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hygienic safety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농촌개량주택의 물리적 환경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n Physical Environment Level in Renovated Rural Houses.)

  • 윤정숙;전영미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9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velop a tool for enviromental evaluation which measures a level of physical quality in renovated rural houses and to find out the physical environment conditions of the renovated houses in rural area. To achieve these purposes,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were built up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which have been found in books and through the fold survey. Elements of evaluation tool consists of Safety, Health, Efficiency that are basic elements in the Hygienic Quality of Housing in WHO. As a results of this study, a three-level of physical environments suggested that a basic level, a inductive level and a proper measure level in renovated rural houses.

  • PDF

Taste Compounds of Alaska Pollack Sikhae during Fermentation at Low Temperature Conditions

  • Jeong, Eun-Jeong;Cho, Hyun-Ju;Cho, Min-Sook;Jeon, Hye-Jin;Cha, Yong-Jun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3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89-90
    • /
    • 2003
  • Fermented fish (jeotkal) has been used as a method of preserving perishable fish and marine products. Recently, however, high salted jeotkal (20% and more) has avoided from consumer by reasons of organoleptic quality (high salinity), health value (degenerative chronic disease), and hygienic safety. Among these jeotkals, meanwhile, sikhae (lactic acid fermented fishes) has been traditionally favored in the 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which contain below 10% of salt content with acidic range (pH4∼5). (omitted)

  • PDF

가정간편식 식품 제조업체의 식품안전문화 평가 (Food Safety Culture Assessment of Home Meal Replacement Manufacturer)

  • 조승용;석다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80-387
    • /
    • 2019
  • 여러 규모의 가정간편식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업체의 식품안전문화를 수행 정도와 각 업체들이 식품안전문화 요소들에 대해 인식하는 중요도를 조사하고, 식품안전문화 측정요소들이 HACCP 선행요건프로그램을 수행하는데 미치는 영향 수준을 분석하였다. 식품안전문화의 측정은 기업문화, 경영진의 의지, 교육 훈련 및 종업원의 참여 등 식품안전문화의 5개 요소를 지표로 평가하였다. 식품안전문화 요소가 HACCP 선행요건프로그램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은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식품안전문화 요소의 수행도는 기업문화, 종업원의 참여 부분에서는 업체 규모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p>0.05) 경영진의 의지, 자원의 투입, 교육 훈련의 경우 대규모업체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한편 기업의 문화는 대규모업체에서는 중요도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소규모업체에서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매우 낮아 업체 규모에 따른 인식도의 불균형을 보여주었다. 식품안전문화 요소들이 기업의 HACCP 선행요건프로그램의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종업원의 교육 훈련'이 HACCP 수행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p=0.043) 영향을 미치는 식품안전문화 요소로 나타나 HACCP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종업원들에 대한 교육 훈련이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생식용 굴(Crassostrea gigas) 작업장의 위생안전성에 대한 모니터링 (Safety Monitoring of a Processing Plant for Preparing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for Consumption)

  • 강경태;박선영;최종덕;김민주;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20-129
    • /
    • 2017
  • This study assessed the safety of raw oysters Crassostrea gigas for consumption during processing in a processing plant. Bacterial contamination (e.g., viable cell counts, coliform groups, Escherichia. coli and pathogenic bacteria) and chemical contamination (e.g., heavy metals and shellfish toxins) were measured on raw oysters, a processing equipment, employees and work areas. No total mercury, lead, paralytic shellfish poison, diarrheic shellfish poison or norovirus was detected in any post-harvested oyster samples. However, the cadmium level ranged from 0.1-0.2 mg/kg. The viable cell count, E. coli and coliform group levels in post-harvested oysters ranged from 4.00-4.54 log CFU/g, ND-210 MPN/100 g and 110-410 MPN/100 g, respectively. The viable contaminating cell counts on employees, equipment and work areas were in the range of $0.90-3.46log\;CFU/100cm^2$. Airborne bacteria in the work areas ranged from 0.60 to 1.81 log CFU/plate/15 min. Thus, no significant health risks were detected in the processing plant.

감마선 조사 계란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Establishing the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Egg White and Yolk)

  • 송현파;신은혜;윤혜정;조철훈;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82-788
    • /
    • 2009
  • 감마선 조사 계란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Escherchia coli PQ37 균주를 이용한 SOS chromotest, Chinese hamster lung cell을 이용한 염색체 이상 시험의 in vivo 시험과in vivo 시험으로 마우스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사활성계 적용 및 미적용의 in vitro의 모든 시험에서 음성대조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in vivo 시험에서도 시험물질을 투여한 모든 투여군에서 음성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된 난백 및 난황은 본 시험조건하에서 직접변이원이나 간접변이원으로 작용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외식업소 음용수의 위생실태와 침출재료에 따른 기호성과 저장성 (Hygienic Quality of Drinking Water Served in Restaura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nking Water Boiled with Various Plant Materials)

