who are in 60kg weight class. To get the kinematic analysis seven ProReflex MCU-240(Motion Capture Unit), infrared rays cameras, which was produced by Qualisys, were used to get a two-dimensional coordinate. Following are the analysis result from kinematic factors such as time element, speed element and angular element. 1. During position of ground wrestling, the average necessary time until defender's hip joint touches the mat for Phase1 was $0.34{\pm}0.14sec$ at side position was the shortest space of time out of three types, and Phase2 was $0.21{\pm}0.02sec$ at front position was the shortest space of time out of three types. Moreover, side defence position was the shortest for total average necessary time with $0.78{\pm}0.05sec$. 2. The movement change for hip joint was $57.21{\pm}20.17cm$ for front, $43.35{\pm}7.13cm$ for rear, and $18.67{\pm}10.24cm$ for side at Phase1 and $42.08{\pm}17.56cm$ for side, $16.61{\pm}6.34cm$ for front, and $1.48{\pm}1.29cm$ for rear at Phase2. 3. Movement speed of hip joint at defensive type were most effective in success and fail rate at Phase 1 and its frontal average speed was fastest with $1.01{\pm}0.23m/s$ following by $0.52{\pm}0.15m/s$ for side, and $0.62{\pm}0.15m/s$ for rear. The average for total change of speed is $0.79{\pm}0.32m/s$ for front, $0.78{\pm}0.17m/s$ for side, and $0.49{\pm}0.08m/s$ for rear. 4. The joint angle gets smaller in a order by rear, front, and side for the size of hip joint angle and knee angle for different defensive type. 5. As a result of one-way ANOVA on linear velocity for hip joint in frontal defence(phase1) was significance ($\alpha$=.05), but phase 2 was not significance. Synthetically, analyzing on differences among three different defence types which were front, rear, and side of the body lock technique in the ground wrestling, front defensive type was the most effective. In future,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regarding on defence at not a laboratory study but a field study to help out wrestler to pertinent techniques to improve the game of wrestling.

B.E.P.가 생쥐의 수영능(水泳能)과 수영부하(水泳負荷)로 야기(惹起)된 흰쥐의 피로회복(疲勞恢復)에 미치는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xperimental study of B.E.P.(Biological Energy Projector) on the swimming Time of Mice and on the Recovery of Muscular Fatigue of Rats)

  • 이철완
    • 혜화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57-371
    • /
    • 1995
  • We have completed a study to measure the contents of glucose, BUN, creatinine. LDH, and T-protein with respect to a fatigued condition in the bloods of rats which a constant swimming is loaded and to measure the maximun swimming time of mice The test has been carried out as a part of the basic study on the efficacy of B. E. P. (Biological Energy Projector) for emitting a light energy having a specific wavelength out of far-infrared rays. As a result. We have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t testing of mice's maximun swimming time, all of B.E.P.(2. 4. 8. 24hrs) treated group have been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but only 24hrs-B.E.P. treated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4 weeks. 2. The contents of glucose, BUN. creatinine, LDH, and T-protein measured immediately after the swimming of mice have been distinctly changed but not been significantly changed at their increase and decreas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3. At 3rd day out of the swimming loading, the contents of glucose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24hrs-B.E.P treated group surpassed 8hrs-B.E.P. treated group. 4. At 1st and 3rd day, the contents of creatinine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at B.E.P. (8, 24hrs) treated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have been recovered to the condition of the normal group. 5. After three days, the contents of BUN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in B.E.P.(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and have been recovered to the condition of the normal group. 6. The contents of LDH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ecreased in B.E.P.(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24hrs-B.E.P. treated group has been decreased distinctly than the normal group. 7. The contents of T-protein in the blood serum of the white rat have been distinctly increased in B.E.P. (8, 24hrs) treated groups at 3rd day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nd normal group. As the above result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execise of mice and the fatigue metabolism of rats were influenced by the light energy emitted the B.E.P., and it has been also proved that the external stimulation could be used as a preferable stimulative factor for the biological metabolism. If the clinical training and study are positively achieved, the B.E.P. would be used as curative mean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helping human body.

