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phal growth

Search Result 18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Lyophyllum decastes의 원형질체 분리와 재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Lyophyllum decastes)

  • 복진우;김종필;진미림;최응칠;김병각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0-137
    • /
    • 1994
  • 담자균류인 잿빛 만가닥버섯 Lyophyllum decastes은 이미 항암작용이 있다고 보고된 바, 이 버섯의 유전연구와 균주개발을 위해 기초적 연구인 원형질체 분리와 재생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원형질체 분리의 최적 조건으로는 여러 효소의 혼용보다 Novozym 234(10 mg/ml)를 단용하였을 때 더 우수하였고, 삼투압 안정제로 0.6 M $MgSO_4$에서 효과적이었으며, $24^{\circ}C$ 에서 5일 배양한 균사와 효소액을 4시간 반응 시켰을 때 수득율이 높았다. 완충용액과 pH는 Na-phosphate buffer(pH 4)에서 원형질체 분리가 양호 하였으며, 고체배지보다 액체배지에서 자란 균사를 완충용액과 pH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에서 효소와 반응시켰을 때 $12.5{\times}10^6\;cell/ml$로 높았다. 원형질체 재생시 균사가 배지 전면에 확산되어 성장하여 성장억제제로 Triton X-100(0.0025%)을 사용하였다. 원형질체 분리시와는 대조적으로 0.6M sucrose와 mannitol에서 재생이 효율적이었고, 각각 8.32%와 5.94%의 재생 빈도를 나타내었다.

  • PDF

피부사상균 Microsporum canis 및 Trichophyton mentagrophytes에 대한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물질 탐색 (Investigation of Active Antifungal Compound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Against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and Trichophyton Mentagrophytes)

  • 박미진;이수민;곽기섭;정의배;장제원;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3호통권131호
    • /
    • pp.72-78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산 편백의 활용도를 높이고 편백정유의 식물성 의약품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피부사상균인 Microsporum canis (KCTC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6077)에 대한 국내산 편백정유의 항진균활성을 평가하고, 활성분획의 주성분을 GC/MS로 확인하였다. 편백정유는 M. canis보다 T. mentagrophytes에 대한 항진균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한천 희석법에서 5,000 ppm 이상의 농도로 처리시 M. canis와 T. mentagrophytes 모두 균사 생장을 못하였다. TLC를 이용한 편백정유 분획에서는 B와 C부분에서 활성이 나타났으며 B와 C의 하부분획에서는 C-2가 강한 항진균 활성을 보였다. 항진균활성을 보이는 C-1의 주성분은 ${\alpha}$-terpineol이고, C-2의 주성분은 elemol, cedrol, eudesmol임을 GC/MS 분석에 의해 확인하였다.

수목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VII) - 산벚나무 심재 추출성분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 -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Wood Extractives(VII) -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on Activities of Extractives from the Heartwood of Prunus sargentii -)

  • 이성숙;이학주;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9권2호
    • /
    • pp.140-145
    • /
    • 2001
  • 천연물 유래의 보다 안전하고 활성이 우수한 항균 및 항산화물질을 탐색할 목적으로 산벚나무 심재로부터 분리한 pinostrobin, eriodictyol, naringenin. pinocembrin, taxifolin, verecundin의 항균 및 항산화활성을 검정 하였다. 배지점적법을 이용하여 항진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pinocembrin(5,7-dihydroxyflavanone)이 공시균주 모두에 대해 80% 이상의 균사생장억제율을 나타내어 가장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naringenin(4',5,7-trihydroxyflavanone), 그리고 verecundin(7-hydroxyflavanone 5-O-${\beta}$-D-glucopyranoside)은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inocembrin의 경우 현재 천연물로부터 분리되어 실용화되고 있는 항균물질인 히노키치올에 비견될 수 있는 항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한천배지확산법을 이용한 항세균활성 조사에서는 단리물질 모두 생육저지환을 형성하지 않아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활성 검정을 위해 프리라디칼소거능 및 과산화물가를 조사한 결과, taxifolin(3,3',4',5,7-pentahydroxyflavanone)과 eriodictyol(3',4',5,7-tetrahydroxyflavanone)이 천연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의 2배의 프리라디칼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항산화지수도 천연항산화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항산화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 산벚나무 심재 에탄올 추출물의 높은 항균활성은 pinocembrin에, 항산화활성은 taxifolin과 eriodictyol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은 나노 용액을 활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연구 (Control Efficacy of Nano-silver Liquid on Oak Wilt Caused by Raffaelea sp. in the Field)

