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triglyceridemic effec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감귤류 플라보노이드의 생리기능 활성 (Biofunctional Activities of Citrus Flavonoids)

  • 차재영;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2호
    • /
    • pp.122-128
    • /
    • 2001
  • 감귤류 유래 플라보노이드인 hesperidin 및 naringin과 이들의 agIycone 형태인 hesperetin 및 naringenin의 생리기능 활성에 대하여 동물(흰쥐 및 햄스터)실험을 통한 지질대사,인체 간종양 세포주 HepG2 세포를 이용한 암세포 생육 및 지질대사, 노화와 질병의 원인이 되는 불포화 지방산의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감귤류 플라보노이드는 흰쥐에서의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작용 및 햄스터에서의 중성지질 농도 저하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대사 기작으로서 콜레스테를 및 중성지질 합성의 중요 조절효소로 알려진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ACAT) 및 phosphatidate phosphohydrolase(PAP) 활성이 in vivo 및 in vitro 실험계에서 현저히 저해되었으며, 특히 aglycone 형태의 플라보노이드에서 그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이들 플라보노이드는 인체 간종양 세포주 HepG2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암세포 생육 억제 및 세포내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농도를 저하시키는 효과도 인정되었다. Hesperetin은 실험적으로 유도한 간질환을 개선시켰다. 노화 및 질병의 발생과 깊이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불포화지방산 과산화 반응을 억제시키는 항산화 효과도 확인되었는데, hesperetin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감귤류 유래 플라보노이드는 동물의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억제작용에 의한 혈관계 질환 개선효과, 지방간을 비롯한 간질환 개선효과, 암세포 증식억제 작용, 노화 및 질병의 원인이 되는 지질 과산화 억제 작용 등 건강에 관련된 다양한 생리기능 활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여 기능성 성분의 연구로 일정의 효과를 얻었다. 따라서 이러한 감귤류 유래의 생리활성 성분의 연구목적은 건강증진 효과를 높이는 식품의 개발과 식품 첨가물의 신규 수요를 증대시켜 국민의 건강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 PDF

Angelica keiskei가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 keiskei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박정로;박석규;조영숙;전순실;최성희;박종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8-313
    • /
    • 1997
  • 흰쥐에 cholesterol(0.5%) 및 A. keiskei(5%)를 급여 한 후 혈장 및 간장 지질대사 및 분변 중의 neutral steroids 및 담즙산 배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혈장 cholesterol 농도는 식이중 cholesterol 첨가에 의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A. keiskei 급여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중 cholesterol 첨가는 혈장 HDL-cholesterol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반면 LDL-cholesterol을 크게 증가시켜 동맥경화지수를 높였다. A. keiskei 급여는 혈장 LDL-cholesterol의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동맥경화지수도 cholesterol을 급여하지 않은 군에서 0.21, cholesterol 급여 군에서 0.52를 보여 A. keiskei를 급여하지 않은 각각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 감소를 보여 A. keiskei가 혈장지질 개선효과를 보였다. A. keiskei 급여는 또한 cholesterol 급여와 관계없이 혈장 triglyceride 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으나, 혈장 인지질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 keiskei 급여는 간조직의 total cholesterol, free cholesterol, cholesteryl ester 및 phospholipid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triglyceride 함량은 식이중 cholesterol 첨가와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A. keiskei는 cholestanol, 총 neutral steroid 및 담즙산의 배설을 증가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A. keiskei에 의한 혈장 cholesterol의 감소는 cholesterol 흡수의 감소 및 cholesterol을 cholestanol으로의 전환과 담즙산으로의 배설이 증가됨에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Gluconoacetobacter hansenii에 의해 생산된 섬유소 섭취가 흰쥐의 소화기관과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Dietary Effects of Fiber Produced from G\ulcorneruconocacetobacter hansenii on Digestive Tract and Lipid Metabolism in Rats)

