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literary educ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1초

<춘향전>과 지리(地理) -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 영역의 탐색 ("Chunhyangjeon" and Geography -With a focus on the common realm of Literary Education and Geographic Education)

  • 김종철
    • 고전문학과교육
    • /
    • 제35호
    • /
    • pp.47-85
    • /
    • 2017
  • 공간은 작품의 배경으로서 문학교육의 관심사이고, 또한 지리교육의 주교육 대상인 점에서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의 대상이다. 이러한 전제에서 <춘향전>을 제재로 한 두 교과의 교육에서 공간을 중심으로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 영역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공간의 실체, 공간의 역할, 공간 의식, 공간 체험, 공간 재구성 등을 항목으로 <춘향전>에 이들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아울러 그 지리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춘향전>은 실제의 지리 공간을 서사 전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또한 등장인물들의 공간 의식, 장소감 등을 잘 형상화하였고, 나아가 작품이 그 배경인 실제 공간을 변화시키는 전형적 사례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작품 내 외적 현상에 대한 학습은 작품의 심도 있는 이해를 추구하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지리적 안목의 성장을 추구하는 지리교육의 목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교육 자료가 됨을 확인하였다. 앞으로 공간을 중심으로 한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소통과 공동 영역의 구축을 통한 교과 융합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두 교과의 교육 목표 체계의 비교와 연계 요소의 확인 위에서 공동 영역의 체계를 수립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본다.

S-PUMA 교수법을 활용한 글 읽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문학적 상상력과 컴퓨팅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ading Education Using S-PUMA Teaching Method on Elementary Students' Literary Imagination and Computational Thinking)

  • 손얼;정영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67-577
    • /
    • 2022
  •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디지털 소양이 강조되면서 인공지능 교육과 소프트웨어 교육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정보 교육을 위해 할당된 수업 시수는 34시간뿐이어서, 학생들의 디지털 소양을 기르는 데 한계가 많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를 확보하려면 다른 교과와 정보 교육이 융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PUMA 교수법을 활용한 글 읽기 교육이 초등학생의 문학적 상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만 5차시에 걸쳐 S-PUMA 교수법에 따라 글 읽기 교육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S-PUMA 교수법을 활용한 글 읽기 교육이 문학적 상상력과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문학적 상상력의 하위 영역인 창조적 상상력은 모든 집단에서 향상되었기에 S-PUMA 교수법에 의한 효과인지, 교육 내용에 따른 자연적인 효과인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인터넷 카페와 홈페이지의 어문저작물 불법 전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e of Illegal Distribution of Literary Works on Internet Cafes and Homepages)

  • 곽동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9-23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카페와 홈페이지의 어문저작물 불법 전송 실태를 조사${\cdot}$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각 사이트별로 어문저작물 불법 복제 및 불법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개연성을 지닌 카페나 홈페이지의 메뉴들을 조사하였고, 전체 자료수, 어문저작물 자료수, 최고조회수, 평균조회수를 파악한 후, 어문저작물의 유형을 시, 소설, 기타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 정부나 저작권 관련 기관이 이를 법제화하여 통제를 하는 경우에 국내 어문저작물에 대한 순기능적인 인식의 확산을 저해할 요소가 있다. 하지만, 카페 및 홈페이지 운영자와 여기에 올리는 이용자 모두가 저작권에 대한 인식이 거의 없는 상황이므로 법제화 이전에 국민 계도 차원에서 단계별 교육 및 대국민 홍보를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즉, 각각의 포털서비스 사업자가 사이트별 카페 및 홈페이지 운영자 및 이용자에 대한 저작권 관련 교육 및 시스템적 지원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우포늪 체험 학습을 위한 습지 생태 지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etland Ecology Map Program for the Study through Experience at Upo Swamp)

  • 양은주;김기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2호
    • /
    • pp.97-112
    • /
    • 2010
  • The study aims to comprehend the effect of the wetland ecology educ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nges of recognition about wetland through the wetland ecology map program. In this study, the literary research,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 survey methods were operated. Through the literary research,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writing item of ecology map was reconstructed based on the literary research, so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operated with the wetland ecology map program. Through four areas of test items such as the information and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behavior and participation, and the analysis of children's study results, the effect of the wetland ecology map program on changes of recognition about wetland was verifi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etland ecology map program would be able to be an educational approach which can achieve the 'personalization of environment' setting up predictable environmental improvement goals and satisfying the needs of spatial information of the appropriate regions from the holistic perspective that students themselves plan and participate beyond a one-time experience program. Production of ecological map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is expected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subjective environmental actions by operating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 would suggest the following. For wetland ecology map program to be supplemented and utilized, the basic education of wetland should be organized in regular school curriculum, ecology map program including various teaching learning methods be prepared actively, and in future studies, studies of ecosystem-wide wetland ecology map program including animals like birds and fish are necessary.

