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ective juveniles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22초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Fabricius))에 대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감염력 및 증식력 (Pathogenicity and Multiplic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on Been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and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Fabricius))

  • 한상찬;이성섭;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260
    • /
    • 1999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기주 증식을 위해 실내 대량사육이 용이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 (Fabricius))유충에서 병원성과 증식선충수를 조사하였다. 반수치사 병원선충수는 두 기주간 또는 발육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기주내에 증식된 선충수는 기주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온도에 따른 선충의 증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주내 최대 감염태 선충수(담배거세미나방 5령충에서 약 500,000마리, 파밤나방 5령충에서 약 100,000 마리)를 보이는 소요기간이 $25^{\circ}C$에는 접종 후 6일이나 $20^{\circ}C$에서는 12일로 길어졌다.

  • PDF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유충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arvest Time and Infective Juvenile Size of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arenarium,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and Propagation)

  • 한건영;이동운;추영무;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9-18
    • /
    • 2012
  •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 유충의 체장은 724 to 1408 ${\mu}m$로 변이가 크다. 따라서 $S.$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침입태 유충의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유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 $arenarium$ 침입태 유충의 수확시기는 병원성에 영향을 미쳐 10일째에 수확한 것이 3일째 수확한 것에 비하여 병원성이 높았다. 10일째에 수확한 선충은 선충의 체장에 관계없이 처리 48시간 후에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100% 치사시켰으나 3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 접종 시에는 4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체장이 큰 집단은 18%의 치사율을 보였다. 기주 체내에 정착한 선충의 수도 침입태 유충의 체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일째 수확한 선충들 중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혼합 집단 접종 시 기주에 정착한 선충 수는 각각 1.8, 3.3, 3.2마리였으며 10일째 수확한 선충들은 각각 5.3, 7.4, 7.6마리가 정착하였다. 3일째 수확한 유충의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을 구분하여 처리하였을 때 기주 체내의 암컷 체장은 각각 7,070.5 ${\mu}m$와 7,893.9 ${\mu}m$였고, 수컷 체장은 각각 1,460.5 ${\mu}m$와 1,688.2 ${\mu}m$였다. 10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접종 시에는 기주 체내에서 성숙한 암컷의 체장은 각각 7,573.6 ${\mu}m$와 8,305.4 ${\mu}m$였고, 수컷의 체장은 1,733.4 ${\mu}m$와 1,794.4 ${\mu}m$였다. 수확시기와 접종 선충의 체장은 침입태 유충의 체장과 증식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Galleria mellonella 유충을 이용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배양 조건 (Culture Condi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Using Galleria mellonella Larva)

  • 김도완;박선호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31-37
    • /
    • 1998
  • A simple method for the in vivo production of third-stage infective juveniles(IJs) of Steinernema glaseri was developed. Using Galleria mellonella larvae, only IJs can be rapidly generated inadequate quantities for field application. The nematode inoculation concentration and incubation temperature were critically important. The most effective temperature for infectivity of Steinernema glaseri IJs to Galleria mellonella larvae was 33$^\circ C$. However, the total number of menatodes harvested at 25$^\circ C$ about 66,000 IJs per larva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ose at other temperatures. The optimal inoculation number of nematodes was 60 to 80 nematodes per host larva. The higher nematode inoculation concentration of 100 IJs per larva caused a rapid de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IJs harvested. As the inoculation medium pH increased, the number of IJs harvested increased and reached about 110,000 IJs per larva at pH 9.0. The pathogenicity of IJs decreased y increasing the salt concentration in the medium.

  • PDF

농약이 곤충병원성 선충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queous Solutions of Pesticides on Survival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 이동운;추호렬;최은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13-222
    • /
    • 1999
  • The toxic effects of four pesticides on the entomopathogenic nematodes.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strain, Steinernema glaseri NC and Dongrae strain were tested by checking the mortality of infective juveniles(Ijs) in aqueous solution of pesticide. Mortality of Ijs was influenced by pesticide and concentration and soaking time. The herbicide alachlor and insecticide fenitrothion were toxic to Ijc of three entomopathogenic nematodes. But, the fungicides mepronil and tolclofos-methyl were nontoxic to Ijs. Tolclofos-methyl showed significantly very week toxicity at 28 days after soaking for S. glaseri NC strain. H. bacteriophora NC strain was more highly sensitive to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n were the other nematodes.

