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vo mutagenicity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구운 돼지고기 추출물의 돌연변이 유발능과 이에 미치는 마늘의 영향 (The mutagenicity of extracts from grilled pork belly and the effect of garlic on it)

  • 이철원;홍기형;김영배
    • 환경위생공학
    • /
    • 제6권1호
    • /
    • pp.63-82
    • /
    • 199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mutagenicity of extracts from grilled pork belly and the effect of garlic on it by using Arnes test. And in order to imitate the in vivo metabolic activation system of the mutagens, the enzymatic activation system was adopted. The results are summarlized as follows: 1. The degree of browning in pork belly extracts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heating intensity of the grilling. 2. When pork belly grilled at "low" heating intensity, no mutagenicity was detected. However with the samples grilled at "medium" and "high" heating intersity, mutagenicity was recognized. 3. The mutagenicity of grilled pork belly extract decreased remarkabley with the addition of S-9 mix. 4. The mutagenicity of grilled pork belly extract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garlic extract.

  • PDF

Drosophila에서 인삼 및 단삼 추출물이 MNNG의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on the Mutagenicity of MNNG in Drosophila)

  • 최영현;정해영;유미애;이원호
    • 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32-337
    • /
    • 1994
  • Using germinal and somatic cell mutation assaying systems of Drosophila melanogaster, effects of 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on the in vivo mutagenicity induced by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were investigated. For these purpose, the attached-X method and the mwh/flr spot test system which are an X-linked lethal mutation and a somatic chromosome mutation assaying system, respectively, were used. In the induction of X-linked lethal mutations during the spermatogenesis, MNNG showed more actions in the sperm and spermatid stages, in which 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had remarkable inhibitory effects than other stages. 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reduced the mutagenicity by MNNG in the mwh/flr system, which reveal that they can inhibit gene mutation, deletion and mitotic chromosomal recombination. These results seem to suggest that Ginseng and Salvia miltiorrhiza extracts may exert their inhibitory effects to in vivo mutagenic and/or carcinogenic properties of DNA-damaging agents.

  • PDF

제초제 Methiozolin의 유전독성평가 (Mutagenicity Studies of the Herbicide Methiozolin)

  • 구석진;이종윤;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382
    • /
    • 2011
  • 제초제인 methiozolin에 대한 유전독성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in vitro 시험으로 복귀돌연변이시험과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하였고, 그리고 in vivo 시험으로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균주 TA98, TA100, TA1535 및 TA1537 및 Escherichia coli WP2uvrA를 이용한 복귀 돌연변이 시험에서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S9 mixture) 모두 $5,000{\mu}g$/plate에서 돌연변이 수는 음성 대조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Chinese hamster lung(CHL) 세포를 이용한 구조적, 숫적 염색체 이상시험결과 직접법과 대사활성화법의 경우 methiozolin을 투여한 모든 군(80, 40, $20{\mu}g$/mL)의 세포에서 염색체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ICR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에서는 methiozolin의 복강투여가 골수세포에서 다염성 적혈구(polychromatic erythrocytes) 및 소핵(micronucleous)을 가진 다염성 적혈구의 출현율을 조사하였는데, 모든 농도(1,500, 1,000, 500 mg/kg)에서 음성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소핵을 유발하는 독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제초제인 methiozolin은 세균, 세포 및 동물체내에서 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는 물질로 사료된다.

A Review on Mutagenicity Testing for Hazard Classification of Chemicals at Work: Focusing on in vivo Micronucleus Test for Allyl Chloride

  • Rim, Kyung-Taek;Kim, Soo-Ji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3호
    • /
    • pp.184-191
    • /
    • 2015
  • Chemical mutagenicity is a major hazard that is important to workers' health. Despite the use of large amounts of allyl chloride, the available mutagenicity data for this chemical remains controversial. To clarify the mutagenicity of allyl chloride and because a micronucleus (MN) test had not yet been conducted, we screened for MN induction by using male ICR mice bone marrow cells. The 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is chemical is not mutagenic under the test conditions. In this paper, the regulatory test battery and several assay combinations used to determine the genotoxic potential of chemicals in the workplace have been described. Further application of these assays may prove useful in future development strategies of hazard evaluations of industrial chemicals. This study also should help to improve the testing of this chemical by commonly used mutagenicity testing methods and investigations on the underlying mechanisms and could be applicable for workers' health.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in vitro SOS Chromotest and in vivo Drosophila Mutagenic System)

