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pothesis-generating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2초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요구 (An Intensive Interview Study on the Process of Scientists' Science Knowledge Generation)

  • 양일호;정진수;권용주;정진우;허명;오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8-98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들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을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저명한 과학학술지에 세계적 수준의 논문을 3회 이상 발표한 과학자 중 연구에 적합한 과학자 4명을 선정했다. 그리고 이 과학자들이 발표한 최근의 논문들을 분석하여 과학지식 생성 과정을 전체적으로 기술했고, 심층 면담을 통해 지식 생성 과정의 세부 과정을 추가하여 프로토콜을 완성했다. 이렇게 완성된 프로토콜을 인지 과정 모형화 절차에 따라 분석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과학자들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은 크게 귀납적 과정, 귀추적 과정, 연역적 과정으로 구분된다. 먼저 귀납적 과정은 단순 관찰과 조작 관찰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조작 관찰은 '의문 생성 $\rightarrow$ 추측/예측 $\rightarrow$ 조작방법 설계 $\rightarrow$ 조작 $\rightarrow$ 단순 관찰' 등의 하위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귀추적 과정은 의문 생성 과정과 가설 생성 과정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가설 생성 과정은 '사실 인식 $\rightarrow$ 경험상황표상 $\rightarrow$ 원인적설명자 동정 $\rightarrow$ 원인적설명자 차용 $\rightarrow$ 가설적설명자 조합 $\rightarrow$ 가설 확인' 등의 하위 과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연역적 과정은 방법 및 기준 고안 과정과 가설 평가 과정으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방법 및 기준 고안 과정은 '경험검증상황 표상 $\rightarrow$ 경험 검증방법 표상 $\rightarrow$ 경험검증방법 차용' 등의 하위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가설 평가는 결과 수집 과정과 가설 평가 및 결론 진술 과정을 포함한다.

과학자와 초등과학영재의 탐구에서 나타난 귀추적 추론 분석 (An Analysis of Abductive Reasoning on the Inquiry of Scientists and Elementary School Gifted Children in Science)

  • 정선희;최현동;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901-919
    • /
    • 2011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와 초등과학영재의 탐구 수행 과정에서 나타난 귀추적 추론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를 위한 피험자는 과학자 8명과 서울교대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과학영재 8명이었다. 연구 결과, 과학자와 과학영재의 탐구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은 가설생성, 실험설계, 결과해석 3단계에서 나타났다. 각 단계의 귀추적 추론은 복합적 귀추, 유추적 귀추, 관찰-기반 귀추, 논리-기반 귀추, 선택적 귀추 5가지 유형을 나타냈다. 그리고 과학영재의 귀추적 추론의 하위 추론 과정은 과학자와 몇 가지 다른 특징을 보였다. 첫째, 과학자가 변인속성탐색 이후에 방법표상이나 설명자표상이 나타난데 비해, 과학영재는 방법표상 후에 변인속성탐색이 나타났다. 둘째, 과학자는 논리-기반 귀추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고, 과학영재는 관찰-기반 귀추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셋째, 과학자는 가설생성, 실험설계, 결과 해석 단계에서 거의 비슷한 비율로 귀추적 추론이 나타난 반면, 과학영재는 실험설계 위주로 추론했다.

환자군 연구(Case series) 및 점검(Audit) 연구의 수행과 보고;저자를 위한 지침서 (Conducting and reporting case series and audits;author guidelines)

  • 김송이;김상우;이향숙;박히준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4호
    • /
    • pp.13-24
    • /
    • 2007
  • Objectives : This article aims to give guidance on the conduct and reporting of case series and audits of acupuncture, based on common problems that have arisen in the past. This type of project, and particularly the prospective case series or pre- post-intervention study, may give valuable evidence of the overall effectiveness of acupuncture-for example in different situations and in different conditions- and provides one step in the research pathway before generating an hypothesis. Results & Discussion : The project should be designed with the aim of reducing bias as much as possible. Careful and detailed planning is essential for the project to produce worthwhile results that readers can evaluate and replicate. Ethical issues should be considered and formal approval may be necessary. The patient group should be recruited systematically and baseline data obtained. The treatment given should be systematic and decisions to change or end treatment made explicit. The outcome should be measured in ways that are known to be reliable and valid. Musculoskeletal problems can be evaluated with scales for pain and confirmed by measuring one other symptom such as stiffness or one other aspect such as bothersomeness. Global change scores also provide supporting information, and the MYMOP (Measure Yourself Medical Outcome Profile) measure is popular when patients with different conditions are included. The design of questionnaires for beliefs and attitudes is a specialised area that should not be attempted without expert help. Adverse events should also be recorded. Analysis of the data and the best way of summarising and presenting the results are also discussed.

