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cator organism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8초

정수소독공정에 이용되는 염소, 이산화염소, 오존 소독제의 비교, 고찰에 관한 연구 (Comparison of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as Disinfectants in Drinking Water)

  • 이윤진;이선종;이동찬;김현;이환;이철효;남상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
    • /
    • 2002
  • The experimen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inactivation were performed in a series of batch processes with the total coliform as a general indicator organism based on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as disinfectants. The water sam-ples were taken from the outlet of settling basin in a conventional surface water treatment system that is provided with the raw water drawn from the mid-stream of the Han River. The inactivation of total coliform was experimentally ana-lyzed for the dose of disinfectant contact time, pH, Temperature and DOC. The nearly 2.4,3.0,3.9 log inactivation of total coliform killed by injecting 1 mか1 at 5 minutes for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For the inactivation of 99.9%(3 log), Disinfectants required were 1.70, 1.00 and 0.60 mか1 for chlorine, chlorine dioxide and ozone, respec-tively. The higher the pH is, the poorer the disinfections effects are in the range of pH 6-9 by using chlorine and ozone. But the irfluence of pH value on killing effects of chlorine dioxide is weak. The parameters estimated by the models of Chick-Watson, Hom, and Selleck from our experimental data obtained for chlorine are: log(N/ $N_{0}$ )=-0.16 CT with n= 1, log(N/ $N_{0}$ )=-0.71 $C^{0.87}$T with n$\neq$1, for Chicks-Watson model, log (N/ $N_{0}$ )= -1.87 $C^{0.47}$ $T^{0.36}$ for Hom model. For chlorine dioxide are: log(N/ $N_{0}$ )= -1.53 CT with n = 1, log(N/ $N_{0}$ )= -2.29 $C^{0.94}$T with n$\neq$1,, for Chicks-Watson model, log(N/ $N_{0}$ )= -3.64 $C^{0.43}$ $T^{0.24}$ for Hom model and for ozone are: log(N/ $N_{0}$ )= -2.59 CT with n = 1, log(N/ $N_{0}$ )= -2.28 $C^{0.36}$T with n$\neq$1, for Chicks-Watson model, log(N/ $N_{0}$ )= -4.53 $C^{0.26}$ $T^{0.19}$ for Hom model.19/ for Hom model.

푸드뱅크 기탁 조리식품의 미생물학적 위해분석(I) (Microbial Risk Analysis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I))

  • 박형수;류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617-629
    • /
    • 2007
  • To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tems prepared after cooking process, this study was aimed to identify the hazards related with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s through quantitative microbial analysis. Five foodbank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 area among government-dominant foodbanks were surveyed from February to June, 2007. Manager, recipient, donator, type and quantity of donated foot and facility and equipment were examin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oodbank. The time and temperature of food md environment were measured at steps from after-production to before-distribution, and the microbial analysis was performed mainly with indicator organism and major pathogens. The amount of cooked foods donated to each foodbank was about 20 to 30 servings and consisted of 80% of total donated foods. Only three foodbanks had separate offices for foodbank operation and four institutions had at least one temperature-controlled vehicle. The flow of donated foods was gone through the steps; production, meal service and holding at donator, collection by foodbank, transport (or holding after transport) and distribution to recipients. It took about 3.8 to 6.5 hours at room temperature from after-production to before-distribution. Only aerobic plate counts (APC) and coliforms were found in microbial analysis. The APC after production were relatively high in $8.2{\times}10^5,\;7.4{\times}10^5,\;6.9{\times}10^5$ and $4.2{\times}10^5 CFU/g$ while $2.8{\times}10^6, \;9.4{\times}10^5,\;1.0{\times}10^6$ and $5.4{\times}10^5CFU/g$ before distribution in mixed Pimpinella brachycarpa, mixed chard mixed amaranth and mixed spinach, respectively. The levels of coliforms in mixed chard and mixed spinach were complied with the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e level of APC in boiled pork was increased from $< 1.0{\times}10 CFU/g$ to $4.0{\times}10^2 CFU/g$. One of delivery vessels was shown $6.2{\times}10^3 CFU/100 cm^2$ in APC, which was over the standards for environment. One of serving tables also showed the high level of $1.2{\times}10^3 CFU/100 cm^2$ in APC and $6.6{\times}10^2 CFU/100 cm^2$ in coliforms. These results suggest the sanitary management of holding at donator and the time-temperature control are key factors to ensure the safety of cooked foods donated to foodbank.