  • 임선영;이숙희;박건영;윤희선;이원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2-1438
    • /
    • 2004
  •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 ${\mu}$g/assay 첨가시 9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87%의 억제효과를 가졌고, 청국장, 미소, 원재료인 콩과 콩/밀가루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즉 헥산,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100 ${\mu}$g/assay 첨가했을 때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각각 73%, 73%, 91%, 95%, 82%, 73%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높았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초파리의 wing hairs spots 시스템의 small mwh spots의 경우, $AFB_1$ 단독 처리군을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100%로 기준해서 된장 메탄올 추출물 2.5%, 5%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22%, 30%의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들 중 가장 활성이 높았던 된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10%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97%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짐으로 낮은 농도에서부터 강하게 체세포 돌연변이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large mwh spots의 경우는 된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의 낮은 농도에서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이나 mwh+ 좌위에 유전자 돌연변이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in vitro SOS chromotest에서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 작용을 나타냈고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 vitro와 in vivo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된장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는 분획물로 추정되어진다.

전갈(全蝎) 약침액(藥鍼液)의 항돌연변이(抗突然變異) 및 항암(抗癌) 효과(效果) (The antimutagenic effect and genetic safety of Buthus martensi Karsch aqua-acupuncture solution (BMKAS))

  • 김소형;김갑성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3호
    • /
    • pp.151-167
    • /
    • 2000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ntimutagenic effect and genetic safety of Buthus martensi Karsch aqua-acupuncture solution(BMKAS) against various chemical carcinogens. Method : Ames(Salmonella typhimurium) test and Rec assay(Bacillus subtilis) were used as indicators for DNA damage and antimutagenesis. Furthermore, the levels of umu operon expression by measuring the ${\beta}$-galactosidase activity wete monitored with the SOS umu test using S. typhimurium 1535 containing plasmid pSK1002. And the host-mediated assa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utagenicity and antimutagenicity of BMKAS inducing various chemical carcinogens after the activation with in vivo metabolic systems. Results : From the results, BMKAS did not atfect DNA of S. typhimurium and B. subtilis strains and showed no mutagenicity at the all concentrations of tested solution. Furthermore BMKAS dose-dependently protected the mutagenecity by AF-2, 2-AA and B[a]P. These phenomena was also similar to that after metabolic activation of BMKAS in in vivo system.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MKAS did not show the mutagenicity and protected the mutagenesis against various chemical carcinogens by four different methods used in this study.

  • PDF

조리 조건을 달리한 가열조리된 육류(돼지고기)의 변이원성 검색과 제어에 관한 연구 (The screening of the mutagenicity and desmutagenicity for cooked pork meats according to cooking conditions)

  • 정경숙;구성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716-722
    • /
    • 2002
  • 조리조건을 달리하여 가열조리된 육류에서 형성된 단백질의 열분해 산물의 발암성을 검색하고 이의 제어방법을 검토하여 보다 안전한 조리법을 확립하고자 육류 중 돼지고기를 가스그릴(GG)과 전기그릴(EG) 및 전자렌지(MW)를 이용하여 온도별로 조리 한 후 이의 80% 메탄올 추출물에 대해 변이원성을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ion assay(in vitro), micronucleus test(in vivo)를 실행하여 검색하였다. 또한 가열조리 중 생성되는 변이원성을 제어하고자 항암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채소즙과 녹차 추출물을 시료로 침지후 조리하여 이의 변이원성을 검토하였다. 가열 조리한 시료의 농도별(0.5, 2.5, 5.0, 10.0 mg/plate) 변이원성은 농도의존성을 나타내었고, 시료농도 5 mg/$m\ell$/plate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또한 시료의 조리온도가 상승할수록 변이원성이 증가하여 조리온도 의존성을 알 수 있었고 S-9 mixture 첨가시 변이원성이 2-4배 정도 증가하여 간접 돌연변이원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육류의 종류별 변이원성은 돼지고기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변이원성을 보였고 닭고기가 가장 낮은 변이원성을 나타냈다(p<0.05). 돼지고기를 채소즙 및 녹차즙에 침지후 GG, EG로 조리하였을 때 생강>양배추>무즙의 순으로 생강즙에 침지한 시료에서 변이원성이 유의성 있게 낮게 나타났다(P<0.05). 돌연변이원 생성 억제 효과가 높았던 시료를 이용하여 Micronucleus test를 한 결과 생강즙 처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소핵 형성률을 나타내어 생강이 소핵 형성 억제 효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었다(p<0.05). 실용적인 면에서는 생강즙은 물과 동량인 경우 냄새가 너무 강하여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양배추나 무즙을 이용한다면 고온 가열 조리시보다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천연감미료 스테비오사이드와 스테비올의 생체내, 시험관내 유전독성평가 (In vitro and In vivo Evaluation of Genotoxicity of Stevioside and Steviol, Natural Sweetner)

