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mage analysis system

검색결과 2,968건 처리시간 0.032초

퍼지적분을 이용한 웨이블릿 기반의 3차원 얼굴 인식 (Wavelet based Fuzzy Integral System for 3D Face Recognition)

  • 이영학;심재창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10호
    • /
    • pp.616-626
    • /
    • 2008
  • 깊이 값에 따른 얼굴의 형상은 사람의 특징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각 사람마다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얼굴 영상으로부터 분리한 주파수 성분은 동일한 얼굴에 대하여 또 다른 중요한 하나의 얼굴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3차원 얼굴 영상으로부터 등고선 값에 의해 추출된 영역에 대하여 각 영역별로 주파수 분리를 하여 특징을 추출한 후 이 주파수에 대한 퍼지적분을 적용한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여 얼굴을 추출한 후 얼굴에서 가장 두드러진 형태인 코끝을 찾고, 회전에 대해 정규화를 실시한다. 얼굴의 등고선 영역은 코끝을 기준으로 깊이 값에 따라 영역이 추출되며 사람마다 서로 다른 형상 특징을 가진다. 등고선에 따라 획득된 3차원 얼굴 영상으로부터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이용하여 4가지의 주파수 성분을 추출하여 특징정보로 사용한다. 각각의 웨이블릿 주파수 성분을 추출한 등고선 영역에 대해 차원의 감소를 위하여 고유얼굴 추출과 특징 공간상에서 클래스간의 분리를 최대화시키기 위해 선형판별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클래스간의 분별 정보를 등고선 영역과 각 영역의 주파수 영역에 대해 퍼지적분 방법을 사용하여 인식률을 향상 시켰으며, 깊이 혼합 방식의 경우는 98.6%의 인식률을 나타내었다. 제안된 방법이 다른 알고리즘보다 인식률이 향상되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영상 속성에 따른 맥파 신호 평가 (Evaluation of PPG signals regarding to video attributes of smart-phone camera)

  • 이해나;김민희;황민철;김동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917-92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손가락 끝의 혈류의 흐름을 촬영하여 사용자의 맥파 (PPG : Photoplethysmography) 신호를 측정할 때, 카메라 영상 속성에 따른 신호 품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영상 속성은 비트 레이트(Bitrate), 해상도(Resolution), 플래시(Flash)의 조건을 선정하였다. 각 조건에 따라서 변화하는 영상 이미지의 적색(Red)값의 변화를 측정하고 PPG 신호의 추출을 위해 PPI (Pulse to Pulse Interval)를 계산하였다. 실험은 총 2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세 가지 영상 속성 조건을 조합하여 18가지 태스크로 분류하여 진행되었다. 오른손의 중지에는 PPG 센서를 착용하고 검지에는 스마트폰을 접촉한 상태로, 동시에 2분간 맥박을 측정하여 두 신호의 상관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영상의 해상도가 $640{\times}480$, 비트레이트 5000kbps, 플래시가 On일 때 가장 높은 상관성(83%, p=0.01)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가 앞으로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한 맥파 신호 측정 시스템에서 생체신호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유용한 가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용과수의 병해충 및 기상재해 방지를 위한 통합관리 플랫폼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ntegrated Platform for Prevention of Disease and Insect-Pest of Fruit Tree)