테트라싸이클린 및 테트라싸이클린-구연산 혼합젤로 처리한 치근면의 항 미생물 활성 변화에 관한 연구;In Vivo Study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oot Surfaces Treated with Tetracycline-containing ge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 and citric acid-containing gel;in vivo study)

  • 정희선;한수부;남석우;심창구;계승범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79-9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ubstantivity of experimentally developed gel type tetracycline HC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citric acid gel, and compare to those of solution type tetracycline HCl. 11 extracted anterior teeth were subjected to this study. After scaling and root planing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3 treatments groups : group 1; 3 teeth were irrigated with tetracycline HCl(50mg/ml) solution , group 2; tetracycline gel (5%) was inserted in the periodontal pockets of 3 teeth, group 3; a mixture of tetracycline and citric acid gel was inserted in the pockets of 3 teeth. And 2 teeth treated in 0.9 % sterile saline served as controls. After 5-minute exposure, each tooth immediately extracted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2 days in tris-buffered saline as a desorption media. The total volume of TBS was removed and replaced with fresh TBS, at 24-h intervals. Removed desorption media transferred to a sterile vial and stored at -70 oC. This procedure was repeated every 24 h throughout the 22-day desorption period. Using Porphyromonas gingivalis as an indicator organism, a microtiter assay was used to evaluate antimicrobial activity desorbed from the teeth. 1. 50mg/ml tetracycline HCl solution exhibited the longest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saline treated group, i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day 1 and day 2 desorption period. 2. The ODs of 5% tetracycline gel and a mixture of tetracycline-citric acid g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during the first 24 hour only. 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the day 3 between the groups.(p<0.05). Despite our expectation a mixture of tetracycline-citric acid gel did not show longer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ose of tetracycline gel, and the solution type exhibited the longest activities. Because the gel type agents may stay in the subgingival environment longer than the solution, if the teeth were not extracted immediately after the delivery of the agent, the result could be different. hus this result suggests the possibilities of practical use of these kind of gel type agents.

  • PDF

제주도 습지의 수서곤충상과 분포 특성 (Aquatic Insects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on Jeju Island Wetlands)

  • 정상배;오홍식;전형식;양경식;김원택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5-46
    • /
    • 2010
  •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제주도 지역 습지 102곳에 대해 수서곤충상과 서식지의 해발 고도와 고도의 분포 범위, 먹이형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사지내에서는 제주도의 수서곤충 총 7목 32과 73속 100종이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하루살이목 1종, 잠자리목 23종, 강도래목 1종, 노린재목 23종, 딱정벌레목 47종, 날도래목 3종, 파리목 2종이었다. 가장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종은 방물벌레이며, 다음으로는 고추잠자리, 밀잠자리, 애소금쟁이이며, 다음은 애송장헤엄치게로 확인되었다. 단 한 곳에서만 확인된 종은 잘룩허리왕잠자리 등 16종이었다. 고도에 따른 분포특성과 범위는 저지대에서는 방게아재비 등 10종, 중간지대에서는 새가슴물땡땡이 1종, 고지대에서는 민강도래Kub 등 6종이었다. 그리고 협역분포종은 물장군 등 44종, 중간분포종은 물벌레 등 18종, 광역분포종은 메추리장구애비 등 21종 이었다. 조사지에서 확인된 100종 중 포식성 75종, 식식성 18종, 잡식성 5종, 부식성 2종으로 나타났고 광역분포종의 대부분은 포식성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제주도의 수서곤충은 대다수가 제한적인 고도의 범위에 분포하고 있고 포식성의 식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크롬(Cr)과 구리(Cu) 노출에 따른 Chironomus plumosus 깔다구의 생물학적 영향과 하순기절 기형발생 (Biological Effects and Mouthpart Deformity on Chironomus plumosus Exposed to Chromium and Copper)

  • 김원석;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2권1호
    • /
    • pp.13-20
    • /
    • 2019
  • 인간의 산업활동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크롬과 구리 중금속은 강우와 폐수를 통해 환경으로 유입되어 서식 생물에 유해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수생태계 오염 지표 생물인 Chironomus plumosus를 대상으로 크롬과 구리 노출에 따른 생존율, 성장률, 우화율, 성비 등의 생물학적 반응과 하순기절 기형의 형태적 영향을 관찰하였다. C. plumosus의 생존율은 크롬과 구리 노출 시간-농도의존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성장률은 크롬 노출 후 4일째 감소하였고 구리 노출 시에는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1000mg\;L^{-1}$에서 모든 노출 시간에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0mg\;L^{-1}$ 구리 노출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화율이 급격히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크롬 노출 시 성비는 상대적 저농도에서(10과 $50mg\;L^{-1}$) 대조군과 달리 암컷의 비율이 증가했지만 구리 노출 시에는 상대적으로 고농도인 $1000mg\;L^{-1}$에서 수컷의 비율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성비불균형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C. plumosus 하순기절 형태적 기형은 크롬과 구리 노출에 따라 노출군에서 발생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크롬과 구리의 수생태계 유입이 서식하는 저서무척추동물인 C. plumosus의 생물학적, 형태적 유해 스트레스를 제공하며 C. plumosus가 크롬과 구리 같은 중금속 독성평가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표종임을 제시한다.