  • PDF

곤충병원성 선충을 이용한 느타리버섯해충,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의 생물적방제 (Biological Control of Lycariella magi(Diptera: Sciaridae), a Pest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Using Entomopathogenic Nematodes)

  • 김형환;추호렬;이흥수;박정규;이동운;진병래;추영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67
    • /
    • 2001
  • 긴수염버섯파리 (Lycoriella mali)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포천계통과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함양 계통의 병원성을 실내와 포장에서 실험하였다. 곤충병 원성 선충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선충의 종, 농도, 온도 및 긴수염버섯파리의 발육단 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 carpocapsae가 H. bacteriophora보다, 긴수염버섯파리 2령충보다는 3령충과 4령충에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온도에 따른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20^{\circ}C$보다는 $25^{\circ}C$에서 높았다. 반수치사농도가 가장 낮았던 값은 $25^{\circ}C$에서 S. carpocapsae의 긴수염버섯파리 2령 충에서 20.0마리, 3령충에서 27.5마리였다. S. carpocapsae에 의한 긴수염버섯파리의 치사율은 알과 1령충을 제외한 전 발육단계에서 병원성이 높았으며, 가장 치사율이 높았던 것은 암컷 성충으로 2$0^{\circ}C$에서 74.0%, $25^{\circ}C$에서 80.0%였다. S. carpocapsae는 긴수염버섯파리 암컷의 산란수를 감소시 켰고, 긴수염버섯파리의 성충에 의하여 감염이 된 후 전파가 되었다. 포장실험에서 S. carpocapsae를 $1.5\;\textrm{m}^2$$2.25{\times}10^{5}마리와\;4.5{\times}10^{5}$ 마리로 처리한 14일째 유충감소율은 42.2%와 81.6%였으며 ,버섯재배사에서 곤충병원성 선충은 14일까지 지속되고 있었다. 곤충병원성 선충은 느타리버섯의 생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층의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 유충에 대한 병원성과 골프장에서 지속성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Larva of Popillia quadriguttata, Ectinohoplia rufipes and Phyllopertha diversa (Coleoptera: Rutelidae) and Persistence in Golf Courses)

  • 최우근;하판정;이상명;추호렬;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7-116
    • /
    • 2006
  • 한국산 곤충병원성 선충의 녹색콩풍뎅이(Popillia quadriguttata), 주황긴다리풍뎅이(Ectinohoplia rufipes) 및 연다색풍뎅이(Phyllopertha diversa)에 대한 병원성을 실내에서 검정하였으며 아울러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을 이용하여 굼벵이 방제효과와 지속성을 조사하였다. 실내실험 결과 녹색콩풍뎅이 3령충에 대하여 H. bacteriophora Hamyang 계통은 95%의 높은 치사율을 보였으며 주황긴다리풍뎅이 3령충에 대해서도 H. bacteriophora Hamyang 계통과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이 80% 이상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연다색풍뎅이는 병원성이 가장 높은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 처리 시에도 60%의 치사율을 보였다. 골프장에서 Heterorhabditis sp. KCTC 0991BP 계통을 $2.24{\times}10^9$ Ijs $ha^{-1}$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굼벵이의 밀도는 39%까지 감소되었고, 골프장 페어웨이에서 지속성은 $5{\sim}10$ cm 깊이의 토양에서 두 달까지 지속되었으나 $0{\sim}5$ cm 깊이에서는 치사되는 미끼곤충(꿀벌부채명나방)이 없어 지속성이 낮았다.