  • PDF

IMPLICATION OF STELLAR PROPER MOTION OBSERVATIONS ON RADIO EMISSION OF SAGITTARIUS A

  • CHANG HEON-YOUNG;CHOI CHUL-SUNG
    • 천문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81-87
    • /
    • 2003
  • It is suggested that a flying-by star in a hot accretion disk may cool the hot accretion disk by the Comptonization of the stellar emission. Such a stellar cooling can be observed in the radio frequency regime since synchrotron luminosity depends strongly on the electron temperature of the accretion flow. If a bright star orbiting around the supermassive black hole cools the hot disk, one should expect a quasi-periodic modulation in radio, or even possible an anti-correlation of luminosities in radio and X-rays. Recently, the unprecedentedly accurate infrared imaging of the Sagittarius A$\ast$ for about ten years enables us to resolve stars around it and thus determine orbital parameters of the currently closest star S2. We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such kind of observation to distinguish two quite different physical models for the central engine of the Sagittarius A$\ast$, that is, a hot accretion disk model and a jet model. We have attempted to estimate the observables using the observed parameters of the star S2. The relative difference in the electron temperature is a few parts of a thousand at the epoch when the star S2 is near at the pericenter. The relative radio luminosity difference with and without the stellar cooling is also small of order $10^{-4}$, particularly even when the star S2 is near at the pericenter. On the basis of our findings we tentatively conclude that even the currently closest pass of the star S2 is insufficiently close enough to meaningfully constrain the nature of the Sagittarius A$\ast$ and distinguish two competing models. This implies that even though Bower et al. (2002)have found no periodic radio flux variations in their data set from 1981 to 1998, which is naturally expected from the presence of a hot disk, a hot disk model cannot be conclusively ruled out. This is simply because the energy bands they have studied are too high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star S2 even if it indeed interacts with the hot disk.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is a hot accretion disk the star like S2 has imprints in the frequency range at v $\le$ 100 MHz.

GK2A 일단위 NDVI의 과소추정 노이즈 실시간 보정 (A Real-time Correction of the Underestimation Noise for GK2A Daily NDVI)

  • 이수진;윤유정;손은하;김미자;이양원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6_1호
    • /
    • pp.1301-1314
    • /
    • 2022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는 간단한 수식으로 식생 활력도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토지피복, 곡물수확, 농업가뭄, 토양수분, 산림재해 등의 분야에서 지표면의 식생 상태를 나타내는 지시자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시광선과 적외선을 감지하는 광학위성센서는 구름을 투과하여 센싱(sensing)할 수 없으므로, 구름 화소에 대해서는 지표면의 NDVI가 계산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천리안위성 2A호(GEO-KOMPSAT-2A, GK2A) 일단위 NDVI의 과소추정 노이즈를 개선하기 위한 실시간 보정기법을 개발하였으며,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NDVI와의 정량적 비교 및 시계열 변화에 대한 정성적 해석을 통해 제안된 기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식생의 생장 주기를 반영한 시계열 보정, 장기간 기후치를 이용한 이상치 제거, 엄밀한 통계기반의 결측화소 복원 등의 과정을 거친 보정 NDVI에서는 구름에 의한 과소추정이 효과적으로 개선되었다. MODIS NDVI와의 상관성이 원값보다 높고, 그 차이가 감소한 경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32.7%의 향상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일부 수정을 거쳐 타 위성산출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황토나노입자를 부착한 황토이불 사용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oess Bedding with Loess Nanoparticles on Sleep Disorder)

  • 이구연;함석찬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17
    • /
    • 2022
  • 배경: 황토면 침구의 사용이 불면증 환자에 미치는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면 침구를 불면증을 겪는 15명에게 사용하게 한 후에 '삶의 질' 및 '수면의 질'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연구하였다. 방법: 실험군에는 황토면 침구 그리고 대조군에는 일반 황색면을 사용하게 한 다음에 대상자들의 'WHO의 삶의 질'에 대한 설문 양식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전체 삶의 질 평가는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의 변화가 유의성이 없었고, 실험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의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로 개선되었다. 실험군의 '신체적 변화'는 황토면 침구를 사용하여 유의성이 있게 호전되었다. '수면시간'은 실험군의 실제 수면시간이 5.21시에서 7.2시간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의 질도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수면의 기간'은 실험군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길어졌다. 습관적 수면 실험군에서는 사전보다 사용 후에는 유의하게 높아졌다. '수면 방해'는 실험군의 사전보다 사후에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수면 약물 이용' 및 '낮시간 실험군'에서는 사용하기 전보다 사용 후에는 유의하게 수면 효과가 개선되었다. '사회성 척도, 환경변화 척도'와 '삶의 질 척도'의 실험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에는 편차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실험군에서는 14개의 항목에서 Pearson 상관관계분석에서 유의 확률 p < .05 및 p < .01에서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주간 졸음, 우울증 및 불안 척도 변화'는 실험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에는 유의한 차이로 개선되었다. 예후조사에 의하면 실험에서 황토면 침구사용 중 및 사용 후에 마음과 신체의 편안함을 느끼었고, 수면의 질도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수면 및 '삶의 질'에 대한 전체 평가는 일반 황색면을 사용한 대조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황토면 침구를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었다. 실험군의 전체적인 삶의 질은 황토면 침구를 사용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천연 광물 부석 파우더 코팅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perties and Coating Natural Mineral Pumice Powder of in Korea)

