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ersion liquids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s of staining liquids and finishing methods on translucency of a hybrid ceramic material having two different translucency levels

  • Buyukkaplan, Sebnem Ulviye;Ozarslan, Mehmet Mustafa;Barutcigil, Cagatay;Arslan, Merve;Barutcigil, Kubilay;Yoldan, Elif Ece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5호
    • /
    • pp.387-393
    • /
    • 2017
  • PURPOSE. Beverages may affect the translucency of esthetic dental restorative materials.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ffee and red wine on the translucency of a PICN material with two translucency levels, and finished with different methods. MATERIALS AND METHODS. 2M2 high translucent and translucent VITA Enamic hybrid ceramic blocks were investigated. Rectangular specimens with the dimensions of $12mm{\times}14mm{\times}2mm$ were prepared. The specimens were finished and polished with different methods as suggested by the manufacturer. The translucency parameters of the specimen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24 hours, 7 days, and 28 days immersion in distilled water, coffee and red wine. Translucency parameters were measured using a portable spectrophotometer. RESULTS. At the end of 28 day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f specimens kept in coffee (P>.05). In the red wine group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all other groups (P<.05) at the end of 28 days. CONCLUSION. The translucency of hybrid ceramic for a restoration may not be important regarding the effects of coffee on translucency change because the specimens with different translucencies and finishing methods that were immersed to coffee had similar translucency parameters at the end of 28 days. The translucency of hybrid ceramic may be important in the case of red wine, however, since the results showed that highly translucent specimens exposed to red wine demonstrated better translucency parameters than specimens made from translucent blocks at the end of 28 days.

액체와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을 이용한 비구면 렌즈 측정 연구 (Aspheric Lens Measurements by Digital Holographic Microscopy and Liquid)

  • 김두철;신상훈;유영훈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18-323
    • /
    • 2013
  • 디지털 홀로그래피 현미경은 기준광과 시료의 굴절률과 두께에 의한 광경로 차이를 간섭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3차원 형상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광 경로차는 시료의 두께와 시료와 시료 주변의 굴절률 차이에 의존한다. 시료 형상 기울기가 매우 큰 경우에는 광 경로차가 커져 일반적인 간섭 방법으로는 측정이 어렵다. 이런 경우 시료를 액체에 담그어 측정하면 광 경로차가 매우 작아져서 일반적인 간섭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홀로그램 현미경과 액체를 이용하여 기울기가 큰 비구면 렌즈의 형상을 측정하는 연구를 하였다. 시료의 굴절률과 비슷한 액체를 선택함으로서 비구면 렌즈의 정밀한 3차원 측정이 가능하였다.

박피 토란의 저장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침지액의 영향 (Effect of Immersion Liquid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eled Taro during Storage)

  • 박기재;이호준;김종훈;권기현;정진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42-750
    • /
    • 2006
  • 박피 토란의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보존성이 높은 침지액의 개발을 위해 전기분해수를 침지액으로 활용하여 침지액에 따른 초기품질과 저장중 품질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0.2% APS(Aluminium Potassium Sulfate)와 0.85% NACl 수용액을 대조구로 하고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분수(SAEW-CJ;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added with Citron Juice, pH 2.57, ORP 1,122mV, HClO 23.05ppm)와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카리성 전기분해수(LAEW-CJ; Lo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added with Citron Juice, pH 4.67, ORP 997mV, HClO 42.55mV)를 침지액으로 하여 $5^{\circ}C$ 저장중 박피 토란의 품질 변화를 비교${\cdot}$검토하였다.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해수 및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카리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의 저장초기 총균수는 0.2% APS와 0.85% NaCl 침지 박피 토란에 비해 수작업 박피 토란은 3 log cycle, 기계적 박피토란은 2 log cycle 정도 낮은 수준이었으며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의 균수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경향은 대장균군수 및 효모 및 곰팡이수에도 유사하였다. 총페놀성 화합물, PPO 활성, 색차 및 vitamin C 함량은 0.5% 유자과즙 첨가 강산성 전기분해수 및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칼리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이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0.2% APS 및 0.85% NaCl 침지 박피 토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함량과 활성 및 색차값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0.5% 유자과즙 첨가 약알칼리성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토란의 감소량이 가장 작았으며, 일반성분과 총당 함량은 점진적인 감소를 보였으나 박피방법이나 침지액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