  • 김홍근;이명배;김유빈;조용윤;박장우;신창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0호
    • /
    • pp.347-352
    • /
    • 2016
  • 최근 IoT 기술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각종 환경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각 산업분야 중 농산업분야에서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농산업 분야에서 생장환경의 조성을 위한 모니터링 및 제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병해충 및 기상재해 정보는 우리나라 평균 기상환경에 맞추어 방제 매뉴얼을 작성하여 제공됨으로 인해 실제 지역별 환경에 매우 힘든 실정이다. 특히, 특용과수는 전남지역에 생산량이 매우 높은편으로 지역 실정에 맞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정보에 대한 수집에서 전문가 정보 제공에 이르는 다양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미세기상 기후 수집 및 영상 정보를 통한 이미지 분석, 예찰 모형 등을 통해 병해충 및 기상 재해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합지원 플랫폼을 제안한다. 특용과수의 병해충에 대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IoT 기술들을 활용하여 이를 통해 병해충에 대한 방제시기를 적절하게 알려주고, 생장환경을 적절하게 유지함으로써 특용과수 농가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신호 단일로 횡단보도에서 고령 보행자의 횡단행태조사 및 분석 (An Investigation of Road Crossing Behaviour of Older Pedestrians at Unsignalized Crosswalk)

  • 장정아;김정화;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7-221
    • /
    • 2016
  • 현재 우리나라 고령자의 보행사고건수는 전체 보행자 사고건수의 25.9%를 차지하고 있고 이중 고령자 사망사고는 57%에 달한다. 향후 다가올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이러한 고령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3차로 무신호 일반로 구간내 횡단보도지역에서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횡단단계에 대한 이동행태지표를 정의, 조사 및 분석한 연구이다. 유의성 분석 결과, 고령자와 비고령자의 이동 행태상 몇 가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접근차량의 존재유무에 따라 고령자와 비고령자 간에 횡단보도 접근시간, 횡단보도 대기시간, 횡단보도 연석에서의 시선수, 횡단하면서의 시선수애 대한 통계적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횡단 보도 횡단시간의 경우 고령자는 비고령자의 1.16배가 더 소요되고, 고령자의 보행속도는 비고령자의 84.4%의 수준이다. 셋째, 보행수는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약 1.12배가 많았고, 보폭의 크기는 고령자가 비고령자에 비하여 90%의 수준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고령자는 횡단을 위해 대기하는 동안 연속된 차량의 차두간격이 비고령자 대비 1.67배 이상 크게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주요 분석 결과는 고령자 횡단 시설 및 도로설계 등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소진동 영향성 예측을 위한 인공위성 유한요소모델 보정 (Satellite finite element model updating for the prediction of the effect of micro-vibration)

  • 임재혁;은희광;김대관;김홍배;김성훈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692-70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미소진동 영향성 예측을 위한 인공위성 유한요소모델 보정에 관해 기술한다. 최근 지구 저궤도에 발사되는 상업용 지구관측위성의 경우, 수요자의 요구로 인해 주어진 시간 안에 다양한 지역의 많은 영상을 공급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고용량휠, 다축 김발을 탑재한 안테나 등 다양한 구동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기는 작동 시 미소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소진동은 매우 작기는 하지만 지구관측 탑재체를 가진하여 영상품질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미소진동에 의한 영향성을 살펴보기 위해서 유한요소모델과 미소진동원 시험결과를 결합한 연성해석을 실시하며, 해석에 앞서 유한요소모델 보정을 실시한다. 보정 전후의 주파수 차이, 모드형상 상관관계, 주파수응답함수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개선된 유한요소모델의 품질을 평가하였다.

Comparison of Histopathological Changes on the Three Drugs of Carbon Tetrachloride, Dimethylnitrosamine, Thioacetamide, and Bile Duct Ligation used for Induction of Liver Fibrosis in Rat

