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bibition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33초

큰달맞이꽃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광(光) 및 저장조건(貯藏條件)의 영향 (Effects of Light and Storage Condition on the Germination of Oenothera lamarckiana Seeds)

  • 김진석;황인택;구석진;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0-138
    • /
    • 1987
  • 광(光) 및 저장조건이 큰달맞이꽃 종자(種子)의 발아(發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발아(發芽)는 적색광(赤色光)하에서는 양호하였으나 청색광(靑色光) 녹색광(綠色光) 초적색광(超赤色光) 또는 암조건(暗條件) 등(等)에서는 억제되었다. 종자(種子)의 유근부위(幼根部位)가 광(光)에 대하여 더욱 예민(銳敏)하였으며, 10 Lux 정도의 낮은 광도에서부터 발아반응(發芽反應)을 보이기 시작하여 3,000 Lux 까지는 광도(光度)가 증가됨에 따라 발아율(發芽率)도 증가되었다. 만윤(漫潤)과 광감응(光感應)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적어도 도 6시간(時間) 이상(以上) 만윤(漫潤)되어야 반응(反應)되기 시작하였고 최대감응시기(最大感應時期)는 3,000 Lux 조사(照射)의 경우 치상후(置床後) 1~2일(日)사이였고 3일(日)이면 발아(發芽)가 거의 완료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저온습윤종자(低溫濕潤種子)를 항온(恒溫) 또는 변온조건(變溫條件)에 치상(置床)하였을 때는 공(共)히 암조건(暗條件)에서 발아(發芽)되었으나 건조저장종자를 항온(恒溫) 암조건(暗條件)에 치상(置床)하였을 때는 전혀 발아(發芽)되지 않았다. 그러나 변온조건(變溫條件)에 치상(置床)하였을 때는 발아(發芽)되었으며 그 정도는 저온(低溫)저장 종자(種子)보다 실온(室溫)저장 종자(種子)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 PDF

숙주 배축생장과정 중 스트론티움에 의한 오옥신산화 및 폴리아민 생합성 촉진 (Strontium Stimulates IAA Oxidation and Polyamine Synthesis in Germinating Mung Bean Hypocotyls (Vigna radiata L.))

  • 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13
    • /
    • 2004
  • 본 연구는 숙주의 발아 과정 중 오옥신 과련 대사작용에서의 strontium의 역할을 구명코자 실시하였다. 오옥신 첨가 용액에 strontium을 첨가하여 발아시킨 결과 침지 한 후 IAA 산화가 일어남이 밝혀졌다. 3-5배의 IAA 산화효소 활성화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trontium에 의한 생장억제의 직접적인 증거였다. 더 나아가 1-10 mM의 strontium 첨가 용액에서 생장한 배축에서의 spermine과 spermine 함량이 2-3배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증가는 생체중에 근거한 결과였다. 결론적으로 strontium에 의한 배축생장 억제는 오옥신 산화 및 polyamine 생합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담배종자의 발아조건에서 수분흡수, 호흡 및 저장물질의 변화 (Changes of Moisture Uptake. Respiration and Chemical Contents in Germinating Tobacco(Nicotiana tabacum L.) Seeds)

  • 민태기;윤경은;김웅주;강정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3-298
    • /
    • 1986
  • 담배종자의 발아생리를 깊게 이해하여 건묘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종자를 파종하여 발아될 때까지 종자체내에서 일어나는 생리적 변화를 명암조건 및 온도별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아과정중 수분흡수는 치상후 3∼6시간까지 물리적인 수분흡수단계, 다음 6시간부터 24시간까지 보합세유지 세째단계로 48시간∼168시간까지 급격한 수분흡수 증가를 보이는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암조건 및 저온에서는 세째단계의 급격할 수분흡수 양상을 볼 수 없었다. 2. 발아과정중 호흡의 변화도 수분흡수와 비슷하여 처음 48시간까지 호흡의 증가가 없었으나 48시간 이조 발아시작과 함께 급격허 상승하여 120시간을 전후하여 최고에 달하였다가 점차 떨어졌다. 반면, 암조건에서는 호흡이 매우 낮고 변화가 없었다. 3. 발아신 호흡의 증가와 더불어 지방산의 감소가 상응하게 일어났으며 당 및 지방산의 변화가 광조건에서는 많이 변화하였으나 암조건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Primer Bonding agent, 복합레진 내의 볼소의 법랑질에 대한 항우식 작용 (THE ANTICARIOGENIC EFFECT OF F IN PRIMER,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IN THE CAVOSURFACE ENAMEDL AREA)