  • 김인영;노지민;남은희;신문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498-506
    • /
    • 2019
  • 이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지역에서 매장된 천연 광물을 이용하여 화장료용의 분체로써 활용가치를 부여한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광물의 이름은 부석이라고 칭하며, 미립자 파우더를 개발하여 이 파우더의 성능을 평가하고 화장품의 효능적 가치가 있는 가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보고한다. 이 파우더의 표면에 오일을 코팅하기 위하여 미립자 표면에 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를 1차 코팅한 후에 여기에 알킬실란으로 코팅하였다. 또한, 식물성 오일로 코팅하여 파우더의 응집을 막고, 오일상에서의 분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첫째; 부석파우더의 입자는 $10{\sim}50{\mu}m$의 입자를 가지고 있었으며, 입자의 표면에 다공성의 구멍이 있었다. 둘째; 이 파우더의 구성성분은 $SiO_2$, $Al_2O_3$, $Fe_2O_3$, MgO, CaO, $K_2O_2$, $Na_2O$, $TiO_2$, $TiO_2$, MnO, $Cr_2O_3$, $V_2O_5$ 등을 함유하였다. 셋째: 이 파우더의 입자는 판상형 구조를 가지며, 다공성으로 적갈색을 가지고 있음을 SEM과 TEM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넷째; 이부석 파우더의 원적외선 방사율은 $0.924{\mu}m$이었으며, 방사에너지는 $3.72{\times}10^W/m^2{\cdot}{\mu}m$ 이었다. 또한 음이온 방출량은 128 ION/cc를 방출하는 것으로써, 코팅을 하더라도 변하지 않고 그대로 그 성능이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화장품의 응용분야로써 비비크림, 쿠션파운데이션, 파우더펙트 등의 색조화장품, 선블록크림, 워시오프 마사지팩 등의 기초 화장료에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보물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의 해체 및 복원 (Dismantling and Restoration of the Celadon Stool Treasure with an Openwork Ring Design)

  • 권오영;이선명;이장존;박영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2호
    • /
    • pp.200-211
    • /
    • 2022
  • 청자 투각고리문 의자는 4점 일괄유물로 경기도 개성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진다. 청자 의자는 고려시대 당시 청자 제작기술의 우수성과 화려한 생활상을 보여주는 등 미술사적으로 가치가 높아 보물로 지정 관리되어 왔다. 그러나 일괄유물 중 1점의 경우 과거 수리 복원된 것으로, 처리 재료의 열화, 처리자의 미숙함 등으로 인해 미적가치가 하락되었고, 구조적으로 불안하여 재처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처리 전 보존상태를 조사한 결과, 물리적 손상은 전반적으로 제조상 결함부위를 중심으로 인위적 손상이 가중되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상태를 보였다. 균열부위 및 탈락된 편은 접합면이 맞지 않고 접착제가 청자 표면에 흐른 자국과 접착제 표면에 분진 등 2차적 오염물이 생겨 변질된 상태였다. 수리복원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자외선과 확대현미경을 이용하여 균열부의 접합 부위의 위치와 범위, 상태를 파악하였다. 적외선분광 분석(FT-IR)과 휴대용 X-선 형광분석을 실시하여 보존처리에 사용한 재료를 분석한 결과, 접착제로 셀룰로오스계 수지와 에폭시계 수지가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힘을 받는 접합부위에서는 접합강도를 높이기 위해 접착제에 석고(CaSO4·2H2O) 또는 골분(Ca10 (PO4)6(OH)2)을 첨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물의 보존처리는 기존 접합된 상태에서 전면 해체하고 물리적으로 취약한 부분을 중심으로 접합·복원을 통해 보강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기존에 사용된 접착제를 제거하고 해체한 결과, 청자 의자는 크게 상부와 하부, 굽다리, 일부 고리 문 등 총 6개 편으로 분리되었다. 해체 후 접합면에 남아 있는 잔류 접착제 및 오염물은 화학적 및 물리적으로 제거하고 스팀세척기로 파단면 세척을 통해 재접합의 효율을 높였다. 유물의 접합은 접합부위와 크기에 따라 접착제를 다르게 적용하였다. 편의 위치만 고정하는 접합부에는 시아노아크릴계 수지 Loctite® 401을 사용하고 구조적으로 안정화시키는 부분에는 가역성을 위해 아크릴계 수지인 Paraloid® B-72 20%(in xylene)로 단면처리한 후 에폭시계 수지 Epo-tek® 301-2를 이용하여 접합하였다. 상·하부 접합 같이 힘을 받는 부위는 Epo-tek® 301-2에 Kaolin을 첨가하여 접합강도를 보강하였다. 연속되는 문양으로 추정 가능한 고리문의 결실 부분은 SN-Sheet로 뼈대를 만들고 Wood epos®로 파손단면을 연결하여 모델링하면서 고리문을 복원하였다. 그 외 접합하면서 생긴 복원 부위는 심미적 및 구조적 안정화를 위해 Wood epos®로 메움처리하였다. 복원부위 및 메움처리한 부분은 추후 전시활용에 있어 이질감이 없도록 색맞춤하였다. 다양한 과학기술을 활용한 조사와 처리과정은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보존 관리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