  • Kim, Jung-Hun;Park, Mi-Jung;Kim, Yo-El;Kim, Jin-Yeong;Sin, Jin-Hee;Park, Su-Young;Jekal, Seung-Joo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194-20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histopathological differences of liver lesions in carbon tetrachloride ($CCI_4$), dimethylnitrosamine (DMN), thioacetamide (TAA) and bile duct ligation (BDL)-induced rats. $CCl_4$, DMN and TAA wer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and conducted bile duct ligation for 4 weeks to induce hepatic fibrosis. Indices of liver cell injury (steatosis, hydropic degeneration, bile duct hyperplasia, hemorrhage & hemosiderin deposition), the extent of liver fibrosis (fibrotic area) and the rate of regeneration (number of PCNA-positive cells) were investigated in each group. Liver tissue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eosin (HE), sirius red, prussian blue and immunostained with ${\alpha}$-smooth muscle actin (${\alpha}$-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proliferative cell nuclear antigen (PCNA), and quantified using a computerized image analysis system. Liver cell steatos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Cl_4$ and TAA groups, and hydropic degeneration and bile duct hyperplasia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AA and BDL groups when compared with that in normal control, respectively. Fibrosis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four groups, especially in $CCl_4$ group. Correlation between ${\alpha}$-SMA and TGF-${\beta}1$ expressions in four groups was good. Hemorrhage area in liver parenchy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MN group only when compared with that in normal control, while hemosiderin deposition are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AA and BDL groups as well as DMN group. The Number of PCNA-positive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four groups, especially in TAA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uration and methods of hepatotoxic drug treatment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make plans for animal experimentation on the induction of hepatic fibrogenesis in rats.

  • PDF

Resection and Observation for Brain Metastasis without Promp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 Song, Tae-Wook;Kim, In-Young;Jung, Shin;Jung, Tae-Young;Moon, Kyung-Sub;Jang, Woo-Youl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0권6호
    • /
    • pp.667-675
    • /
    • 2017
  • Objective : Total resection without consecutive postoperative whole brain radiation therapy is indicated for patients with a single or two sites of brain metastasis, with close follow-up by seri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effectiveness, usefulness, and safety of this follow-up regimen. Methods :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15, a total of 109 patients (76 males, 33 females) underwent tumor resection as the first treatment for brain metastases (97 patients with single metastases, 12 with two metastases). The mean age was 59.8 years (range 27-80). The location of the 121 tumors in the 109 patients was supratentorial (n=98) and in the cerebellum (n=23). The origin of the primary cancers was lung (n=45), breast (n=17), gastrointestinal tract (n=18), hepatobiliary system (n=8), kidney (n=7), others (n=11), and unknown origin (n=3). The 121 tumors were totally resected. Follow-up involved regular clinical and MRI assessments. Recurrence-free survival (RFS) and overall survival (OS) after tumor resection were analyzed by Kaplan-Meier methods based on clinical prognostic factors. Results : During the follow-up, MRI scans were done for 85 patients (78%) with 97 tumors. Fifty-six of the 97 tumors showed no recurrence without adjuvant local treatment, representing a numerical tumor recurrence-free rate of 57.7%. Mean and median RFS was 13.6 and 5.3 months, respectively. Kaplan-Meier analysis revealed the cerebellar location of the tumor as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related to RFS (p=0.020). Mean and median OS was 15.2 and 8.1 month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OS. The survival rate at one year was 8.2% (9 of 109). Conclusion : With close and regular clinical and image follow-up, initial postoperative observation without prompt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can be applied in patients of brain metastasi(e)s when both the tumor(s) are completely resected.

지속가능한 과학단지 환경계획의 원리와 적용 : 오송생명과학단지 개발사업을 사례로 (A Study on th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Environmental Planning Towards Sustainable Science Parks : A Case Study for Developing Osong Bio-Health Science Technopolis)

  • 김도형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82-700
    • /
    • 2006
  •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과학단지 환경계획의 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속가능한 과학단지의 녹지환경을 환경건전성, 생태안정성, 경관심미성 측면에서 분석하였고, 이러한 원리들을 본 연구의 사례지역으로 선정한 오송생명과학단지 개발사업지에 적용하였다. 먼저 Habitat Agenda(II)와 선행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모두 15개의 지속가능한 과학단지 환경계획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오송생명과학단지로 이전하게 되는 공공기관이 연구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들 요소에 대해 중요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과학단지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기존의 자연녹지를 최대한 보존하여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의식이 응답자들에게 매우 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한 과학단지의 녹지환경은 녹색의 이미지를 증진시켜 건전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생태적으로도 안정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송생명과학단지 개발사업을 평가하여 경관생태학적 환경계획에 의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녹지공간의 경관심미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건물에 의해 산림이 가려지지 않도록 고도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