  • 박성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635-641
    • /
    • 199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anti cariogenic effect of F in primers, bonding agents, composite resins or glass ionomer cements in enamel. Twenty-five extracted teeth were selected and a cavity was prepared on either the buccal or the lingual surface of each tooth. After pumicing and etching,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5 groups. In group A, the samples were primed, bonded and filled with ART bond and Brilliant Enamel (Coltene, Switzerland). Group B composed of Optibond and Herculited XRV (Kerr, USA), group C composed of Syntac and Tetric(Vivadent, Lichtenstein), and group D composed of Scotch-bond Multipurpose and Z 100 (3M, YSA). In group E, the samples were filled with glass ionomer cement (Fuji II LC, Japan), All surfaces except the 2mm beyond the cavosurface margin of the sample were protected, and samples were then put into an acid buffer for 3 days to develop the initial caries. The samples were then sectioned through the filling body into thin wafers and then examined with a polarizing microscope under water imbibition. The fluoride in primer, bonding agent, or composite filling material did not prevent the initial caries in the enamel area adjacent to the filling body whereas the fluoride in the glass ionomer did prevent the initial stage caries.

  • PDF

수리취의 종자저장 방법과 발아특성 (Seed Storage Method and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ynurus deltoides(Ait.) Nakai)

  • 노희선;권형근;성정원;심윤진;이경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29-35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eed storage method and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ynurus deltoides (Ait.) Nakai, a kind of wild vegetables. Several parameters affecting seed germination, such as germination temperature, chilling duration, imbibition duration, and storage method were evaluated. The seed germination of Synurus deltoides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GR), promptness index (PI), germination performance index (GPI), mean daily germination (MDG) at 25℃. This implies that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was 25℃. And also, Seeds stored at -4℃, after 150 days showed relatively high germination rate about 98%. Therefore, The optimum germination temperature of Synurus deltoides was 25℃ and to increase the germination rate over 98% of Synurus deltoides, cold-wet storage 20 days treatments at 4℃ wer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seed germination.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처리(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영향(影響) - I.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단용(單用) 및 혼용처리(混用處理)가 콩나물의 생육(生育)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and Lateral Root Formation in Soybean Sprouts - I.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the Growth in Soybean Sprouts)