  • PDF

크기가 1인 표본들로 구성된 집단에 기반한 모평균의 차이를 검정하기 위한 최소 조합 t-검정 방법 (A minimum combination t-test method for testing differences in population means based on a group of samples of size one)

  • 허미영;임창원
    • 응용통계연구
    • /
    • 제30권2호
    • /
    • pp.301-309
    • /
    • 2017
  • 일반적으로 각 N개의 모집단에서 2개 이상의 표본이 추출되었을 때, $H_0:{\mu}_1={\cdots}={\mu}_N$의 가설에 대하여 검정할 수 있지만 각 모집단으로부터 표본이 한 개씩 추출된다면 ${\bar{X}}$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모평균의 차이 검정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하나씩 추출된 표본으로 구성된 집단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임의의 평균을 생성함으로써 평균의 차이를 비교한다면 표본들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이질성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두 집단으로 나눌 수 있는 조합의 수만큼 평균 차이를 검정할 수 있는 최소 조합 t-검정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한 개씩 추출된 표본들 사이의 이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평균 차이를 검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모의실험 연구를 통해 성능을 확인하였고 실제 자료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시간선도로망(都市幹線道路網)의 적정간격(適正間隔) (Optimal Spacings for Urban Arterial Network)

  • 박창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33-41
    • /
    • 1982
  • 본(本) 논문(論文)에서는 도로교통망(道路交通網)의 기하구조(幾何構造)를 정의(定義)하는 파라메타를 측정(測定)할 수 있도록 해석적(解析的) 접근방법(接近方法)을 개발(開發)하였다. 이를 위하여 시설수준상(施設水準上)의 계급(階級)을 갖는 격자형(格子形)의 도로망(道路網)을 선택(選擇)하였으며 통행(通行)의 기종점(起終點)이 균등(均等)히 배치(配置)된 동시에 통행거리(通行距離)의 분포(分布)가 기점(起點)의 위치(位置)에 독립(獨立)인 균질(均質)의 도시평면(都市平面)을 가상(假想)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의 목적(目的)은 통행(通行)과 건설(建設)에 따른 도로(道路)의 총비용(總費用)을 최소화(最少化)할 수 있는 도시간선도로(都市幹線道路)의 최적간격(最適間隔)을 구(求)하는 데 있으며 여기에서 통행배분(通行配分)은 Wardrop의 제(第) 1 원칙(原則)에 입각(立脚)하였다. 본(本) 논문(論文)에서 제시(提示)된 방법(方法)은 효율적(効率的) 교통망(交通網)을 위한 일반화(一般化)된 접근(接近)의 틀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대안(代案)의 설정(設定)과 평가(評價)에서는 기본도구(基本道具)로 사용(使用)될 수 있으며 통행(通行)의 O-D 패턴과 비용(費用)의 크기가 주어지는 경우 적어도 질적(質的)인 측면(側面)에서 도시간선도로(都市幹線道路)의 최적간격(最適間隔)에 대한 개요(槪要)를 밝힐 수 있다.

  • PDF

신제품 개발과정의 디지털화와 현실반영 정확도 관리에 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the Fidelity Management and the Digitalization of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 임채성;김우봉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65-94
    • /
    • 2008
  • There has been rapid diffusion of digital innovation technology(DIT) such as 3 D CAD, CAE, simulation software which enable firms to see the future results of intended product designs through 3 D diagram and simulated results. This technology helps firms to reduce trial and error process by solving later stage problems in earlier stages. The DIT being the technology reflecting the real world, as a tool representing the simplified form of the real world, the degree of reflecting the real world(fidelity) is important in utilizing the DIT.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research examining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fidelity of the DITs and developing the complementary process necessary for utilizing the DIT with 'not good enough' fidelity. This study could draw out, from its case study, an exploratory hypothesis about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complementary process. In the process, there is an analysi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data and the output data of the DIT, e.g. simulated result. Then the input data or output data are adjuste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corresponding relationship so that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data and the expected interpretation of the output data,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DIT, can be reduced. This process is sometimes accompanied by the process of generating experimental data, which reflect the unique situation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of a company, to be put to the data base of DIT. The complementary process is the process requiring knowledge sharing and adjustment activities across different divisions. This study draw ou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the fidelity of DIT tools.