산지 읍면지역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 연구 - 충남 금산군을 사례로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mall Village Wetlands in Mountainous Rural Area - Case on Geumsan-gun, Chungnam -)

  • 박미옥;서주영;양승빈;구본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37-4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산군에 위치한 마을습지 분포를 파악하고, 선행 연구된 서천군 마을습지와의 지형특성에 따른 마을습지 분포현황을 비교하는 것이었다. Arc-GIS(v10.1)를 이용하여 지형, 수문, 습지 코드를 추출하여 마을습지 가능지 607개소가 도출되었고, 위성영상, 항공사진, 지형도,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 토지이용도, 토지피복도(중분류), 토지이용현황도 등을 바탕으로 실내 판별작업 결과, 192개소가 도출되었다. 192개소를 대상으로 현지답사와 실내판별 작업을 통해 123개소의 최종 마을습지가 도출되었으며, 금산군 마을습지와 생태환경이 다른 서천군의 마을습지와 분포특성을 비교해 보았을 때 내륙산지지역인 금산군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 특성은 해안평야지역인 서천군에 비해 면적은 60%이상 넓음에도 마을습지 가능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최종 판별된 마을습지는 오히려 훨씬 적은 2/3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규모 마을습지는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리의 사각지대로서 급격히 사라지고 있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기능과 보전가치 등의 평가와 더불어 마을습지 분포, 생태적 기능, 보전가치 평가 등을 종합한 마을습지 DB구축 및 관리가 중요하다. 일상생활을 통해 지역 생태계의 생태적 질을 향상하고, 지역주민과 탐방객에게 양질의 생태계 서비스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보전과 조성으로 양적 질적 확대를 도모하여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아울러 후속연구로서 마을습지 입지별 유형별 규모별 관리전략과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성과는 지역의 생태계 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는 물론 생태자연도 및 국토환경성평가도 등 토지의 생태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악골결손부에 PRP적용후 획득된 골의 변화량 (AUGMENTED BONY CHANGE FOLLOWING PLATELET RICH PLASMA(PRP) APPLICATION ON MAXILLARY DEFECT)

  • 김욱규;김용덕;변준호;신상훈;정인교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9권4호
    • /
    • pp.219-225
    • /
    • 2003
  • Purpose: Platelet Rich Plasma(PRP) application is increasing with sinus inlay bone graft, but there is few research with radiographic ananlysis on effect of PRP in maxillary sinus. The author investigated the amount of bony changes of maxillary sinus for dental implantation among the patients with maxillary inlay graft. Materials and Methods: With 10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inus inlay autologous bone grafting combined with PRP technique, and with 5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sinus inlay grafting only without PRP, the panoramic radiographys which were taken at preoperation, immediate postoperation, 3months postoperation, and 4 months postoperation(a month after dental implantation)periods were analysed. The films had been scanned, and then proceeded throughout image analysis system. The bone density of maxillary grafted sites was compared with adjacent tooth enamel density and remeasured according to density luminosity of each film. The density changes on PRP group and bone graft only group were analysed with non-parameteric statistics method. Results: In PRP combined patients group, bone density on postoperation periods was increased totally. The remarkable enhanced change of bone density was observed on 3 months postoperation period, thereafter the increasing rate was slightly reduced. In only bone graft patients group, bone density on postoperation periods was also increased compared with preoperation period, but the bone density of 4 months postoperation period was decreased compared with 3 months postoperation period. The amount of bone density on PRP group was significantly changed according to periods in contrast to bone graft only group. Conclusion: The bone density on PRP group was remarkably increased at 3 months postoperation compared to bone graft only group and it was seemed to be associated with more new bone formation, less grafted bone resorption at bone grafted sites with P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