  • 강충길;이정명;판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56-68
    • /
    • 1989
  • 콩나물의 생육(生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의 처리효과(處理效果)에 관(關)하여 연구(硏究)한 중요(重要)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신장(伸長)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를 보면 침종(浸種) 3일후(日後)부터 활발(活發)히 이루어져 이후(以後) 9일(日) 까지는 일평균(日平均) 3.8cm씩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부위별(部位別)로는 침종(浸種) 7일(日) 이후(以後)부터는 하배축(下胚軸)의 신장(伸長)이 둔화(鈍化)되고, 뿌리신장(伸長)은 오히려 더 촉진(促進)되었다. 세근(細根)은 침종(浸種) 5 일후(日後)부터 발생(發生)하기 시작(始作)하여 9일(日)까지 매일(每日) 4.4개(個) 정도(程度)의 증가(增加)를 보였다. 2. auxin 류(類)는 고농도(高濃度)로 처리(處理)되었올 때는 콩나물의 하배축(下胚軸) 신농(伸農)과 세근발생(細根發生)을 억제(抑制)하고 비대(肥大)를 촉진(促進)하였으나 근장(根長), hook 비대(肥大) 등(等)에는 뚜렷한 효과(效果)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엽중(子葉重)은 약간 증가(增加)시키는 경향(傾向)이었다. auxin 류(類)(IAA, IBA, NAA, 2,4-D) 중(中)에서는 2,4-D가 가장 강(强)한 하배축(下胚軸) 비대촉진(肥大促進) 및 세근발생(細根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였다. 3. cytokinin 류(類)인 kinetin, BA, 4PU-30, zeatin, zeatin riboside의 효과(效果)를 동일처리농도(同一處理濃度)에서 비교(比較)하면 4PU-30이 신장억제(伸長抑制), 비대촉진(肥大促進), 세근발생(細根發生) 억제효과(抑制效果)가 가장 현저(顯著)하였으며, 다음이 BA였고, kinetin 등(等)은 그 효과(效果)가 매우 낮았다. 4PU-30 처리(處理)는 자엽(子葉)이 틀어지는 등(等)의 약해(藥害)를 보였다. 4. auxin과 cytokinin의 처리효과(處理效果)를 비교(比較)할 때 하배축(下胚軸)의 비대(肥大)에는 auxin 류(類)인 2,4-D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인데 비(比)해 발근억제(發根抑制)에는 cytokinin의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는데 특(特)히 4PU-30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다. 5. BA의 처리농도별(處理濃度別)(5, 10, 12.5, 15, 20, 25ppm) 효과중(效果中) 세근발생(細根發生)이 효과적(效果的)으로 억제(抑制)될 수 있는 최저농도(最低濃度)는 12.5ppm 이었다. 콩나물의 생산(生産)에는 BA가 가장 효과적(效果的)이며 그 농도(濃度)는 12.5ppm 이나 15ppm이 적당(適當)할 것으로 생각되며, BA 단용처리(單用處理)로서 인돌비의 효과(效果)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6. abscisic acid는 콩나물의 비대(肥大) 및 신장(伸長)에 뚜렷한 영향(影響)을 주지는 못하였으나 고농도(高濃度) 처리(處理)에서만 세근발생(細根發生)이 약간 억제(抑制)되었다. 7. ethephon 처리(處理)는 콩나물의 전장(全長), 하배신장(下胚伸長), 근장(根長)의 신장(伸長)을 억제(抑制)하고 하배축(下胚軸)의 비대(肥大)를 촉진(促進)하였는데,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그 효과(效果)가 현저(顯著)하였다. 8. cytokinin과 ethephon의 혼용처리(混用處理)는 cytokinin의 단용처리(單用處理) 효과(效果)와 유사(類似)하였으나 ethephon의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최대직경(最大直徑)과 자엽중(子葉重)은 증가(增加)하고 근중(根重)은 오히려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Priming에 의한 당근 Pelleting 종자의 발아성 향상 (Effect of Prepriming on Improving Germinability of Pelleted Carrot Seeds)

  • 임종민;조정래;강성모;강점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11-514
    • /
    • 2001
  • 일반적으로 종자를 pelleting하면 발아율이나 발아세가 나종자보다 저하되어 실용화하는데 다소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판되는 춘파용 당근 4품종을 공시하여 pelleting 전 solid matrix priming(SMP), osmo priming, $GA_3$의 처리를 하여 4품종 모두 pelleting보다 발아율이 10-50% 향상되었으며, $T_{50}$가 1.9-4.6일 단축되었다. 포장에서의 입모율은 SMP+pelleting 종자가 pelleting 시키지 않은 종자보다 높았고, $T_{50}$이 단축되었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이런 불균일한 묘출현은 포장의 불량한 온도와 수분환경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수분과 pelleting 종자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 시험을 수행할 계획이다.

