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 vitro detection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6초

Bioequivalence of Hana Loxoprofen Sodium Tablet to Dongwha Loxonin® Tablet (Loxoprofen Sodium 60 mg)

  • Kang, Hyun-Ah;Cho, Hea-Young;Lee, Yong-Bok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2호
    • /
    • pp.117-123
    • /
    • 2011
  • Loxoprofen sodium, a 2-phenylpropionat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NSAID), has marked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and relatively weak gastrointestinal ulcerogenic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equivalence of two loxoprofen sodium tablets, Hana loxoprofen sodium tablet (Hana Pharm. Co., Ltd.) and Dongwha Loxonin$^{(R)}$ tablet (Dongwha Pharm. Co., Lt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The in vitro release of loxoprofen from the two loxoprofen sodium formulations was tested using KP IX Apparatus II method with various dissolution media. Twenty four healthy Korean male volunteers, $22.83{\pm}1.862$ years in age and $69.92{\pm}9.14$ 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employed. After a single tablet containing 60 mg as loxoprofen sodium was orally administered,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the concentrations of loxoprofen in serum were determined using a online column-switching HPLC method with UV/Vis detection.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wo formulations were similar in all tested dissolution media. The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t$, $C_{max}$ and $T_{max}$ were calculated, and computer programs (Equiv Test and K-BE Test 2002) were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parameter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AUC_t$, $C_{max}$ and un-transformed $T_{max}$.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mulations based on the reference drug, Dongwha Loxonin$^{(R)}$ tablet, were 2.03, 2.99 and -9.49% for $AUC_t$, $C_{max}$, and $T_{max}$, respectively. There were no sequence effects between two formulations in these parameters. The 90% confidence intervals using logarithmically transformed data were within the acceptance range of log0.8 to log1.25 (e.g., log0.9831~log1.0535 and log0.9455~log1.1386 for $AUC_t$ and $C_{max}$, respectively). Thus, the criteria of the KFDA bioequivalence guideline were satisfied, indicating Hana loxoprofen sodium tablet was bioequivalent to Dongwha Loxonin$^{(R)}$ tablet.

Crocetin Induces Cytotoxicity in Colon Cancer Cells Via p53-independent Mechanisms

  • Li, Cai-Yan;Huang, Wen-Feng;Wang, Qun-Li;Wang, Fan;Cai, E.;Hu, Bing;Du, Jia-Cheng;Wang, Jing;Chen, Rong;Cai, Xiao-Jing;Feng, Jing;Li, Hui-Hu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3757-3761
    • /
    • 2012
  • Objective: Crocin has been proposed as a promising candidate for cancer chemo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investigate the chemopreventive action and the possible mechanisms of crocin against human colon cancer cells in vitro. Methods: Cell proliferation was examined using MTT assay and the cell cycle distribution fractions were analyzed using fow cytometric analysis after propidium iodide staining. Apoptosis was detected using theTUNEL Apoptosis Detection Kit with laser scanning confocal microscope. DNA damage was assessed using the alkaline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assay, while expression levels of p53, cdk2, cyclinA and P21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Treatment of SW480 cells with crocetin (0.2, 0.4, 0.8 mmol/L) for 48 h signifcantly inhibited their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Crocetin (0.8 mmol/L) signifcantly induced cell cycle arrest through p53-independent mechanisms accompanied by P21 induction. Crocetin (0.8 mmol/L) caused cytotoxicity in the SW480 cells by enhancing apoptosis and decreasing DNA repair capacity in a time-dependent manner. Conclusions: This report provides evidence that crocetin is a potential anticancer agent, which may be used as a chemotherapeutic drug.