하계 무안만 조하대 저서동물군집 특성 및 AZTI의 해양생물지수(AMBI)와 수질평가지수(WQI)를 이용한 건강성 평가 (Characteristics of Macro Benthic Community in the Subtidal Zone of Muan Bay on Summer and Health Assessment by using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Water Quality Index (WQI))

  • 오준호;이경선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8
    • /
    • 2022
  • 저서동물은 저서환경특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시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안만 조하대의 환경 및 저서동물의 분포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질평가지수(WQI)와 저서생물지수(AMBI)를 이용하여 저서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채집은 2019년 하계 무안만 조하대의 10개 정점에서 이루어졌다.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지역이 하부지역에 비해 세립한 입도특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높은 유기물 함량을 보였다. 일부 정점에서 오염지표종인 Musculista senhousia, Theora fragilis and Lumbrineris longifolia과 같은 종들도 우점을 나타내고 있었다. 군집분석결과 무안만 조하대는 상부, 중부, 하부 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유기물 함량과 저서건강성 평가지수(WQI 및 AMBI)와의 상관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무안만 조하대의 저서생태계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하지만 저서동물이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고, 기회종이 출현하고 있어 조하대의 유기물 부하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칠게 외골격 표면 거칠기를 이용한 노출 독성 평가: 새로운 융합적 연구 (Toxicological Assessment to Environmental Stressors Using Exoskeleton Surface Roughness in Macrophthalmus japonicus: New Approach for an Integrated End-point Development)

  • 박기연;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265-271
    • /
    • 2021
  • 갑각류 외골격은 키틴질로 이루어져 있고 외부자극에 보호와 지지를 위해 주요한 기능을 한다. 수환경은 물리적 변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양 오염에 끊임없이 영향을 받고 그 환경에 서식하는 생물은 생존을 위해 생물학적으로 반응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르가롤 독성노출이나 퇴적환경 중금속 분포에 따라 서식하는 칠게의 외골격 표면조도 분석을 통한 생태독성 종말점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칠게의 외골격 표면 조도는 이르가롤 노출에 대해 거칠기(Ra)도 감소하고 조도 변이(variation)도 줄어들었다. 또한 해양 연안 퇴적물 내 중금속(Cd, Pb, Hg) 분포에 따라 서식하는 칠게에서 표면 거칠기 및 변이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외골격 표면 거칠기의 변화는 외부환경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칠게의 생물학적인 반응 종말점(end-point)을 나타내며 나아가 외골격의 보호, 지지, 수송 등의 기능적 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공학과 생물의 융합적 기술로 수환경 모니터링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복합미생물 생물증강법을 이용한 인공해수하천의 친환경 효율적 현장 수질정화 (Eco-friendly and efficient in situ restoration of the constructed sea stream by bioaugmentation of a microbial consortium)

  • 유장연;김인수;김수현;칼루 엑페게어;장재수;박영인;고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83-96
    • /
    • 2017
  • 부산시 영도구의 혁신지구의 인공해수천은 높아진 하상과 조류의 특성으로 인해 물이 순환되지 않고 더구나 주위의 오수가 유입되고 있어서 수질이 나빠지고 악취를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오염되고 조류이동을 감안한 하천의 지점에 생물증강법을 적용하여 친환경적, 효율적으로 하천을 정화하고자 하였다. 현장에서 활성화된 복합미생물을 가장 오염된 지점(Site 2)에 7~10일 간격으로 투입하여, 수질의 pH, 온도, DO, ORP, SS, COD, T-N, 및 T-P를 측정하였고 또한 하상퇴적토의 COD 및 미생물군집을 분석하였다. 13개월 후 Site 2의 수질 SS, COD, T-N 및 COD (퇴적토)의 처리효율은 각각 51%, 58%, 27% 및 35%으로 나타났으나 T-P는 오히려 47% 증가를 보였다. 대부분의 측정지점에서 황산염환원세균(sulfate reducing bacteria)그룹 (Desulfobacteraceae_uc_s, Desulfobacterales_uc_s, Desulfuromonadaceae_uc_s, Desulfuromonas_g1_uc and Desulfobacter postgatei)과 Anaerolinaeles의 밀도는 대체적으로 생물증강에 의한 정화가 진행될수록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Gamma-proteobacteria (NOR5-6B_s and NOR5-6A_s), Bacteroidales_uc_s, 및 Flavobacteriales_uc_s의 밀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상대적으로 COD가 낮고 DO가 높은 청정지점인 St. 4에서는 호기성미생물인 Flavobacteriaceae_uc_s가 우점하였다. 이러한 미생물군은 하천의 정화과정을 추적할 수 있는 지표미생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생물증강 시행 후의 대표적 시점 퇴적토시료의 미생물군집 alpha diversity 지수(OTUs, Chao1 및 Shannon 지수)는 시행 전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또한 beta diversity 분석기법(fast unifrac 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정화 전이나 초기에 비해서 정화가 진행될수록 전반적으로 시료에 무관하게 미생물군집의 유사성을 보여 생물증강이 현장 토착 미생물의 군집구조를 변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본 복합미생물에 의한 현장 생물증강법은 brine water 및 담수로 이루어진 오염된 하천을 환경친화적, 경제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대안으로 판단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