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Loess Bedding with Loess Nanoparticles on Sleep Disorder

황토나노입자를 부착한 황토이불 사용이 수면장애에 미치는 효과

  • 이구연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
  • 함석찬 (차의과학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 Received : 2021.09.06
  • Accepted : 2021.09.12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Background: No studies have reported on the effects of loess beddings on insomnia patients. Purpose: It studied the change in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sleep after having 15 insomnia subjects use the bedding that emits far-infrared rays. Methods: After using loess bedding for the test group and general yellow bedding for the contro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questionnaire on the WHO quality of life of the subjects. Results: In the overall quality of life evaluation, the pre-and post-change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est group. Using loess bedding was greatly enhanced the physical change, the actual sleep time, and the quality of sleep of the test group. The period of sleep was significantly longer post-treating, and the habitual sleep efficiency was considerably higher, and sleep disturbanc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in the test group. Sleep drug use and daytime dysfunction after treating in the test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 sleep effect. Changes in the Sociality Scale, Environmental Change Scale, and Quality of Life Scal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est group. The quality of life for 14 items in the test grou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Daytime drowsiness, depression, and anxiety scale chang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test group. According to the predictive survey, the subjects felt warmth in their body and comfort in mind during and after using loess bedding and evaluated that sleep quality was good. Conclusions: The overall quality of life in the test group increased using loess bedding.

배경: 황토면 침구의 사용이 불면증 환자에 미치는 연구는 보고되지 않았다.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황토면 침구를 불면증을 겪는 15명에게 사용하게 한 후에 '삶의 질' 및 '수면의 질'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를 연구하였다. 방법: 실험군에는 황토면 침구 그리고 대조군에는 일반 황색면을 사용하게 한 다음에 대상자들의 'WHO의 삶의 질'에 대한 설문 양식으로 연구하였다. 결과: 전체 삶의 질 평가는 대조군은 사전과 사후의 변화가 유의성이 없었고, 실험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의 변화에는 유의한 차이로 개선되었다. 실험군의 '신체적 변화'는 황토면 침구를 사용하여 유의성이 있게 호전되었다. '수면시간'은 실험군의 실제 수면시간이 5.21시에서 7.2시간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수면의 질도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 '수면의 기간'은 실험군에서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하게 길어졌다. 습관적 수면 실험군에서는 사전보다 사용 후에는 유의하게 높아졌다. '수면 방해'는 실험군의 사전보다 사후에는 유의하게 낮아졌다. '수면 약물 이용' 및 '낮시간 실험군'에서는 사용하기 전보다 사용 후에는 유의하게 수면 효과가 개선되었다. '사회성 척도, 환경변화 척도'와 '삶의 질 척도'의 실험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에는 편차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는 실험군에서는 14개의 항목에서 Pearson 상관관계분석에서 유의 확률 p < .05 및 p < .01에서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주간 졸음, 우울증 및 불안 척도 변화'는 실험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에는 유의한 차이로 개선되었다. 예후조사에 의하면 실험에서 황토면 침구사용 중 및 사용 후에 마음과 신체의 편안함을 느끼었고, 수면의 질도 좋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수면 및 '삶의 질'에 대한 전체 평가는 일반 황색면을 사용한 대조군에서는 사전과 사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황토면 침구를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었다. 실험군의 전체적인 삶의 질은 황토면 침구를 사용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Jeon, J.E. and S.W. Choi. 2017. Insomnia treatment using neurofeedback: EEG beta decrease potocol. Kor. J. Clin. Psychol. 36(3): 351-368. dol:10.15842/kjcp.2017.36.3.006
  2. Kim, J.A. and S.W. Kim. 2017.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heart rate variability, fatigue,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Kor. J. Adult. Nurs. 29(1): 87-97. https://doi.org/10.7475/kjan.2017.29.1.87
  3. Kim, J.H., Y.T. Lim, H.S. Jang, and S.Y. So. 2018.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far-infrared rays emission of regional Hwangto. Kor. Concrete Inst. Proc. 30(1): 663-664.
  4. Lee, G.S. 2003.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Hwangtoh on the growth and plants. Mokpo National University thesis Master's.
  5. Lee, G.Y., H.H. Lee and S.C. Hahm. 2019. A study on far-infrared radiation and proliferation of ocherous cotton quilt fabrics. J. Naturopathy 8(2): 71-77. https://doi.org/10.33562/jn.2019.8.2.3
  6. Lee, G.Y., H.H. Lee and S.C. Hahm. 2020. Autonomic nerve change after loess bedding radiating far-infrared ray and energy. J. Naturopathy 9(1): 27-32. https://doi.org/10.33562/jn.2020.9.1.4
  7. Lee, J.R. and C.M. Park. 2000. Quality of life using WHOQOL-Bref in Taegu. Health Policy Mangement. 10(3): 129-154.
  8. Lee, J.R. and C.M. Park. 2011. A study of the effects upon satisfaction, intention to revisit and perceived value by patients through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 Focused on specialized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Kor. Public Health Res. 37(2): 41-56. doi:10.22900/kphr.2011.37.2.004
  9. Lee, Y.J., E.Jo. Kim, M.J. Park, and S.M. Kim. 2002. The effect of lavender fragrance on sleep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J. Kor. Geront. Soc. 22(3): 159-172.
  10. Ryu, D.O. 1997. Ocher mystery. Haenglim Pub. Co., Seoul. p.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