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값

검색결과 3,371건 처리시간 0.034초

펙틴 다당류의 측쇄가 점탄성에 미치는 영향 (The Branching Effects of Pectic Polysaccharides on Viscoelastic Properties)

  • Jozef L. Kokini
    • 유변학
    • /
    • 제7권2호
    • /
    • pp.120-127
    • /
    • 1995
  • 중량비가 측쇄의 함량이 각각 4.37%(시료I)와 8.97%(시료II)인 두종류의 사과 펙틴을 이용하여 측쇄가 펙틴용액의 점탄성에 미치는 역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시료II가 시료 I보 다 동일한 농도에서 더높은 전단속도에서는 오히려 시료 I의 전단점도가 시료 II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시료I과 시료 II의 η0는 농도에 대하여 각각 η0 C4.23의 관계를보여 시료II가 더높은 농도의존성을 보였다. 한편 용액의 탄성특성을 나타내는 저장탄성계수(G')와 zero-shear recoverable compliance(Jeo)의 경우에는 시료II가 시료I보다 높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측쇄가 탄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펙틴용액의 전단점도와 복소점도 를 비교했을 때 거의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예외적으로 고측쇄의 시료 II의 경우 고농도에 서 서로 상이한 값을 보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진한 용액하에서 측쇄가 분자간의 상호엉킴 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2계 선형상미방 경계치문제의 퍼지시스템 해법 (Solution of the boundary value problem for the second order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by a fuzzy system)

  • 문병수;정종은;황인구;김정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289-292
    • /
    • 2002
  • 2계 선형 상미분방정식의 경계치 문제는 보통 해를 구하고자 하는 구간의 양 끝점에서 도함수의 값을 임의로 선정한 후 각 점에서 초기치 문제의 해를 구한 다음 적절한 1차 결합을 이용하여 구하게 된다. 이 경우 초기값과 도함수 값을 사용한 반복연산이 수반되며 따라서 오차의 누적이 불가피 하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같은 오차의 누적을 피할 뿐 아니라 3차 Spline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오차가 O( $h^2$)인 해를 구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두 개의 경계조건과 근사값을 구하고자 하는 점에서의 함수 값을 "If x is $B_{i}$, then f is $C_{i}$"와 같은 Fuzzy Rule들로 변형하고 주어진 미분방정식을 상수 $C_{i}$들의 관계식으로 변형하여 해를 구하였다. 산출된 결과로부터의 보간 연산은 Fuzzy System사용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이상의 방법으로 산출한 해의 근사오차가 O( $h^2$).임을 증명하였으며 3개의 예제에 대한 계산결과를 4계 Runge-Kutta 방법에 의한 해와 비교하여 기술하였다였다였다였다

  • PDF

HFL-I 세포의 잠재적 치사 손상 회복에 따른 세포 생존율 변화 (Change of Surviving Fractions based on the Recovery of Potentially Lethal Damage in HFL-I Cell Line)

  • 최은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47-151
    • /
    • 2017
  • HFL-I 세포를 이용하여 immediate assay를 시행하였다. 발생한 repair의 양이 없기 때문에 $LogSn=-n{\gamma}({\alpha}d+{\beta}d^2$)에서 ${\gamma}$의 값은 1이며 이는 LQ model과 같다. 그리고 세포생존율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alpha}$, ${\beta}$, ${\alpha}/{\beta}$의 값을 얻었다. 또한 12시간, 36시간, 48시간 후 delayed assay를 시행하여 marchese model 통해 ${\gamma}$값을 도출한 후 Pot entially lethal damage repair (PLDR)가 발생한 양을 확인하였다. delay time이 길어질수록 ${\gamma}$값은 감소함으로써 PLDR의 양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이에 따라 세포생존율은 상승됨을 보였다. 탄소빔의 1분할, 2분할, 3분할, 4분할 조사 시 각각의 interval 시간동안 나타나는 ${\gamma}$값 역시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여 PLDR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gamma}$값만 감안한 marchese model을 surviving fraction값에 적용 시 오류 발생함을 보였다. 이는 탄소빔 분할조사 시 다른 회복의 매커니즘이 존재함을 뜻하여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파라미터가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자동안굴절계와 iTrace로 측정한 굴절검사 값의 비교 (Comparison of Autorefraction and Refraction with iTrac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김효진;이군자;김샘이;김세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9-104
    • /
    • 2010
  • 목적: 아산지역에서 일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동안굴절계를 이용한 굴절검사 값과 조절마비제를 사용하지 않고 iTrace로 조절력을 배제하여 굴절력을 측정한 값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9월부터 12월까지 12~13세 42안을 대상으로 현성굴절상태에서 자동 안굴절계를 이용한 자동굴절검사와 iTrace를 이용한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iTrace를 이용한 굴절검사는 원거리(5 m 이상)와 근거리(눈 앞 30cm)를 주시하도록 한 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등가구면 굴절력으로 나타냈고, 굴절이상의 정도에 따라 그룹 1(-0.50D < ~ < +1.00D)과 2(-0.50D 이하)로 분류하였다. 결과: 자동굴절검사, iTrace를 이용해서 측정한 원거리 및 근거리 주시시의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각 1.08${\pm}$0.77D, -0.29${\pm}$0.95D와 2.34${\pm}$0.67D였다(p<0.001). 대상자의 52.4%에서 원거리 주시시 보다 자동굴절검사의 결과는 근시인 0.50D~-1.00D로 측정되었다. 그룹 l과 2에도 검사방법 간의 평균 등가구면 굴절력은 자동굴정검사로 측정한 값이 원거리 주시시의 측정치에 비해 두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근시방향으로 측정되었다. 결론: 자동굴절검사와 5m 이상의 원거리용 응시한 후 iTrace로 측정한 굴절검사의 굴절력은 0.79${\pm}$0.34D의 차이를 보여 자동굴절검사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굴절력을 나타냈다.