  • PDF

미국문학작품의 한국어 번역본 출판상황 (A Bibliographic Study on Korean Translations of American Literature)

  • 박온자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8권
    • /
    • pp.157-212
    • /
    • 1990
  • Translation has attained an important role in transmission and maintenance of human culture. As the world gets closer translation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useful means to carry knowledge and information through the language barrier. Translations of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valuable means of helping people to understand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in the interest of world peace. Korea has maintained a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since she first opened her door to the States in 1882. No one can deny that American has had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culture, politics, economics and education through the long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countri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to find out how many and what American literary works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through translation from 1882 to 1982.

  • PDF

프랑스 문학의 융합교육을 위한 앱 콘텐츠 설계 (App contents plans for convergence education of French literature)

  • 남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호
    • /
    • pp.281-286
    • /
    • 2014
  • 본 논문은 인문학적 지식은 학문적 경계를 극복하고 충분히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다른 분야로의 확장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는 융합교육을 위한 학습도구로서 애플리케이션 콘텐츠 설계를 제안하였다. 애플리케이션 콘텐츠를 활용한 문학학습은 다음과 같은 융합학습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ubiquitous]환경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앱은 뉴런의 구조와 같은 정보체제 갖추고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그중 원하는 정보만 선별하여 융합교육을 위한 하나의 학습콘텐츠로 제작이 가능하며, 동시에 보다 풍부하고 확대된 정보체제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로서 학습자는 보다 심화된 인문학적 지식의 함양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새로운 지식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능력을 이 과정을 통해 키울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앱 콘텐츠 수업을 통해 문학은 문화, 예술 등 다방면에 필요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이로서 융합교육의 최종목표인 학문의 탈경계화를 확인하게 된다.

중국의 초등학생 필독목록 조사 분석 (A Investigation and Analysis List of Required Reading for Chin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한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5-319
    • /
    • 2016
  • 이 연구는 중국 어문교육의 일환으로 시행되는 독서교육과 초등학생 필독목록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11년 제정된 어문교육과정표준의 교과외독서목록과 중국 교육부 추천의 2012년과 2015년의 초등학생 필독목록을 조사 및 비교 분석하고, 나아가 교과외독서목록과 2종의 교육부 추천 필독목록을 비교 분석하였다. 2종의 필독목록 조사 결과 장르별로 동화류와 과학도서류가 많았으며, 나라별로 영국도서가 많았으며, 교과외독서목록과의 비교 결과 해외도서와 중국저자의 반영률이 높았으며, 당대문학작품류와 과학류의 반영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중국저자와 중국 동화 및 당대 문학작품 등에 대한 연구와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와 추천을 제안하였다.

국내 대학의 정보이용능력 교양교육의 표준 지침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s a Basic General Course and Information Literary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 진혜영;황인영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3년도 제10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5-294
    • /
    • 2003
  • 정보이용능력은 정보화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높은 수준의 일반지식이 되고 있으며, 대학과 대학도서관에서 학생 개개인이 정보이용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해 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교양과목으로 실시되고 있는 정보이용능력교육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교육 내용의 타당성을 표준 지침과의 비교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8개 대학의 정보이용능력교육 현황(강의 주체, 과목명, 강의 방식, 강의 장소, 평가)을 조사하고, 강의계획서를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ACRL 표준과 비교하여 보았다.

  • PDF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dentity of Information Subject from a Perspective of Subject matter Education)

  • 김자미;이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19-227
    • /
    • 2010
  • 교과의 정체성은 해당 교과에 내포된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정당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보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필요의 극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면이 적지 않다.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교과교육으로서 가치를 컴퓨터과학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컴퓨터과학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교과로써 가치와 목적에 대한 교육적 성찰을 제공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A Curricular Model of Information Literary for School Libraries in Korea)

  • 박명규;한상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67-194
    • /
    • 2005
  • 본 연구는 한국 학교교육 현장에 체계적으로 정착하지 못한 정보활용 교육의 기반을 확보하기 위하여 교과목명을 정보교과로 규정하고, 국가차원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을 제시함으로서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