해조공진단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및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소판 응집과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aweed Gongjindan on Estrogen like Activities, Platelet Aggregation and Serum Lipid Levels in Ovariectomized Rats)

  • 전명정;김서연;김보경;천지현;박성환;오은진;이상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9호
    • /
    • pp.1155-1162
    • /
    • 2013
  •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의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Estrogen의 감소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뛰어난 갈조류를 선정하여 해조공진단을 제조하였으며, 실험동물인 흰쥐의 난소를 절제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해조공진단이 혈소판 응집능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에스트로겐 검출시스템을 사용하여 공진단 및 갈조류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검증한 결과, 다시마 및 곰피 열수 추출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다시마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in vitro 실험 결과를 통해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해조공진단을 제조한 후, 갱년기를 유도한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능 및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해조공진단 투여로 인해 OVX-CON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해조공진단을 투여한 OVX-GJD군은 OVX-CON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OVX-CON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해조공진단을 첨가한 사료 섭취군(OVX-GJD)은 OVX-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소판 응집 저해능을 검토한 결과에서 OVX-CON군에 비해 OVX-GJD군의 혈소판 응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해조공진단이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절제로 갱년기를 유도한 실험동물에게 이를 섭취시킨 결과 혈중 지질 개선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가 나타나 갱년기 증상 완화에 활용 될 수 있는 소재로 기대된다.

Effect of PEG chain additive on 6,8-dichloro-2-phenylimidazo[1,2-a] pyridineacetamide (CB185) as a TSPO-binding ligand

  • Lee, Won Chang;Lee, Sang Hee;Denora, Nunzio;Laquintana, Valentino;Lee, Byung Chul;Kim, Sang Eun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100
    • /
    • 2019
  • In our previous studies, we developed a 18F-labeled TSPO-binding ligand, named [18F]CB251, which has been proved to be a promising TSPO-binding PET radiotracer for the detection and monitoring of TSPO expression in pathological diseases. (Ki = 0.27 nM for TSPO, 1.96% ID/g of tumor uptake at 1h post-injec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utilized 6,8-dichloro-2-phenylimidazo[1,2-a]pyridineacetamide analogs, CB185 (1) as a targeting moiety for the selective delivery of probes and anticancer molecules to TSPO-overexpressed tissues. In this study, we designed CB185 derivatives contains different PEG chains (n = 1, 3 and 5) and fluorescence dye (Cy5) to identify the necessary space between a TSPO-binding ligand and an anticancer agent. Three CB185 derivatives (11a-c) which contains Cy5 and PEG chain, were synthesized and the effect of PEG additive on their TSPO-binding affinities were evaluated using in vitro assays. The binding affinity for compounds 11a-c was lower than that of PK11195 (Ki = 3.2 nM), but still characterized by nanomolar binding affinity for TSPO (Ki = 46.5 nM for 11a, 51.0 nM for 11b, and 388.5 nM for 11c).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njugates are characterized by a moderate binding affinity toward TSPO except for compound 11c, which PEG chain consist of five PEG monomers. Our finding might add useful information to decide the appropriate PET chain length for developing new TSPO-targeting drug carriers.

치은 섬유아세포에 대한 치주포대 추출물의 세포동성에 관한 연구 (CYTOTOXIC EFFECTS OF SOLUBLE EXTRACTS FROM RERIODONTAL DRESSINGS O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양승한;이만섭;박준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4권3호
    • /
    • pp.661-670
    • /
    • 1994
  • It is well known that the application of dressings after periodontal surgery have benefits to provide the comforts to patient and to promote the healing process with action of bleeding control and temporary stabilization for the operated mobile teeth. But until recentl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ressings and cells which are composed of periodontium has not been clea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ytotoxic effect of soluble extracts from the four different kinds of periodontal dressings, two of them were eugenol type (K.H.pack, Wondrpak) and the others were non-eugenol type (Coe-pak, Periocare), on the human gingival fibroblasts in vitro. Human gingival fibroblasts were primarily cultured from gingiva around third molar during the extraction for preventive purposes. Extracts solution were prepared with culture medium by means of imersing the consistent size of periodontal dressing made from plastic mold. Cell were inoculated into the 24 well plate with $3\;{\times}\;10^4\;cells/well$ of medium at $37\;^{\circ}C$, 100% of humidity, 5% of $CO_2$, incubator for 24 hours. After discard of the supernatant of medium, those cells were cultured with original, 1/2, 1/5, 1/10 diluted soluble extract for 24, 48 and 72 hours, and counted the number of cells using the hemocytometer at each designed time and concentration. Also, the cytotoxic effect of soluble extract was measured by Wataha's MTT assay method. In briefly, cells were inoculated and cultured into 96 well culture plate with $2\;{\times}\;10^4\;cells/well$ for 24 hours. Soluble extracts were applied to cultured cells and incubated for 48 hours at same condition. $50\;{\mu}l$ of MTT solution and DMSO were added into each well for the detection of absorbance with ELISA reader. The measured data were calculated by value of colorimetric assay for survival ra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case of eugenol type of dressing, original, 1/2 and 1/5 diluted extracts of K.H.pack showed very low survival rate. And original extract of Wondrpak showed strong cytotoxic effect and 1/2 diluted extract showed moderate cytotoxic effect. In the case of Non-eugenol type of dressings, only original extract of Coe-pak revealed strong cytotoxic effect and Periocare had little cytotoxic effect. It is concluded that eugenol type of dressings showed more cytotoxic effect than non-eugenol types. This study suggest that use of non-eugenol dressings after periodontal surgery is recommended.