iRTK시스템 정밀도 개선에 대한 연구

  • 손동효;조정호;박필호;최규홍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3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2권2호
    • /
    • pp.29-29
    • /
    • 2003
  • GPS의 민간수요에 따른 응용분야가 날로 증가함에 따라 중저가 GPS 수신기를 이용한 실시간 정밀측위 기술의 필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이에 한국천문연구원은 iRTK 기법을 이용한 준 실시간 정밀측위 시스템을 개발한 바 있다. 반송파 위상데이터를 이용한 정밀측위는 모호수를 결정해야하는 어려움이 있고 특히 짧은 시간 내에 정확한 모호수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는 한국천문연구원이 개발한 iRTK시스템의 자료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모호수 결정 알고리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3년 7월부터 9월 사이에 실험이 이루어졌고 중저가 GPS 수신기를 이용해 측정한 데이터를 모호수 결정 알고리즘으로 구한 값과 이미 알고 있는 정밀좌표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새로운 모호수 결정 알고리즘을 이용해 구한 결과 값이 기존의 iRTK시스템 결과보다 정밀하고 안정적으로 산출됨을 알 수 있었다. 개선된 모호수 결정 알고리즘은 iRTK시스템의 준 실시간 자료처리부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보완할 것이다.

  • PDF

$Bi_2$$O_3$첨가량이 Pb($Zr_{0.54}$, $Ti_{0.46}$)$O_3$의 유전, 압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_2$$O_3$ additions on the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in Pb($Zr_{0.54}$, $Ti_{0.46}$)$O_3$)

  • 배이열;서동수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6권3호
    • /
    • pp.207-213
    • /
    • 1993
  • Pb(Z $r_{0.54}$, $Ti_{0.46}$) $O_{3}$에 B $i_{2}$ $O_{3}$를 0.0wt%까지 첨가하여 미세구조, 유전, 압전,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B $i_{2}$ $O_{3}$의 고용범위는 약 0.5~0.7wt%정도 이었고 B $i_{2}$ $O_{3}$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결정립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B $i_{2}$ $O_{3}$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고용한계까지는 $d_{33}$ , tan .delta., .xi.$_{r}$(분극후)값이 증가하였으며 Qm값과 밀도는 감소하였다. $K_{p}$ 값은 B $i^{3+}$ 가 P $b^{2+}$를 치환하므로 형성되는 Pb공공의 형성에 의해 자발분극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다.

  • PDF

한반도 남동부지역의 해석적방법에 의한 다중산란모델 연구 (A Study of Multiple Scattering Model by Analytic Method for Southeastern Korea)

  • 정태웅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4권3호
    • /
    • pp.242-248
    • /
    • 2011
  • 균일한 모델에 대하여 해석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한반도 남동부의 감쇠상수 고유치를 분리하였다. 해석적인 방법에 의한 이론치와 759 지진자료에 의한 관측치를 다중지연시간창법으로 비교하여 분리를 행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한반도의 전체 $Q_i^{-1}$$Q_s^{-1}$ 값은 매우 낮은 값이 도출되어 지진 안정지대의 값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 반면, 한반도 남동부는 비교적 높은$Q^{-1}$값이어서 이는 한반도 타지역에 비해 높은 지진활동도와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불포화 및 포화 투수층에서의 침투를 고려하여 강우 유출 해석 (Prediction of rainfall-induced runoff considering infiltration of water in both unsaturated and saturated porous media)

