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검색결과 18,142건 처리시간 0.062초

정부출연연구기관 대상의 종합적 연구${\cdot}$개발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 연구과제관리시스템 중점적으로 (A Study on Implement of overall R&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 Sponsored Research Institutes - Research Administration System Centered)

  • 허태상;이승복;양명석;최기석;류범종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628-631
    • /
    • 2004
  • 출연연구기관 대상의 종합적 연구개발 지식관리시스템은 매년 증가하는 연구개발 산출물 정보를 국가차원에서 효율적으로 관리, 평가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 대국민 공개자료로써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각 연구기관에서 사용하는 조직운영시스템과 연계하여 과제 중심의 연구개발 성과정보를 집약적 검색, 제공하며 이를 통한 새로운 양질의 지식 창조를 지원한다. 본 연구는 현존하는 레거시 시스템을 파악하여 출연연구기관 대상의 통합적 연구개발 지식관리 시스템과의 연계성과 기능에 대해 연구과제관리시스템을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 PDF

GIS를 이용한 우편주소정보 관리시스템 (Postal Address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with GIS)

  • 장태우;김호연;김용진;박진우
    • 산업공학
    • /
    • 제18권4호
    • /
    • pp.361-369
    • /
    • 2005
  • Postal address information is basis for customer contact channel as well as for the postal logistics such as sorting and dispatching, and the management system has been prepared. It should manage not only address itself but also information of delivery districts and sequ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be included for intuitive and efficient manipulation. In order to construct a integrative system that could manage and utilize the standardized postal address information, we analyze various user requirements, define required GIS information, and present some results of data and process modeling. In addition, we explain several main functions with screen-shots of the implemented system. The GIS-enabled system, which is constructed after this study, is planned to be used to build and manage a database of nationwide postal addresses. It would make it possible to present other postal information systems with the address information and to provide various customer services.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사례 조사 연구 (A Case Study of Dataset Records i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오세라;박승훈;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33
    • /
    • 2018
  •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필요성은 기록관리 연구자들 사이에서 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그동안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행정정보시스템의 신규 구축 및 재개발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공공기관에서 운영 중인 각종 행정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된 데이터세트는 관리하지 못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원인은 현실 적용이 가능한 관리 방안의 부재에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구현 가능한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관리 방안은 데이터세트 관리 환경의 실상에 기초하여야 한다는 판단 하에, 현재 운영 중인 행정정보시스템에서의 데이터세트 생산 및 관리 환경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관리 방안 개발의 기초 자료와 유사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조사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재사용가능 정보관리시스템을 위한 협력기반 분류학의 고찰 (Consideration of a Collaborative Based Taxonomy for a Reusabl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메리 토레스;이혁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7-171
    • /
    • 2010
  • 본 논문은 온톨로지의 텍사노미에게 강력한 계층분류, 정확성, 그리고 상호운용성이 성공적인 재사용가능한 정보관리시스템을 위해서 요구되는 이유에 대한 이론적설명을 서술한다. 수많은 가용정보중 이용자의 요구와 정보관리시스템이 보유한 적절한 정보를 연결하는 것은 정보학이 성취해야하는 목적일 것이다. 컴퓨터기술과 방대한양의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력의 발전으로 이 목적은 가시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분류학자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최종이용자들을 위한 지식기반정보시스템의 가용성과 상호운용성에 대한 쟁점들에 대해 토론한다. 효과적인 정보관리시스템을 위해 온톨로지는 뛰어난 텍사노미를 요구하며, 텍사노미는 강력한 상호운용성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특히 정보관리의 측면에서 상호운용성의 요소가 효과적인 텍사노미 구성의 주요요소임을 제안한다.

Basic System Design in the PBNM Scheme for Multiple Domains as Cyber Physical System Using Data Science and AI

  • Kazuya Odagiri;Shogo Shimizu;Naohiro Ishi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1호
    • /
    • pp.1-7
    • /
    • 2023
  • In the current Internet system, there are many problems using anonymity of the network communic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s and crimes using the Internet system. This is why TCP/IP protocol used in Internet system does not have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data, and it is difficult to supervise the user performing the above acts immediately. As a study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there is the study of Policy Based Network Management (PBNM). This is the scheme for managing a whole Local Area Network (LAN) through communication control for every user. In this PBNM, two types of schemes exist. As one scheme, we have studied theoretically about the Destination Addressing Control System (DACS) Scheme with affinity with existing internet. By applying this DACS Scheme to Internet system management, we will realize the policy-based Internet system management. In this paper, basic system design for PBNM scheme for multi-domain management utilizing data science and AI is proposed.