  • PDF

Comparison of Digital PCR and Quantitative PCR with Various SARS-CoV-2 Primer-Probe Sets

  • Park, Changwoo;Lee, Jina;Hassan, Zohaib ul;Ku, Keun Bon;Kim, Seong-Jun;Kim, Hong Gi;Park, Edmond Changkyun;Park, Gun-Soo;Park, Daeui;Baek, Seung-Hwa;Park, Dongju;Lee, Jihye;Jeon, Sangeun;Kim, Seungtaek;Lee, Chang-Seop;Yoo, Hee Min;Kim, Se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358-367
    • /
    • 2021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clare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s an international health emergency. Current diagnostic tests are based on the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method, which is the gold standard test that involves the amplification of viral RNA. However, the RT-qPCR assa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ensitivity and quantification. In this study, we tested both qPCR and droplet digital PCR (ddPCR) to detect low amounts of viral RNA. The cycle threshold (CT) of the viral RNA by RT-PCR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the sequences of the primer and probe sets with in vitro transcript (IVT) RNA or viral RNA as templates, whereas the copy number of the viral RNA by ddPCR was effectively quantified with IVT RNA, cultured viral RNA, and RNA from clinical samples. Furthermore, the clinical samples were assayed via both methods, and the sensitivity of the ddPCR wa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more than that of the RT-qPCR. However, the ddPCR assay is more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copy number of reference materi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qPCR assay with the ddPCR defined reference materials could be used as a highly sensitive and compatible diagnostic method for viral RNA detection.

식용 봄꽃(개나리꽃, 진달래꽃, 목련꽃, 벚꽃) 추출물의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 검색 (Screening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y of Extracts Derived from Five Varieties of Edible Spring Flowers)

  • 김수민;김도연;박혜리;서지혜;염보민;진유정;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18
    • /
    • 2014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용 봄꽃 중 개나리꽃, 진달래꽃, 벚꽃, 목련꽃(백목련, 자목련) 등의 80%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 활성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봄꽃 시료의 건물 중량(g of dry weight)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중 총 페놀함량은 gallic acid 등량값으로 14.1-18.9 mg이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catechin 등량값으로 0.3-4.9mg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타민 C의 함량은 0.71-1.31 mg이었으며,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베타카로틴 등량값으로 $1.9-578.1{\mu}g$으로 나타났으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함량은 카테킨의 등량값으로 2.8-23.5 mg으로 측정되었다. DPPH와 ABTS 라디컬 소거능 및 FRAP 분석의 환원력에 의한 시료의 항산화활성은 건물시료 중량 당 trolox 등량값으로 1.2-46.1 mM로 나타났다(p<0.05). 이들 항산화활성에 상관도($r^2$)가 가장 높은 생리활성 성분은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총 폴리페놀 함량의 순으로 나타나 이들 성분이 항산화활성의 주요인자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5종의 봄꽃 시료 중 항산화활성 성분이 다양하면서 동시에 항산화능이 가장 탁월한 시료는 벚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이들의 항산화활성은 시료 농도(1-1000 mg)에 비례하는 것으로(p<0.05) 나타나,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식이소재로서의 잠재적 활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꽃으로 평가되었다.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를 이용한 법랑질 탈회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RATE OF DENTAL ENAMEL DEMINERALIZATION USING A QLF)