  • 조성희;이지연;최경호;최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02-807
    • /
    • 2002
  • 본 실험은 초산균인 Glwonncetobacter hansenii에 의해 코코넛 배지에서 생성된 막인 bacterial fiber가 흰쥐의 장 전반과 소장의 이당류 효소활성 및 체내 지질상태에 미치는 영 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흰쥐를 0.5% 콜레스테롤 식이로 사육하였으며 섬유소원으로 bacterial fiber를 식이의 2%로 첨가 하였으며, 효과를 비교할 실험군들에게는 섬유소원으로 식물성 cellulose와 pectin을 같은 수준으로 식이에 첨가하여 사육 하였다. 실험 4주간 동안 식이섭취량 및 체중 증가량은 세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소장의 길이, 무게 등은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소장점 막 sucrase활성이 bacterial fiber군에서 감소하였고, maltase 활성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맹장의 무게가 bacterial fiber군에서 증가하였으나, 결장의 무게에는 영향이 없었고, 결장 내용물 및 건조분변량이 감소하였다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세군중에서 pectin군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반대로 pectin군에서 높았다. 혈장과 간조직의 중성지방 함량은 모두 bacterial fiber군에서 다른 군들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조직 콜레스테롤 함량은 pectin군에서 낮았다. 간조직의 상대적 무게는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혈장 GOT 및 GPT 활성도 bacterial fiber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하여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실험에서 사용한 bacterial fiber는 체내의 중성지방 수준을 낮추어 지질 상태를 개선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어 이에 대한 기전과 이 작용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본 실험에서는 콜레스테롤 및 소장의 구조와 소화효소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사용하는 섬유소의 수준을 보다 높이거나 다른 섬유소와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또 동물의 나이에 따라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도 있으리라고 사료되어 앞으로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경도비만 여성에서 생커피두 엑기스의 섭취에 의한 체지방 감소 효과 (Effect of Green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on Body Fat Reduction in Mildly Obese Women)

  • 김태수;양웅석;박소이;이성표;강명화;이재환;박일범;박현준;무라이 히로미치;오카다 타다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7-413
    • /
    • 2012
  • In previous studies, we performed joint animal studies and clinical trials between Yonsei University and Oryza Oil & Fat Chemical Co. Ltd. We have shown that coffee bean extract has potent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activities as well as beneficial effects on body fat reduction.In this study, the effects of coffee bean extract (100 mg/capsule) on body fat reduction were evaluated in overweight/obese women (body mass index of 25~30 $kg/m^2$ or body fat > 30%) not diagnosed with any type of diseas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coffee bean extract group (n=10) or placebo group (n=10). We measured anthropometric parameters, abdominal fat distribution by computed tomography and blood components before and after the 8week intervention period. After supplementatio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body weight (p=0.08), body mass index (p=0.06), hip circumference (p<0.05), and upper waist circumference (p< 0.01). In addition, after 8 weeks,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bdominal internal fat area compared to 0 weeks (0 weeks : $155.8cm^2$; 8 weeks : $145.9cm^2$, ${\Delta}$ change : $-9.9cm^2$,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pid profiles or serological measurements between the coffee bean extract group and placebo group. The results of our human study demonstrated that coffee bean extract supplementation for 8 weeks has beneficial effects on reducing abdominal internal fat area as well as hip and waist circumferences.

Heme 산화효소 발현 유도체로서 Isoflavone-Free 검은콩 펩타이드의 항고혈압 활성 (Antihypertensive Effects of Novel Isoflavone-Free Black Soy Peptide Mixture as HO-1 Inducer)

  • 신미경;권용현;안창원;신동석;박수현;최보화;홍순선;강주희;박창신
    • 약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91-197
    • /
    • 2012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the novel isoflavone-free peptide mixture (black soybean peptide, BSP) had several beneficial effects like antiobesity and hypotriglyceridemic effect. However, there are no reports for BSP on anti-hypertensive activity. BSP induced heme oxygenase-1 (HO-1) in HUVECs, thus investigated the HO-1-induced activity in HUVECs and the anti-hypertensive effects in SHR animal model. BSP significantly induced HO-1 expression both at transcriptional and protein levels in a time- and dose-dependent manner as measur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These inductions were abolished by pretreatment of N-acetyl-cystein (NAC, 1~10 mM), but not by employing Tempol, a superoxide dismutase (SOD) mimetic (1~5 mM). As expected, enzymatic activity (~2 fold) determined by bilirubin formation assay and cGMP concentration (~6 fol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SP-treated cells. Based on the numerous evidences on the beneficial effects of HO-1 and our results, we investigated in vivo effects of BSP on the antihypertensive activity. The administration of BSP (1% in drinking water) significantly decreased mean blood pressure (BP) (from $218.6{\pm}6.99$ to $190.0{\pm}3.42$ mm Hg, p<0.01). This result indicates that BSP is strong inducer of HO-1 expression, which may be triggered by oxidative stress, and has anti-hypertensive activity.