SSL을 이용한 웹기반 계층적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Hierarchical Network Management System using SSL)

  • 황일선;이명선;유기성;김종근;조강홍;정진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15
    • /
    • 2002
  • MSP(Management Service Provider) 사업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은 로컬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다른 네트워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관리 서버들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다. 이때 사용되는 통신 회선은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공유 회선이므로 제3자가 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훔쳐볼 수 있다. 정보 중에는 관리자나 장비들의 중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정보에 대한 보호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통신 회선의 보안을 위하여 SSL(Secure Socket Layer)을 많이 사용하는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에서도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이나 관리 서버들의 통신에 SSL을 사용하여 정보를 보호하고자 한다.

  • PDF

웹 기반 Home PNA 장치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Home PNA Device Management System)

  • 안병오;안성진;정진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8C권6호
    • /
    • pp.865-87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Home Phoneline Neworking Aliance(Home PNA) 장치에 연결된 많은 가입자들로부터 야기될수 있는 대역폭 서비스 불균형 현상을 해결하고 이 장비를 이용하는 가입자들을 관리하기 위한 웹 기반 Home PNA 장치 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Simple-Net-work Managment Protocol(SNMP) 를 탑대한 Home PNA장치를 관리하기 위해서 관리항목을 Muti Dewling Unit(MDU) 장비으 Management Information Base(MB)로 부터 추출한 MIB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시스템관리, 포트관리, 성능관리, 장애관리로 분류하였다. 시스템관리는 개별 MDU 장비에 대해 구성정보를 제공하고, 포트관리는 현재 가입되어 있는 가입자에 대한 현황정보를 제공하고 비인가 가입자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그리고 성능관리는 트렁크 라인과 가입자 라인의 트랙픽 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장애관리는 예외 상황에 대한 장애로그 및 trap 메시지를 제공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운영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실제 네트워크에서 그 동작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업무관리시스템 기능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Functions of a Business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Organizations)

  • 오진관;조윤희;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1-11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3.0에 추진에 따라 기록관리와 정보공개 체계를 수립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 정부산하공공기관들이 설명책임 강화 요구에 신속히 대응하면서 동시에 업무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업무관리시스템'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고 기능과 개발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기록관리와 정보공개 체계를 도입하는 정부산하공공기관들 중에 전자결재 기능 위주의 전자문서시스템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기록물분류기준표를 개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다종다양한 업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정부산하공공기관들이 기록관리와 정보공개에 잘 대응하기 위해서는 문서 결재 외에도 과제관리 및 통제,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는 '업무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자체 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전사적 기능분류체계를 구축한 후 기관 맞춤형 '업무관리시스템'을 도입하고자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한 A기관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정부산하공공기관의 전자기록생산시스템의 도입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3차원기법을 이용한 폐기물매립지 정보관리시스템 구축 연구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Solid Waste Landfill based on 3 Dimensional Method)

  • 박진규;조성윤;김병태;이남훈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4호
    • /
    • pp.39-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폐기물매립지 운영자, 관계 공무원 및 지역주민들에게 폐기물매립에 관한 정보 제공은 물론 실시간으로 폐기물매립지의 운영 및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매립 정보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매립 정보관리 시스템은 두 개의 시스템 (폐기물 매립이력 관리 시스템 및 매립 진척상황 관리 시스템)로 구성되어 있다. 자동화된 RFID / LPR 방식에 의한 고형 폐기물 매립이력 관리 시스템은 폐기물 수거 차량과 반입폐기물의 정보를 관리하며, 또한 폐기물매립지 외각에 설치된 추적 카메라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매립위치 및 매립시간 등의 정보를 3차원으로 DB화하여 향후 매립폐기물의 자원화 및 사후토지 이용 시 필요한 매립이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매립진척상황 정보관리 시스템은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매립지 부피 및 용량을 3차원으로 관리하여 매립진척상황을 실시간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매립지 잔여용량 분석을 통한 수요예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A Technology for Water Pollution Diffusion Prevention based on Web Map

  • Shin, Jin Seob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65-71
    • /
    • 2017
  • An integrate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is necessary in improving water quality, properly allocating water resources, and supporting socio-economic development. Specifically,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using web map can be an efficient approach to accomplish this system. This paper aims to construct a dynamic water quality management system to reflect a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which includes three sub-models with consideration of their interrelationships (a socio-economic model based on dynamic Input-Output model, a water resources cycle model, and a water pollutants flow model). Based on simulation, the model can precisely estimate trends of water utilization, water 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under certain management targets, and propose an optimal plan. This study utilized the model to analyze the potential of using reclaimed water to accomplish local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while exploring the applicable approache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onstructe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can be effective and easily adopted to assess water resources and environment while improving the trade-off between economic and environment development, as well as formulate regional development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