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ap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6초

Survivin, Possible Marker and Prognostic Factor i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 Kim, Young-Youn;Kim, Myung-Jin;Choi, Keum-Kang;Hong, Seong-Doo;Myoung, 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1호
    • /
    • pp.71-82
    • /
    • 2008
  • Survivin is a member of the inhibitors of apoptosis (IAP) family that have been known to inhibit activated caspases in apoptosis. In contrast to most IAP family members, survivin mRNA is expressed during fetal development, is not found in normal adult tissues and is overexpressed again in the cancer. Though survivin expression has been documented in most human cancers, little is known about its expression in OSCC and its potential value as a predictor of cancer surviv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urvivin expression in OSCC and to evaluate its value as a prognostic marker. We evaluated survivin expressions in cancer lines and OSCC samples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urvivin expressions and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including stage, differentiation, proliferation, lymph node metastasis, blood vessel density, and gelatinolytic activity. With immunohistochemistry, we analyzed survivin expression in 38 OSCCs. Patients' clinico-pathological parameters and their survival rate were analyzed to reveal their correlations with Survivin expressions. We cultured oral cancer cell lines and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gelatinolytic activities and survivin expressions of them. Survivin protein was observed both in nuclei and cytoplasm of tumor specimens while little or not observed in normal gingival mucosal tissues. Additionally, survivin expressions were cor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tumor proliferation and survival rate. Survivin expression was observed in 100% of 38 samples of OSCC and its expression levels a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the proliferative activity of the tumors, lymph node metastasis and the survival of the patients. Based on these results, survivin is commonly expressed in OSCC and may thus provide valuable prognostic information related with lymph node metastasis, proliferation and survival rate as well a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in OSCC.

서실 분획물의 암예방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Anticareinogenie Activity of Chondria Crassicaulis)

  • 전광혜;신미옥;배송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7호
    • /
    • pp.503-511
    • /
    • 200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Chondria Crassicaulis (CC) on the human cancer cells. CC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further fractionated into four different types: hexane (CCMH), methanol (CCMM), butanol (CCMB), and aqueous (CCMA) partition layers. We determined the cytotoxic effect of these layers on human cancer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CC, the CCMM and CCMB showed the strong cytotoxic effects at 150 ${\mu}g$/ml which resulted $98.91\%$, $92.96\%$ on HeLa cell lines and $95.47\%$, $77.05\%$ on MCF-7 cell lines. And,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CC was accompanied by a marked inhibition of cyclooxygenase (COX-2), Caspase-3 and IAP (cIAP-1, cIAP-2 and XIAP) protein and concomitant induction of p53, p21 and Survivin protein. However, CC did not affect the level of Bax, Bcl-2 and Bcl-XL- protein. Also, we observed quinone reductase (QR) induced effects in all fraction layers of CC on HepG2 cells. The QR induced effects of the CCMH and CCMM on HePG2 cells at 120 ${\mu}g$/mL concentration indicated 3.73 and 2.45 with the control value of 1.0.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e present work suggests that CC may be a chemopreventive agent for the treatment of human cancer cells.

항공기 강하 성능과 FMS 강하 정보에 기반한 표준계기도착절차와 계기접근절차의 운항 효율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Enhancing Efficiency of STAR and IAP for the Prospect of Aircraft Descent Performance and FMS Descent Guidance Information)

  • 이충섭;이현진;백호종;박장훈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9-91
    • /
    • 2023
  • In response to the recent surge in aviation demand, major airports and aviation authorities continue to make efforts to formulate arrival and approach procedures that take into account efficient aircraft separation, noise and environmental issues of carbon (CO2) emissions. In order to ensure efficient traffic control and environmental issues, as a result, a new concept Trombone, Point Merge, etc. have been introduced and widely used in the domestic airspace. However, these new concept procedures which do not properly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ircraft operation performance and the FMS vertical descent guidance hinder flight efficiency as well as bring in turn negative factors such as level-off flight and the use of drag device at the busiest phase of the flight descent operation, like the Continuous Descent Operation (CDO). Accordingly, throughout modification the current Standard Terminal Arrival Route (STAR) and Instrument Approach Procedure(IAP) that reflect the aircraft descent performance and the FMS guidance, the flight operation safety and efficiency is expected to be improved eventually. We herewith analyze and propose the way of improving flight efficiency in the arrival operation procedure by supplementary modification which consequently contribute to the aviation industry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GS 인체위암세포에서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 비교 연구 (Anti-cancer Potentials of Rhus verniciflua Stokes,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Nakai and Arsenium Sublimatum in Human Gastric Cancer AGS Cells)