  • 이창훈;트란 민 탕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62-62
    • /
    • 2023
  • 강우가 지표면 아래로 침투할 때 초기에는 투수층이 불포화 상태이어서 부압이 작용하면서 침투할 것이다. Richards 식(Richards, 1931)을 써서 불포화 투수층의 침투를 모의할 수 있다. 강우가 지속되는 동안 하상 아래 어느 구간은 포화 상태가 되어 Richards 식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연구는 Richards 식을 사용하여 침투를 모의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강우에 의한 침투를 예측할 때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가 필요한 데 현존하는 연구에서는 Horton 식(Horton, 1941)을 사용하여 초기 침투율 fo 와 장시간 후 침투율 fc 와 시간에 따라 지수함수로 감소하는 계수 k 의 3가지 계수값을 실험이나 현장 관측값에서 찾아서 쓰고 있다. 그런데, 이 계수값은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침투율 q 가 커지는 물리 현상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 먼저 포화 투수층에서의 침투를 모의하는 식을 개발하였다. 지표면 아래에서 불포화 투수층에는 Richards식을 사용하고 포화 투수층에는 개발한 식을 사용하여 침투를 모의하였다. 또한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를 구하는 공식을 개발하였다. 하상에서의 침투율의 최대값은 $q_{bmax}=-{\lambda}{\sqrt{2g(s-b)}}$ 일 것이다. 여기서 λ 는 투수층의 공극율, s 는 유출수면의 위치, b 는 지표면의 위치이다. 지표면에서의 침투율의 최소값 qbmin 은 지표면 바로 아래 지점에서의 침투율일 것이다.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로 qbmax 와 qbmin 사이의 적절한 값을 선택한다. 강우강도를 ri 라고 하면 지표면 위 유출수의 연속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b={\int}(r_i-{\mid}q_b{\mid})dt$. 즉, 유출수면의 위치 s 는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또는 지표면에서의 유출율의 크기 |qb| 가 작을수록 크다. 또한 지표면에서의 침투율 qb 와 지표면 아래에서의 침투율 q 는 s - b 가 클수록 크다. 따라서, 강우강도 ri 가 클수록 침투율 qb, q 가 큰 현상이 잘 반영되었다. 강우-침투-유출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강우강도에 따라 침투율과 유출량이 다른 현상을 관측하여 수치실험 결과와 비교·검증하였다.

  • PDF

동영상데이터의 프레임간 색상차의 자승합을 이용한 컷 검출시스템 (The Cut Detection System using Sum of Square Difference of Color between frames of Video Image Data)

  • 김병철;정창렬;고진광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5호
    • /
    • pp.51-62
    • /
    • 2002
  • 컴퓨터의 발전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멀티미디어 기술 확산과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동영상데이터 사용을 증가시켰다. 동영상데이터는 전체적인 데이터를 파악하고, 원하는 동영상을 바로 재생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 데이터의 정보가 요약된 리스트제공이 필요하다. 그리고 효과적인 동영상 검색을 위해서는 동영상 데이터의 색인과정이 필수적이며 꼭 필요한 기술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영상 데이터 내용기반 색인에 기초가 된 프레임의 짓 검출의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프레임의 대각선 방향으로 나누어 일정한 픽셀 색상 정보 값을 추출하였다 동영상 데이터의 각각 프레임에서 추출된 칼라색상의 픽셀값은 A(j, i)행렬로 i는 프레임 수. j는 프레임의 영상 높이로 저장한다. 저장되어진 픽셀값은 프레임간의 색상차의 자승합을 이용하여 프레임간의 특정 값의 차이를 임계 값보다 클 경우 빠르고 정화하게 컷을 검출하였다. 프레임 컷 검출에 대한 실험을 포괄적으로 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동영상 데이터를 실험 대상으로 하여 컷 검출 시스템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다중지연시간창법(MLTW)의 한반도 지진자료 적용성 분석 (Seismic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Using Multiple Lapse Time Window Method)

  • 정태웅;윤숙영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2권2호
    • /
    • pp.199-207
    • /
    • 2009
  • 한반도의 329개 지진자료에 대하여 S파 감쇠상수의 고유치 분리를 Multiple Lapse Time Window Method(MLTW)법으로 수행하였다. 균일한 속도구조에서 고유감쇠 $Q_i^{-1}$ 값은 S파 직접파와 코다파의 진폭을 감쇠시키고, 산란감 쇠 $Q_s^{-1}$ 값은 S파 직접파는 감쇠시키는 반면 코다파는 증폭시킨다. MLTW법은 해석적인 방법으로 이론곡선을 구하여 관 측값과 최소제곱오차를 이루는 고유 및 산란감쇠를 구하는 방법이다. 지금까지 한반도와 같은 지진 안정지대에서의 MLTW 법 적용연구는 행하여진 바 없는데, MLTW법에 의한 한반도의 $Q_i^{-1}$$Q_s^{-1}$ 값은 5 Hz 이하에서 매우 낮은 값이 도출되어 이는 한반도와 같은 지진 안정지대의 값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