  • 이창근;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6-515
    • /
    • 2004
  • 치아 우식증을 조기에 발견하여 기존의 외과적 와동 형성을 피하고 건전한 치질을 최대한 보존하고자하는 예방적 시술 개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치아 우식증의 임상적 조기 진단을 위해 새로운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실험실 연구를 통해 성능의 우수성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우식증의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새로 개발된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analysis (QLF)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치, 사람의 유치 및 영구치의 법랑질 탈회 속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군당 25개씩 배정된 실험 대상 치아들은 표면을 약 $50{\sim}100{\mu}m$정도 제거한 후 활택하여 탈회 용액(0.1mol/L 젖산, 0.2% 카보폴 907 그리고 50%로 농축된 수산화 인회석으로 제조)에서 1, 2, 4 그리고 8일 동안 탈회시켰다. 모든 시편들은 QLF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실험 일정에 따라 5개의 시편들을 선택하여 gold standard로 사용하기 위해 Transverse Microradiography analysis (TMR)를 시행하였다. TMR 분석을 통하여 무기질의 탈회량(IML)과 병소 깊이(LD)를 측정하였다. QLF 분석에서 측정된 정상 법랑질의 fluorescence radiance (FRs) 값에 대한 탈회 법랑질의 fluorescence radiance $(FR_D)$의 비율인 FR ratio $(FR_D/FR_s)$를 산출하였다. 우치에서는 FR Ratio와 병소 깊이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유치에서는 FR Ratio와 광물질 소실 및 병소 깊이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영구치에서는 FR Ratio와 광물질 소실 및 병소 깊이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탈회 시간에 대한 FR Ratio의 회귀 분석 결과에서 얻은 회귀 계수 값은 우치에서는 -4.643(p<0.05), 유치에서는 -5.421(p<0,05), 영구치에서 -4.435(p<0.05)로 나타났다.

  • PDF

P-Glycoprotein과 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을 발현하는 암세포와 종양에서 Tc-99m Sestamibi와 Tc-99m Tetrofosmin의 섭취율 비교 (Comparative Uptake of Tc-99m Sestamibi and Tc-99m Tetrofosmin in Cancer Cells and Tissue Expressing P-Glycoprotein or Multidrug Resistance Associated Protein)