  • 김상우;정진희;거비르 람살;김윤석;심상준;김하선;장석준;김종국;김경수;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6-141
    • /
    • 2011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참나무류 집단고사를 일으켜 문제가 되고 있는 R. quercivorus 균의 방제를 위한 연구로 최근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참나무시들음병(Oak wilt)의 원인균인 R. quercivorus를 방제하고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의 생태 및 형태연구에 관한 것이다. Nano-silver 용액 WA-AT-WB13R을 이용하여 R. quercivorus 균에 대한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WAAT-WB13R 용액이 100 ppm에서 균사 및 포자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각 10, 30, 50, 100 ppm 처리하여 SEM 관찰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균사의 형태가 정상적임을 확인하였고 30 ppm에서부터 균사의 형태가 조금씩 변형이 일어나다가 100 ppm에서는 균사 및 포자가 비정상적으로 일그러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충인 P. koryoensis의 충체에 붙어있는 균사와 포자를 SEM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 관찰 결과, 표면과 균낭의 균사 및 포자의 형태가 100 ppm에 가까울수록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기내에서의 R. quercivorus의 균사 생장억제효과를 바탕으로 수간주사(Trunk injection)를 실시한 결과, 철원과 홍천에서는 시들음 및 약해 증상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춘천은 7월 시들음 증상을 보였으나 그 후 시들음 증상 및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nano-silver 용액을 이용한 참나무시들음병의 원인균인 R. quercivorus의 생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nano-silver를 이용한 R. quercivorus 방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눈꽃동충하초(Paecilomyces japonica Yasuda)의 형태 및 배양조건 (Cultural Condition and Morphological Charateristics of Paecilomyces Japonica for the Artificial Cultivation)

  • 남성희;정이연;지상덕;조세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6-40
    • /
    • 1999
  • 눈꽃 동총하초의 인공재배를 위한 최적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colony는 직경 32 mm/14 days로 생장하였으며 분생포자는 불규칙한 장타원형으로 평균 4.07${\times}$1.56 ${\mu}$m 크기이며 분생자병은 투명다발의 분자형으로 발생하였다. 자실체는 지상부에서 30~50 mm로 다발형태로 발생하며 평균 55개의 분지를 형성한다. 종균배양 액체배지 선발결과 PD배지가 건중량 3.15${\pm}$0.16 mg/50 m/로 균사생장에 가장 효과가 우수하였다. 분생포자 생산 최적 환경조건은 산도 pH 5.0 온도는 24$^{\circ}C$에서 20$^{\circ}C$로 변온을 가한 경우 4.30${\pm}$0.35${\times}$10$^8$ conidia/m/로 기타 처리구에 비해 포자형성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이 식품유해 미생물에 미치는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Kimchi ingredients of methanol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s)

  • 신선미;박주연;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3-63
    • /
    • 2005
  • 4종류의 식품 위해 세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herichia coli과 김치 부패에 관여하는 곰팡이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에 대하여 김치 재료에 의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Paper disc method로 측정한 생육저해환 결과 4 종류의 세균에 대하여 각 재료의 methanol 추출물들은 E. coli에 대해서 재료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약 20.00 mm에 가까운 항균성을 보이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생강과 양파는 다른 재료와 비교해볼 때 형성된 clear zone의 크기가 작은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곰팡이에 대한 결과 Aspergillus sp.과 Penicillium sp.에 대하여 마늘 추출물이 가장 우수하였고, 생강 추출물과 무 추출물도 우수한 항균 작용을 나타내었다. S. typhimurium에 대하여 농도별 생육저해는 무, 양파 추출물이 균의 중식이 활발히 일어나는 대수중식기인 4$\~$12시간 사이에 생육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춧가루 추출물도 1,000 ppm의 농도에서 S. typhimurium의 생육을 크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S. typhimurium에 대한 결과 유사하였으며 paper disc로 조사한 생육 저해환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전체적으로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은 S. aureus 생육 저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특별히 1,000 ppm 농도의 마늘 추출물이 S. aureus 생육에 있어서 유도기를 8시간까지 상당히 연장시켰다. Esherichia coli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paper disc method로 측정한 생육저해환의 결과에서 대부분의 김치 재료 methanol 추출물이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낸 것과 같이 농도별 생육 곡선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미약하지만 모든 추출물에서 생육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최소저해농도(MIC)는 고춧가루 추출물이 L. monocytogenes에 대하여 500 $\mu$g/mL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오이 흰비단병 발생 (Occurrence of Sclerotium Rot of Cucumber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이상대;최옥연;신순선;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229-232
    • /
    • 2013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서 S. rolfsii에 의한 오이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전형적인 병징으로 시들음, 썩음, 줄기와 과실 수침상을 보였고 감염된 식물체는 결국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고 둥근 균핵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8 ${\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주사전자현미경 검경결과 균사 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코흐의 가설을 만족하기 위해, 50일간 키운 오이 유묘를 이용하여 병원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흰비단병 특유의 병징을 유도하였다. 오이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그리고 ITS rDNA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오이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표고 균사 배양체내 에르고스테롤 함량의 변이 (Variation of Ergosterol Content in Lentinula edodes Culture)