  • PDF

Geometric Regualrization of Irregular Building Polygons: A Comparative Study

  • Sohn, Gun-Ho;Jwa, Yoon-Seok;Tao, Vincent;Cho, Woo-Su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5권6_1호
    • /
    • pp.545-555
    • /
    • 2007
  • 3D buildings are the most prominent feature comprising urban scene. A few of mega-cities in the globe are virtually reconstructed in photo-realistic 3D models, which becomes accessible by the public through the state-of-the-art online mapping services. A lot of research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utomatic reconstruction technique of large-scale 3D building models from remotely sensed data. However, existing methods still produce irregular building polygons due to errors induced partly by uncalibrated sensor system, scene complexity and partly inappropriate sensor resolution to observed object scales. Thus, a geometric regularization technique is urgently required to rectify such irregular building polygons that are quickly captured from low sensory data. This paper aims to develop a new method for regularizing noise building outlines extracted from airborne LiDAR data, and to evaluate its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existing methods. These include Douglas-Peucker's polyline simplication, total least-squared adjustment, model hypothesis-verification, and rule-based rectification. Based on Minimum Description Length (MDL) principal, a new objective function, Geometric Minimum Description Length (GMDL), to regularize geometric noises is introduced to enhance the repetition of identical line directionality, regular angle transition and to minimize the number of vertices used. After generating hypothetical regularized models, a global optimum of the geometric regularity is achieved by verifying the entire solution space.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proposed geometric regulator is conducted using both simulated and real building vectors with various levels of noise. The results show that the GMDL outperforms the selected existing algorithms at the most of noise levels.

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과 비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에 기초한 정규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 (Goodness-of-fit test for normal distribution based on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entropy estimators)

  • 최병진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4호
    • /
    • pp.847-85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모수적과 비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들에 기초한 정규분포에 대한 적합도 검정을 다룬다. 정규분포의 엔트로피에 대한 모수적 추정량으로 사용할 최소분산비편향추정량을 유도한다. 이 추정량과 대립가설 하에서의 자료생성분포에 대한 비모수적 엔트로피 추정량으로 표본엔트로피와 이것의 변형된 추정량들을 이용하여 검정통계량들을 구축했고 이 검정통계량들을 사용하는 새로운 엔트로피 기반 적합도 검정들을 제시한다. 제안한 검정들의 기각값들을 모의실험을 통해 추정해서 표의 형태로 제시한다. 성능의 조사를 위해 수행한 모의실험에서 제안한 검정들이 기존의 Vasicek (1976) 검정보다는 더 좋은 검정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응용에서 새로운 검정들이 정규성 검정을 위한 경쟁적인 도구로 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자의 과학적 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 분석틀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Analytic Coding Frames on the Abductive Reasoning in Scientific Inquiry)

  • 조현준;정선희;양일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586-601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자의 가설-연역적 탐구과정에서 가설설정단계, 실험설계단계, 결과해석단계에서 귀추적 추론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고, 각각의 단계에서의 귀추적 추론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틀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8명의 과학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프로토콜을, 기존 문헌에서 추출한 귀추적 추론과정의 하위요소로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과학자의 귀추적 추론이 세 단계 모두에서 나타나고 있어 기존요소에 의한 분석틀을 벗어난 새로운 분석틀이 요구되었다. 그 결과 과학자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탐구의 각 단계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 분석틀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이 틀을 과학교육전문가로부터 타당성 확인 결과, 내용타당도 지수 0.90을 얻어 타당한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실제로 과학자의 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귀추적 추론과정을 분석한 결과 매우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Resistance to local anesthesia in people with the Ehlers-Danlos Syndromes presenting for dental surgery

  • Schubart, Jane R.;Schaefer, Eric;Janicki, Piotr;Adhikary, Sanjib D.;Schilling, Amber;Hakim, Alan J.;Bascom, Rebecca;Francomano, Clair A.;Raj, Satish R.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5호
    • /
    • pp.261-270
    • /
    • 2019
  • Background: People with the Ehlers-Danlos Syndromes (EDS), a group of heritable disorders of connective tissue, often report experiencing dental procedure pain despite local anesthetic (LA) use. Clinicians have been uncertain how to interpret this apparent LA resistance, as comparison of EDS and non-EDS patient experience is limited to anecdotal evidence and small case series. The primary goal of this hypothesis-generating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called adequacy of pain prevention with LA administered during dental procedures in a large cohort of people with and without EDS. A secondary exploratory aim asked people with EDS to recall comparative LA experiences. Methods: We administered an online survey through various social media platforms to people with EDS and their friends without EDS, asking about past dental procedures, LA exposures, and the adequacy of procedure pain prevention. Among EDS respondents who both received LA and recalled the specific LA used, we compared agent-specific pain prevention for lidocaine, procaine, bupivacaine, mepivacaine, and articaine. Results: Among the 980 EDS respondents who had undergone a dental procedure LA, 88% (n = 860) recalled inadequate pain prevention. Among 249 non EDS respondents only 33% (n = 83) recalled inadequate pain prevention (P < 0.001 compared to EDS respondents). The agent with the highest EDS-respondent reported success rate was articaine (30%), followed by bupivacaine (25%), and mepivacaine (22%). Conclusions: EDS survey respondents reported nearly three times the rate of LA non-response compared to non-EDS respondents, suggesting that LAs were less effective in preventing their pain associated with routine office dental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