  • 조정아;이재태;유정아;서지형;배진호;정신영;안병철;손상균;하정희;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4-43
    • /
    • 2005
  • 목적: 인체대장암 HCT15/CL02 암세포와 인체 비소세포 폐암 A549세포를 대상으로 Pgp와 MRP발현을 조사하고, 세포와 이종이식된 종양조직에서 $^{99m}Tc$-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정도를 비교하여 이들 방사성의약품의 Pgp와 MRP 추적자로서의 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다약제내성 극복제인 CsA 처리에 의한 두 방사성 의약품의 암세포 내섭취정도를 비교해 보았다. 재료 및 방법: Pgp의 발현은 RT-PCR과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MRP발현은 MRPrl항체에 대한 western blot analysis와 면역조직화학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세포 섭취는 $37^{\circ}C$에서 $1{\times}10^6$개/ml 농도에서 MIBI와 tetrofosmin을 30분과 6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상층액과 침전물로 분리하여 각각의 방사능을 감마계수기로 측정하여, 50 ${\mu}M$의 cyclosporin A (CsA)를 처리한 성적과 비교하였다. 체내실험은 HCT15/CL02세포와 A549세포를 이종이식 한 누드마우스를 4군으로 구분하여, MIBI와 tetrofosmin 만을 주사한 군과, CsA를 70 mg/kg으로 1시간전에 주사한 후 체내분포를 측정한 군으로 구분하였다. MIBI와 tetrofosmin은 각각 370 KBq을 정맥주사하고 10분, 60분, 240분 후에 동물들을 희생시켜 종양조직내의 두 방사성의약품의 장기섭취율(%ID/gm)로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HCT15/CL02세포와 A549세포에서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는 배양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그 섭취정도는 MIBI가 tetrofosmin보다 높았다. CsA 50 ${\mu}M$에 의한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정도를 각각의 60분 대조군과 비교하면 각각 763%와 629% 증가하여 MIBI의 섭취증가 정도가 tetrofosmin보다 높았다. 체내에서 두 방사성의약품의 섭취정도는 유사하였다. CsA 처리군의 섭취정도는 각각의 대조군에 비교하여 MIBI는 10분에 114%, 60분에 257%, 240분에 396%로 증가하였으며, tetrofosmin은 10분에 110%, 60분에 205%, 240분에 410%로 증가하였다. HCT15/ CL02 세포실험에서도 두 방사성약품의 섭취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CsA를 처리하였을 때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율은 기저치보다 모두 증가하였다. CsA에 의한 MIBI와 tetrofosmin의 섭취율은 기저치보다 각각 10배와 2.4배 증가하여, MIBI의 섭취율이 tetrofosmin보다 1.2배에서 4배정도 높았다. HCT15/CL02 종양조직내의 섭취는 CsA 처치시 증가하였으나 MIBI와 tetrofosmin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Pgp와 MRP를 발현하여 다약제내성을 나타내는 암세포에서 MIBI와 tetrofosmin 섭취율은 유사하였으나, Pgp와 MRP를 억제하는 CsA에 의한 섭취증가정도는 MIBI가 더 높았다. 그러나 두 약제 섭취율 증가의 차이는 동물실험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MIBI와 tetrofosmin은 Pgp와 MRP에 의한 다약제내성의 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방사성의약품으로 판단되며, 다약제내성 극복제의 시험관내 효능평가에는 MIBI가 tetrofosmin보다 더 우수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인슐린 양 성장 인자 결합 단백질-3의 발현 조절 기전 (Regulatory Mechanism of Insulin-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3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장윤수;이호영;김영삼;김형중;장준;안철민;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5호
    • /
    • pp.465-484
    • /
    • 2004
  • 배 경 : 인슐린 양 성장 인자(IGF) 결합 단백질-3(IGFBP-3)은 IGF와 결합하여 IGF의 세포 분열 촉진 및 항세포 고사 기전을 억제할 뿐 아니라 IGF와는 독립적으로 세포고사를 유도함으로써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한다. 방 법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IGFBP-3 promoter의 hyper-methylation이 IGFBP-3 단백 발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를 연구하였다. 또한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에서 methylation된 IGFBP-3 promoter에서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는 기전을 연구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 사용된 15 종의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 중 7종 (46.7%)에서 IGFBP-3 promoter의 methylation 이 관찰되었으며, 23명의 I기 환자 검체 중 16 (69.7%), 9명의 II기 환자 검체중 7 (77.8%), 5명의 IIIA 환자 검체중 4 (80%), 6명의 IIIB 환자 검체중 4 (66.7 %), 그리고 6 명의 IV기 환자검체중 6명 모두에서 (100%) promoter 의 methylation 이 관찰되었다. 이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에서 promoter methylation 상태는 IGFBP-3 단백 및 mRNA 발현양상과 잘 일치하였으며, IGFBP-3의 발현이 억제되었던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들 중 일부의 세포에서 demethylating 약제인 5'-aza-2'-deoxycytidine (5'-aza-dC) 처리 후 그 발현이 회복되었다. IGFBP-3 promoter 활성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p-1/Sp-3 결합 요소는 IGFBP-3 단백 발현이 억제된 비소세포성 폐암 세포주에서 methylation되어 있었으며, 이 요소의 methylation 은 Sp-1 전사 인자의 결합을 억제하였다. ChIP assay 결과에서 IGFBP-3 promoter의 methylation 상태는 Sp-1/Sp-3 결합 요소에 Sp-1, methyl-CpG binding protein-2 (MeCP2), 그리고 histone deacetylase (HDAC)의 결합에 영향을 주며, 이는 5'-aza-dC 처리에 의하여 역전 되었다. Sp-1/Sp-3 결합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IGFBP-3 promoter의 in vitro methylation은 promoter activity를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이는 MeCP2 단백을 동시에 발현 시켰을 때 더욱 억제되며 5'-aza-dC 처리시 회복되었다. 결 론 : 이러한 결과들은 IGFBP-3 promoter의 methylation이 IGFBP-3 발현을 억제하는 하나의 기전이며, HDAC의 모집을 유도함으로서 MeCP2가 IGFBP-3 발현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이는 것이다. 이런 현상은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진단 당시의 진행된 병기와도 관계가 있어 IGFBP-3 promoter의 methylation 상태가 비소세포성 폐암의 발암 기전 및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으며, 나아가 조기 진단 및 암 예방영역에서 하나의 생물학적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