  • 구창덕;조남석;김재수;박재인;최태호;민두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65-70
    • /
    • 2000
  • 에르고스테롤(ergosterol)은 고등균류 균사세포막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 이들의 특징 물질이고, 균의 생장에 중요한 기능을 한다. 그러므로 균사 배양체에서 이 물질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고체상 배지 속에 있는 곰팡이의 생채량을 추정할 수 있다. 표고균사의 액체 배양체와 톱밥 배양체를 가지고 에르고스테롤을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의 함량은 균사체의 중량과 직선적 상관관계가 있으면서(r=0.98), 배양기간, 균주, 배지내 수분함량에 따라 달라졌다. 액체배양체에서 에르고스테롤 농도는 10주간 배양된 것이 0.13%로 20주간 배양된 것의 0.1% 보다 높았다. 톱밥배양체에서 이 물질의 농도는 균주와 수분 함량에 따라 0.015~0.042% 범위였다. 표고균주 산림 4호 배양체에서 에르고스테롤 함량은 균주 목-H나 산림 6호의 것보다 건조배지 g당 $20{\sim}140{\mu}g$ 정도 높았다. 이 화확물질의 함량은 표고균사를 수분율이 125%나 175%인 배지에서 배양하였을때 건조배지 g당 $297{\sim}425{\mu}g$/g 였다. 이 양은 수분율이 125%나 225%인 배지에서의 함량, $148{\sim}286{\mu}g$/g 건조배지, 보다 높은 것이다. 에르고스테롤을 분석함으로써 톱밥이나 원목과 같은 고체배지내에 있는 표고 균사량의 추정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 PDF

멜론 분홍빛썩음병과 포도 흰얼룩병의 원인균인 Trichothecium Roseum에 대한 Bacillus Subtilis HK2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HK2 against Trichothecium Roseum Causing Pink Rot of Melon and White Stain Symptom on Grape)

  • 오소영;이은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5
    • /
    • 2016
  • 2012년부터 2013년에 걸쳐 식물체 근권과 비근권 토양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토양을 희석평판법을 이용하여 총 782개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세균을 실험실내에서 Trichothecium roseum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생장억제율이 80% 내외로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I-plate에서 HK2균주와 T. roseum두 균을 격리하여 밀폐배양 시 모두 균사생장억제 효과는 없기 때문에 휘발 물질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NB배지에 길항균주와 T. roseum을 액체배양 한 결과 88% 이상 균사생장억제 효과를 보였다. HK2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DNA 염기서열분석과 API 50 CHB Kit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HK2 균주가 생산한 항진균물질을 butanol로 추출한 후 flash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항진균물질을 정제한 결과 methanol 80%의 조건에서 잘 분리되었으며 향후 분리 순화를 통한 화학구조분석이 필요하다.

Antifungal Activities of the Essential Oils in Syzygium aromaticum (L.) Merr. Et Perry and Leptospermum petersonii Bailey and their Constituents against Various Dermatophytes

  • Park, Mi-Jin;Gwak, Ki-Seob;Yang, In;Choi, Won-Sil;Jo, Hyun-Jin;Chang, Je-Won;Jeung, Eui-Bae;Choi, I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5호
    • /
    • pp.460-465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using plant oils derived from Leptospermum petersonii Bailey and Syzygium aromaticum L. Merr. Et Perry as natural antifungal agents. The antifungal effects of essential oils at concentrations of 0.05, 0.1, 0.15, and 0.2 mg/ml on the dermatophytes Microsporum canis (KCTC 6591), Trichophyton mentagrophytes (KCTC 6077), Trichophyton rubrum (KCCM 60443), Epidermophyton floccosum (KCCM 11667), and Microsporum gypseum were evaluated using the agar diffusion method.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active fraction against the dermatophytes were ide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The antifungal activities of S. aromaticum oil (clove oil) against the dermatophytes tested were highest at a concentration of 0.2mg/ml, with an effectiveness of more than 60%. Hyphal growth was completely inhibited in T. mentagrophytes, T. rubrum, and M. gypseum by treatment with clove oil at a concentration of 0.2 mg/ml. Eugenol was the most effective antifungal constituent of clove oil against the dermatophytes T. mentagrophytes and M. canis.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hyphae of T. mentagrophytes, such as damage to the cell wall and cell membrane and the expansion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after treatment with 0.11 mg/ml eugenol were observ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At a concentration of 0.2 mg/ml, L. petersonii oil (LPO) was more than 90% effective against all of the dermatophytes tested, with the exception of T. rubrum. Geranial was determined to be the most active antifungal constituent of L. petersonii oil.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clove and tea tree oils exhibi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the dermatophytes test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