인스탄트 메밀국소가 백서의 소화흡수율, 간장 및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stant Buckwheat Noodle on Digestibility and Lipids Profiles of Liver and Serum in Rats)

  • 최용순;안철;심호흠;최면;오상룡;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8-483
    • /
    • 1992
  • 인스탄트 메밀국수가 백서의 소화율, 성장율 및 조직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정제사료에 탄수화물원으로서 설탕, 인스탄트 소맥면 및 메밀면 (소맥분중 10 및 30% 함유) 섭취군으로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설탕섭취군보다 다른 3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험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의 식이 탄수화물원의 차이는 조소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혈청 및 간장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군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및 간장의 중성지질의 농도는 메밀면 섭취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스탄트(알파화) 메밀면(30% 함유)은 다른 주요 영양성분의 소화율에 장애를 주지 않으며, 완만하게 중성지질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택사 $H_2O$ 분획물과 Chromium의 투여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 및 혈중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_2O$ Fraction of Alisma canaliculatum with Chromium on Blood Glucose Levels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임숙자;박지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25-731
    • /
    • 2002
  • 본 연구는 정상군과 streptozotocin으로 당뇨병을 유발시킨 $230{\sim}250\;g$의 흰쥐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당뇨실험군은 당뇨대조군과 택사투여군(Ac), 택사와 Cr병용투여군(Ac-Cr), Cr투여군(Cr)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14일간 택사의 $H_2O$분획물(1000 mg/kg b.w.)과 Cr(100 mg/kg b.w.)을 경구투여한 후 혈당과 혈중 지질함량을 분석하였다. 정상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서 체중이 감소하였으며,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실험군의 체중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r투여군의 체중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택사와 Cr의 투여시 실험 14일째에 당뇨대조군에 비해 당뇨 실험군에서 혈당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도 실험 14일째에 다른 실험군과 대조군에 비해 Cr과 택사병용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혈장 중성지방의 함량도 당뇨대조군에 비해 모든 실험군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특히 택사-Cr병용투여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을 보였다(p<0.05). Cr과 택사의 병용 투여의 경우 혈당과 혈장 지질함량의 감소효과가 나타났으나, 두 물질의 병용 투여에 따른 상승효과는 뚜렷하지 않았다. HDL-cholesterol함량은 Cr 투여시 당뇨대조군에 비해 낮은 수준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는 택사와 Cr의 투여가 실험 당뇨쥐의 혈당과 혈중 지질 함량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흰쥐에서 혈액지질 대사 및 항혈전작용에 관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의 생물학적 효과 (The Biological Effects of β-Cyclodextrin on Antithrombotic Activity and Plasma Lipid Metabolism in Rats)

  • 박병성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2호
    • /
    • pp.199-210
    • /
    • 2003
  •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사료 또는 포화지방함량이 높은 사료를 섭취한 흰쥐에서 항혈전작용과 혈액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 수준에 관한 $\beta$-cyclodextrin($\beta$CD)의 급여효과를 조사하였다. 출혈시간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 섭취군 모두에서 $\beta$CD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293%, 157% 및 218% 까지 유의적으로 연장되었다(p<0.05). 전혈응고시간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섭취군에서 $\beta$CD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할때 각각 202%, 168% 및 211%까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beta$CD 첨가사료는 흰쥐 혈액내 총지질,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 함량을 현저하게 낮추는 원인이 되었다. 혈액내 총지질 함량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 섭취군에서 $\beta$CD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70%, 82% 및 87%까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혈액내 중성지방함량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 섭취군에서 $\beta$CD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할 때 각각 89%, 43% 및 59%까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p<0.05). 혈액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 섭취군에서 $\beta$CD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28%, 62% 및 36%까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p<0.05). 혈액내 저밀도 지질단백질 콜레스테롤 함량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섭취군에서 $\beta$CD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39%, 54% 및 25%까지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다(p<0.05). 혈액내 총담즙산 함량은 일반사료, 고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사료섭취군에서 $\beta$CD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각각 66%, 95% 및 97% 까지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p<0.05). 일반사료 섭취군에서 $\beta$CD 첨가구의 HMG-CoA reductase 활성도는 대조구와 비교할 때 41%까지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며 분을 통한 스테로이드의 배설량은 167%까지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p< 0.05). 이 결과는 $\beta$CD가 사람의 심장혈관계질환과 비만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혈액내 지질, 중성지방 및 콜레스테롤의 감소효과 그리고 항혈전작용에 관한 생리활성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