시설재배지에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tid와 Heterorhabditid를 이용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Lepidoptera: Noctuidae) with Entomopathogenic Nematodes(Steinernematid and Heterorhabditid) in Greenhouse)

  • 김형환;조성래;이동운;이상명;추호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35-343
    • /
    • 2006
  • 엽채류 재배지에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파밤나방을 환경친화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토양에서 분리한 steinemematid 선충과 heterorhabditid 선충 5계통(Steinernama carpocapsae GSN1, Steinernema sp. GSNUS-10, Steinernema sp. GSNUS-14,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Heterorhabditis sp. GSNUH-1)을 이용하여 petri dish와 pot 및 엽채류 재배 온실에서 병원성과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 5계통의 파밤나방에 대한 반수치사농도($LC_{50}$)를 조사한 결과, 선충의 계통과 파밤나방의 령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LC_{50}$은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GSN1) 계통이 파밤나방 $2{\sim}4$령충에서 $3.8{\sim}5.1$마리로 가장 낮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pot와 시설재배지에서의 병원성 실험결과도 선충 계통, 처리농도, 처리횟수 및 엽채류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Steinernema 계통 선충들이 Heterorhabditis 계통 선충들보다 병원성이 높았다. 선충의 처리회수에 따른 파밤나방 유충 치사율은 선충의 계통과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1회 처리보다 2회와 3회 처리에서 방제효과가 높았다. 파밤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의 방제효과는 양배추나 케일보다 배추에서 높았다. 시설 재배지에서 GSN1이 파밤나방에 대한 방제효과가 가장 높았고, 처리농도에서는 $m^2$당 100,000마리(720,000마리 $7.2m^{-2}=1{\times}10^9$마리 $ha^{-1}$)가 다른 두 농도처리보다 높았다.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Heterodera schachtii and the Newly Recorded Cyst Nematode, H. trifolii Associated with Chinese Cabbage in Korea

  • Mwamula, Abraham Okki;Ko, Hyoung-Rai;Kim, Youngjoon;Kim, Young Ho;Lee, Jae-Kook;Lee, Dong Wo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4권4호
    • /
    • pp.297-307
    • /
    • 2018
  • The sugar beet cyst nematode, Heterodera schachtii is a well known pathogen on Chinese cabbage in the highland fields of Korea. However, a race of cyst forming nematode with close morphological resemblance to H. trifolii was recently isolated from the same Chinese cabbage fields. Morphological species differentiation between the two cyst nematodes is challenging, with only minor differences between them. Thus, this study described the newly intercepted H. trifolii population, and reviewed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conceivably essential in differentiating the two nematode species. A comparison of morphometric measurements of both infective juveniles and vulval cones of cys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yst nematodes. When total RNA and genomic DNA were extracted from a mixed field population, COI genes and ITS regions were clearly amplified with primers of the two Heterodera species, suggesting that Heterodera population collected from the Chinese cabbage field consisted of a mixture of two species. COI and ITS of H. trifolii were predominantly amplified from nucleotides prepared from H. trifolii monoxenic population whereas those of H. schachtii were strongly detected in H. schachtii monoxenic cultures. Thus, this study confirms the coexistence of the two species in some Chinese cabbage fields; and the presence of H. trifolii in Korea is reported here for the first time.

병원성 선충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에서 분리된 공생 박테리아 Photorhabdus luminescens의 생장조건 (Growth Optimization of Photorhabdus luminescens Isolated from Entomopathogenic Nematode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 Yoo, Sun Kyun;Randy Gaugler;Christopher W. Brey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04-109
    • /
    • 2001
  • 공생 박테리아 Photorhabdus sp. strain TF 균체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병원성 선충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의 Infective Juveniles의 생산이 증가되었다. 이 공생 박테리아의 성장 최적 조건은 각각 배양 온도 3$0^{\circ}C$ 그리고 초기 배지 pH 5.5부터 7.3 사이에서 얻어졌다. 통기 상태에서 박테리아 균체의 생산과 성장이 촉진됨이 밝혀졌다. Photorhabdus sp. strain TF 박테리아의 성장 중 생산된 색소와 배양액의 pH의 변화는 박테리아의 성장 정도 나타내어 액체배양에서 병원성 선충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의 접종시기로 표시로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