  • PDF

종피의 연화처리, 세척 및 건조가 박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Coat Softening, Washing and Drying on Seed Germination of Gourd)

  • 강진호;강신윤;전병삼;이상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94-699
    • /
    • 2002
  • 본 연구는 파종전 종자처리에 의해 박 종자의 발아율을 최대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종피연화, 세척, 저온 및 건조 중 적색광 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피연화는 염기성인 KOH 또는 NaOH로 처리하는 것보다 산성인 acetone과 acetonitrile 10% 용액에 1시간 처리하였을 때 발아율이 증가되고 발아가 촉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Acetone으로 종피연화 시킨 종자는 이후에 행하여지는 저온처리의 영향을 적게 받는 반면, KOH로 종피연화 시킨 종자는 저온처리가 행해지지 않을 경우 발아가 현저히 억제되었다. 3) 종피연화 후 흐르는 수돗물로 1시간 세척시킨 종자의 발아율은 세척하지 않은 것보다 높았다. 4) 종피연화, 세척 및 저온처리를 경과가 이루어진 종자는 건조과정에서 암처리보다는 적색광을 처리하였을 경우 발아율이 높았다.

Identification of Putative MAPK Kinases in Oryza minuta and O. sativa Responsive to Biotic Stresses

  • You, Min Kyoung;Oh, Seung-Ick;Ok, Sung Han;Cho, Sung Ki;Shin, Hyun Young;Jeung, Ji Ung;Shin, Jeong Sheop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1호
    • /
    • pp.108-114
    • /
    • 2007
  •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signaling cascade is critical for regulating plant defense systems against various kinds of pathogen and environmental stresses. One component of this cascade, the MAP kinase kinases (MAPKK), has not yet been shown to be induced in plants following biotic attacks, such as those by insects and fungi. We describe here a gene coding for a blast (Magnaporthe grisea)- and insect (Nilaparvata lugens)-responsive putative MAPK kinase, OmMKK1 (Oryza minuta MAPKK 1), which was identified in a library of O. minuta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Two copies of OmMKK1 are present in the O. minuta genome. They encode a predicted protein with molecular mass 39 kDa and pI of 6.2. Transcript patterns following imbibition of plant hormones such as methyl jasmonic acid (MeJA), ethephone, salicylic acid (SA) and abscisic acid (ABA), as well as exposure to methyl viologen (MV),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OmMKK1 is related to defense response signaling pathways. A comparative analysis of OmMKK1 and its O. sativa ortholog OsMKK1 showed that both were induced by stress-related hormones and biotic stresses, but that the kinetics of their responses differed despite their high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96%).

Proteomic Analysis and Extensive Protein Identification from Dry, Germinating Arabidopsis Seeds and Young Seedlings

  • Fu, Qiang;Wang, Bai-Chen;Jin, Xiang;Li, Hong-Bing;Han, Pei;Wei, Kai-Hua;Zhang, Xue-Min;Zhu, Yu-Xian
    • BMB Reports
    • /
    • 제38권6호
    • /
    • pp.650-660
    • /
    • 2005
  • Proteins accumulated in dry, stratified Arabidopsis seeds or young seedlings, totaled 1100 to 1300 depending on the time of sampling, were analyzed by using immobilized pH gradient 2-DE gel electrophoresis. The molecular identities of 437 polypeptides, encoded by 355 independent genes, were determined by MALDI-TOF or TOF-TOF mass spectrometry. In the sum, 293 were present at all stages and 95 were accumulated during the time of radicle protrusion while another 18 appeared in later stages.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226 of the identified polypeptides could be located in different metabolic pathways. Proteins involved in carbohydrate, energy and amino acid metabolism constituted to about 1/4, and those involved in metabolism of vitamins and cofactors constituted for about 3% of the total signal intensity in gels prepared from 72 h seedlings. Enzymes related to genetic information processing increased very quickly during early imbibition and reached highest level around 30 h of ger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