  • 백일성;임령해;박철;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849-8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 널리 사용되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추출물의 항암 활성을 조사하였다. 생쥐 유래 정상세포(RAW 264.7 대식세포 및 C2C12 근아세포)에서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 단독 및 복합 처리에 의하여 유의적인 세포생존율의 억제 현상은 관찰 할 수 없었다. 그리고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AGS 위암세포의 생존력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나, 폐암(A549), 대장암(HCT116), 간암(Hep3B) 및 방광암(T24) 세포에서는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생존 억제력은 apoptosis 유도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염색질의 응축 현상, DNA 단편화 및 annexin-V 염색에 의한 flow cytometr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는 Fas 및 Fas legand의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XIAP, cIAP-1 및 survivin과 같은 IAP family 단백질과 anti-apoptotic Bcl-xL의 발현은 저하시켰다. 복합 처리는 또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손실과 caspases (-3, -8 및 -9)의 활성에 PARP 단백질의 분절화를 유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세포에서 관찰된 세포독성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pan-caspases inhibitor인 z-VAD-fmk의 선처리에 의하여 차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건칠, 유근피 및 신석의 복합 처리에 의한 AGS 위암세포 선택적 apoptosis 유도가 caspase 의존적으로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며, in vivo 모델을 이용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오미자 종자 정유에 의한 인체백혈병 U937 세포의 apoptosis 유도 (Apoptotic Cell Death of Human Leukemia U937 Cells by Essential Oil purified from Schisandrae Semen)

  • 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9-255
    • /
    • 2015
  • 오미자 종자에서 추출된 정유(Schisandrae Semen essential oil, SSeo)의 항암활성 및 작용 기전 해석을 위하여 U937 백혈병 세포를 대상으로 apoptosis 유도 여부를 조사하였다. SSeo 처리에 의한 U937 세포의 증식 억제는 apoptosis 유도와 연관성이 있음을 DAPI 염색을 통한 apoptotic body 출현의 증가, agarose gel 전기영도에 의한 DNA의 단편화 유도 및 flow cytometry 분석에 의한 Sub-G1기 세포 빈도의 증가로 확인하였다. SSeo 처리에 의한 apoptosis 유도에서 IAP family 단백질에 속하는 XIAP, cIAP-1 및 survivin의 발현 감소와 anti-apoptotic Bcl-2 단백질의 발현 저하, DR4 및 DR5의 발현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SSeo 처리는 또한 Bid truncation,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caspases (-3, -8 and -9)의 활성화와 활성형 caspase-3의 기질 단백질인 PARP의 단편화를 동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오미자 정유의 생화학적 항암기전 해석을 이해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콩다닥냉이 추출물에 의한 HCT116 대장암세포의 사멸 유도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Colon Carcinoma HCT116 Cells Using a Water Extract of Lepidium virginicum L.)

  • 채양희;신동역;박철;이용태;문성기;최영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649-659
    • /
    • 2011
  • 연구에서는 콩다닥냉이 추출물의 항암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잎 및 뿌리의 열수 추출물(WELVL 및 WELVR)이 HCT116 대장암세포의 증식 억제와 연관된 apoptosis 유도 기전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HCT116 세포에 WELVL 및 WELVR을 처리하였을 경우에 유발되는 증식 억제 및 형태 변화는 apoptosis 유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증식억제 및 apoptosis 유도 효과는 WELVL에 비하여 WELVR에서 높게 나타났다. 특히 WELVR에 의한 apoptosis 유발에는 FasL의 발현 증가를 통한 caspase-8의 활성화와 이로 인한 Bid 단백질의 단편화와 함께 Bcl-2 family의 발현 변화를 통한 mitochondria의 기능 이상과 이로 인한 caspase-9 및 -3의 활성화, 그리고 기질단백질들의 분해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AP family의 발현 감소로 인한 caspase의 활성 증가도 어느 정도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따라서 WELVR 처리에 의하여 유발되는 apoptosis는 extrinsic pathway 및 intrinsic pathway를 모두 경유하는 multiple apoptotic pathway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결과들은 인체 암세포에서 콩다닥냉이의 항암작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고 나아가 콩다닥냉이 추출물을 포함한 그와 유사한 항암제 후보물질들의 연구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업안전망 국제비교연구: 실업보험, 사회부조, 적극적노동시장정책의 제도조합과 유형화 (A Comparative Study on Unemployment Insurance, Social Assistance and ALMP in OECD Countries)