  • 오혜영;한의식;최돈웅;김종원;손수정;엄미옥;강일현;강혁준;하광원
    • 약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14-622
    • /
    • 1999
  •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 of mouse lymphoma L5178Y $tk^{+/-}-3.7.2C$ gene mutation assay (MOLY) has been regarded as a sensitive in vitro mammalian cell gene mutation assay that is capable of detecting clastogens as well as mutagens. Using MOLY, one of natural sweetner, stevioside (5mg/ml) and its aglycon, steviol ($340{\;}\mu\textrm{g}/ml$) were evaluated the mutagenicity. Stevioside and steviol did not induce mutagenicity in MOLY. On the other hand, stevioside (250mg/kg, B.W.) and steviol (200mg/kg, B.W.) were also evaluated their ability to induce micronuclei in regenerating hepatocytes and bone marrow cells of ddY mice. From these results, stevioside and steviol did not induce any mutagenic effect both MOLY and in vivo micronucleus test.

  • PDF

Host-Mediated Assay를 이용한 감궁탕의 돌연변이원성 평가 (Evaluation of Mutagenicity with Gamgung-tang Using Host-Mediated Assay)

  • 손윤희;김철호;남경수
    • 생약학회지
    • /
    • 제36권2호통권141호
    • /
    • pp.93-96
    • /
    • 2005
  • Mutagenicity of Gamgung-tang (GGT) was tested using in vitro S-9 mixture in vitro host-mediated assay with Salmonella typhimurium. In the previous reports, GGT was tested for the safety using Ames(-S-9), Bacillus subtilis Rec, and umu gene expression mutagenicity tests. Mutagenic activity in any assays we tested was not found. In this report, we further investigated safety of GGT after metabolic activation in vivo. Ames test with S-9 mixture and host-mediated assay with Salmonella typhimurium TA98 were used to identify metagenic property of GGT. GGT was administered 3 times with i.m. to Balb/c mice did not induced mutagenic effect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recovered from the liver after 3.5h with i.p. treatment. Over the entire dose range $(3{\sim}150mg/mouse)$ tested no toxicity was detected to the bacterial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was no DNA damage and mutagenicity by GGT.

Cyclohexanone의 in vivo 소핵시험을 통한 GHS 변이원성 구분 (In vivo Micronucleus Test of Cyclohexanone and Mutagenicit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 Globally Harmonized System)

  • 김수진;임경택;임철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804-811
    • /
    • 2014
  • Cyclohexanone의 GHS 분류 기준에 따른 화학물질의 변이원성 구분을 위해, 다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수행된 바 없는 ICR계 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하는 in vivo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7주령의 수컷 ICR계 마우스에 동 시험물질의 3가지 농도를 투여하였으며, 경구투여 24시간 후에 도살, 골수세포를 채취하여 슬라이드 표본을 제작하였고, 2,000개의 다염성적혈구 중 소핵을 갖는 다염성 적혈구(MNPCE)를 계수하였다. 모든 투여군에서 cyclohexanone은 골수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지 않았으며, 소핵을 유발하였다. 이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의 결과로 동 시험물질(cyclohexanone)은 GHS 분류기준에 의거, 변이원성 구분2로 분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