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STUDY ON THE RATE OF DENTAL ENAMEL DEMINERALIZATION USING A QLF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를 이용한 법랑질 탈회 속도에 관한 비교 연구

  • Lee, Chang-Keu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Kim, Jong-So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이창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유승훈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종수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te of in vitro demineralization of bovine permanent (BP), human deciduous (HD) and human permanent (HP) enamel. Twenty aye flattened and polished enamel samples for each group (BP, HD, HP) were immersed in a demineralizing solution (0.1 mol/L lactic acid, 0.2% Carbopol 907, and 50% saturated hydroxyapatite) for 1, 2, 4 or 8 days. All 25 samples from each group were subjected to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analysis (QLF) and 5 samples from each group were randomly selected for Transverse Microradiography analysis (TMR). Integrated mineral loss (IML) and lesion depth (LD) were determined by TMR. The fluorescence radiance (FR) of sound enamel $(FR_S)$, demineralized enamel $(FR_D)$ were determined by QLF and FR ratio $(FR_D/FR_S)$ was calculated. Bovine enamel samp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 ratio and lesion depth(p<0.05) and deciduous enamel samples does no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 ratio and lesion depth(p>0.05). Permanent enamel sampl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R ratio and lesion depth(p<0.05) The constant of demineralization time between FR ratio from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bovine enamel was -4.643(p<0.05) deciduous enamel was -5.421(p<0.05) and permanent enamel was -4.435(p<0.05).

치아 우식증을 조기에 발견하여 기존의 외과적 와동 형성을 피하고 건전한 치질을 최대한 보존하고자하는 예방적 시술 개념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치아 우식증의 임상적 조기 진단을 위해 새로운 장비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미 실험실 연구를 통해 성능의 우수성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아 우식증의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새로 개발된 quantitative light induced fluorescence analysis (QLF)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치, 사람의 유치 및 영구치의 법랑질 탈회 속도를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각 군당 25개씩 배정된 실험 대상 치아들은 표면을 약 $50{\sim}100{\mu}m$정도 제거한 후 활택하여 탈회 용액(0.1mol/L 젖산, 0.2% 카보폴 907 그리고 50%로 농축된 수산화 인회석으로 제조)에서 1, 2, 4 그리고 8일 동안 탈회시켰다. 모든 시편들은 QLF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실험 일정에 따라 5개의 시편들을 선택하여 gold standard로 사용하기 위해 Transverse Microradiography analysis (TMR)를 시행하였다. TMR 분석을 통하여 무기질의 탈회량(IML)과 병소 깊이(LD)를 측정하였다. QLF 분석에서 측정된 정상 법랑질의 fluorescence radiance (FRs) 값에 대한 탈회 법랑질의 fluorescence radiance $(FR_D)$의 비율인 FR ratio $(FR_D/FR_s)$를 산출하였다. 우치에서는 FR Ratio와 병소 깊이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p<0.05), 유치에서는 FR Ratio와 광물질 소실 및 병소 깊이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p>0.05). 영구치에서는 FR Ratio와 광물질 소실 및 병소 깊이 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p<0.05). 탈회 시간에 대한 FR Ratio의 회귀 분석 결과에서 얻은 회귀 계수 값은 우치에서는 -4.643(p<0.05), 유치에서는 -5.421(p<0,05), 영구치에서 -4.435(p<0.05)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