  • 이승윤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1호
    • /
    • pp.345-375
    • /
    • 2018
  • 본 연구는 OECD 12개 국가를 대상으로, 실업보험, 사회부조, 그리고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제도배열로서 '실업안전망 정책조합'을 분석하며 레짐별 유사성 및 특수성을 구체화한다. 이를 통해 해당 국가들이 실업자에 대한 사회보장정책을 어떻게 구성하여 이들의 실직과 소득보장 문제에 대응하는지 비교분석하였고, 방법론으로는 퍼지셋 이상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활용하였다. 2005년과 2010년의 정책조합을 분석한 결과, '부조형', '재진입과 소득보장 결합형', '재진입 집중형', '광범위한 실업안전망형', '부실한 실업안전망형', '소득보장 집중형'으로 대상 국가들의 실업안전망이 유형화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속적으로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 속하였고, 사회보험, 사회부조 그리고 적극적노동시장의 퍼지점수가 모두 본 연구의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최하위권이다.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서도 구체적인 정책별 소속 점수를 살펴보면 사회부조 정책의 소속점수가 그나마 다소 높고 적극적노동시장 정책의 소속점수는 매우 낮았다. 부실한 실업안전망 유형에 속한 우리나라의 경우, 자산조사 방식의 소득보장제에 의존하여 급여를 제공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부담이 가장 적은 정책으로 분석결과에서도 확대경향이 나타났으나,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사회부조 방식이 불안정노동자 및 실업자의 소득보장에 얼마나 지속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지 문제제기한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비교연구를 수행함으로써 실업안전망 비교연구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논의에 기여하고, 실업과 관련한 정책들을 조합으로 구성하여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동시장 변화와 정합한 실업안전망 설계를 위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 Combination of PG490 and Lipopolysaccharide Induce Apoptosis through Activation of Casapase-3 and Downregulation of cIAP1 and XIAP in Human Astroglioma Cell

  • Lee, Tae-Jin;Woo, Kyung-Jin;Park, Jong-Wook;Kwon, Taeg-Kyu
    • IMMUNE NETWORK
    • /
    • 제5권2호
    • /
    • pp.99-104
    • /
    • 2005
  • Background: Malignant gliomas are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ombined effect of PG490 and LPS on the induction of the apoptotic pathway in human astroglioma cells. Results: Treatment of U87 cells with combination of 50nM of PG490 and $50{\mu}g/ml$ of LPS resulted in increased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cleavage of PLC-${\gamma}1$, and downregulation of cIAP1 and XIAP. The combination of LPS and PG490 treatment-induced apoptosis is media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caspase, which is inhibited by the caspase inhibitor, z-VAD-fmk. Also, release of cytochrome c was found in PG490 and LPS-cotreated U87 cell. Conclusion: Taken together, combination of PG490 and LPS appears to be a potent inducer of apoptosis in astrogliaoma cells, and might have some benefit in the treatment of glioma patients.

모바일 컨텐츠 인앱 결제 우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대처 방안 (Management Plan for Mobile Contents Bypassing In App Billing Application)

  • 이상호;신미예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1-26
    • /
    • 2015
  • 모바일 컨텐츠가 성장함에 따라 모바일 컨텐츠가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인앱 결제가 활발하다. 하지만 이용자들 중 정당하게 돈을 지불하고 이용하지 않고 결제 모듈을 속이거나 해킹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유료 컨텐츠를 무료로 이용하고 있다. 이를 결제 우회라고 부른다. 결제 우회를 돕는 애플리케이션에는 프리덤(Freedom), 아이앱 크래커(IAP Cracker), 그리고 보로딘이라는 해커가 제시한 DNS 서버가 있다. 모바일 게임의 경우 결제 우회를 사용한 이용자들 때문에 유료 컨텐츠를 팔았음에도 매출 로그에 나온 결제 금액과 실제 수익으로 돌아오는 금액이 다르다. 결제 우회에 대응 방안으로 구매 번호 형태 확인, 공개 키 암호화, 영수증 검증 세 가지를 제안한다.

  • PDF

다채널 액상 미세 추출 시스템 설계 및 제작 (Multichannel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System)

  • 장신걸;정석;박상범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7
    • /
    • 2020
  • In this study, a multichannel gas-liquid microextraction system is designed by integrating the automatic elution of extraction line and multichannel gas-purging liquid phase microextraction. The system uses an injection pump and inert gas to push the extraction solvent to a sample bottle of a gas-phase color autosampler and then implements multichannel gas-liquid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e system also employs a three-way integrated micro-high-temperature heater, syringe pump, and microflow controller to realize the simultaneous processing of multiple groups of samples, thus improving the sample pretreatment speed and reproducibility and reducing human error. Autoinjection experiments were implemented with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standard samples.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average recovery rate of the system exceeds 70%, and the relative standard among the channels is less than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