  • 안유복;정은주;이신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59-164
    • /
    • 2007
  • 대구근교 외식업체 25곳의 고객에게 제공되고 있는 음용수의 위생실태를 조사한 결과 약 60%가 총균수의 허용한도는 100 CFU/mL를 초과하였으며, 외식업체를 경영하는 CEO 50명을 대상으로 음용수에 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음용수에 대한 위생의식은 매우 부족하였다.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 메밀, 둥굴레, 캐모마일, 현미녹차, 페파민트를 사용하여 제조한 음용수의 색, 맛, 향, 종합적기호도는 생수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호성이 증가하였으며, 종합적 기호도는 둥굴레차가 가장 좋았으며, 옥수수차, 결명자 차, 보리차 순으로 양호하였다. 시판 현미녹차, 둥굴레차, 보리차, 결명차, 옥수수차를 이용하여 음용수를 제조하여 플라스틱 물병에 분주하여 $10^{\circ}C$$25^{\circ}C$에 저장하면서 총균수의 변화를 검토한 결과 $10^{\circ}C$에서 대조구는 저장 4일 이후 $10^2 CFU/mL$이상을 나타내어 음용수로서 부적절하였으며, 현미녹차, 둥굴레차, 결명차, 옥수수차는 저장기간 동안 미생물의 증가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25^{\circ}C$에 저장한 경우 대조구는 저장 2일 이후 $10^2 CFU/mL$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옥수수차, 둥굴레차, 보리차, 결명차에서 오히려 미생물의 성장이 촉진되는 현상을 나타내었으나, 현미녹차의 경우 전 저장기간 동안 생균수의 증가현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식중독 발생의 사례 통해 본 집단급식의 문제접 분석 (Analysis of Problems of Food Service Establishments Contributing to Food Poisoning Outbreaks Discovered through the Epidemiological Studies of Some Outbreaks)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40-253
    • /
    • 1997
  • The main problems contributing to food poisoning outbreaks in institutional settings and a home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rough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s of food poisoning. The major documented factors included improper holding temperatures, inadequate cooking, poor personal hygiene, cross-contamination and contaminated equipment, food from unsafe sources, failure to follow food hygiene policies, and lack of education, training, monitoring and superivision. Usually more than one facto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n outbreak. (1) Use of improper holding temperatures was the single most important factor contributing to food poisoning. They included improper cooling, allowing a laps of time (12 hours or more) between preparing food and eating it, improper hot holding, and inadequate or improper thawing. Food thermometers were not used in most of the instances. (2) In inadequate cooking, the core temperature of food during and after cooking had not been measured, and routine monitoring was limited to recording the temperature of plated meals. Compared with conventional methods of cooking, microwave ovens did not protect against food poisoning as effectively. Centralized food preparation potentially increased the risk of food poisoning outbreaks. (3) Poor personal hygiene both at the individual level (improper handwashing and lack of proper hygienic practices) and at the institutional level (poor general sanitization) increased the risk of transmission. Person to person transmission of enteric pathogens through direct contact and via fomites has been noted in several instances. (4) Obtaining food from unsafe sources was a risk factor in outbreaks of food poisoning. Food risks were high when food was grown or harvested from contaminated areas. Possibilities included contamination in the field, in transport, at the retail site, or at the time it was prepared for serving. (5) Cross-contamination and inadequate cleaning/handling of equipment became potential vehicles of food poisoning. Failure to separate cooked food from raw food was also a risk factor. (6) Failure to follow food hygiene policies also provided opportunities for outbreaks of food poisoning. It included improper hygienic practices during food preparation, neglect of personnel policies (involvement of symptomatic workers in food preparation), poor results on routine inspections, and disregarding the results and recommendations of an inspection. (7) Lack of formal and in-service education, training, monitoring, and supervision of food handlers or supervisors were critical and perhaps neglected elements in occurrences of food poisoning.

  • PDF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 양상 예측 (Outbreak Pattern Forecasting of Food-borne Disease in Group Food Services in Korea)

  • 조서희;김초일;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09
  • 본 연구는 집단급식 안전성 확보 및 식중독 방지를 위해 단체급식 안전성에 관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내 집단급식 식중독 원인을 조사하고,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을 예측하였다. 델파이 설문 결과 국내 집단급식 식중독 원인은 '식재료 위생관리 미흡', '손세척', '구역구분', '유통업체 보관' 등이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집단급식 식중독 발생 예측 조사 결과 Vibrio parahaemolyticus, Escherichia coli(EPEC), non-typhoid Salmonella serotyp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ETEC), Norovirus, hepatitis A virus가 지속적으로 식중독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집단급식에서 식중독 유발 가능성이 높은 식재료로는 영유아(1-6세), 초등학생(7-12세), 중 고등학생(13-19세)의 식재료 섭취량과 식중독 유발 가능성을 고려해 볼 때 '과일류', '우유', '생선류', '돼지고기', '계란', '쇠고기'였으며, 식단 메뉴로는 '비빔밥', '콩나물무침', '시금치나물', '오이생채', '잡채', '돼지불고기'가 위해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집단급식소에서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된 가공식품은 '냉동, 냉장보관식품' 이었으며, 살균방법은 '가열처리', '화학적 살균소독제'로 나타났다. 저장법은 '냉장($10^{\circ}C$ 이하)', '냉동($-20^{\circ}C$ 이하)'법이, 배식형태는 '집단급식소에서 직접 배식' 형태가 집단급식소에서 향후 사용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설문조사 결과는 집단급식 전 과정의 체계적인 위생관리시스템의 도입과 식중독예방 식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관한 효과적 교육 및 홍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 홍진임;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76-189
    • /
    • 2012
  • 본 연구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홍보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인 학부모는 특별법 주요 문항을 대부분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한 어린이 기호식품 선택을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은 '어린이 기호식품의 기준 규격을 강화해야 한다'로 나타났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관련 문항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전업주부와 핵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p<.01), 대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영양분야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정보취득 경로는 주로 대중매체와 가족 및 친구로 나타났고, 월수입이 높을수록 전문서적을, 30세 이상~50세미만은 대중매체를, 대졸의 경우 시민사회단체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교육을 받게 될 경우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와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를 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업 주부는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에, 직장인은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학부모들에게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를 통한 홍보와 학교 교육을 통한 홍보가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어린이 식생활 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와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특별법에 대한 효율적 홍보방법으로 대중매체가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유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 PDF

Assessment of the Risks of Occupational Diseases of the Passenger Bus Drivers

  • Golinko, Vasyl;Cheberyachko, Serhiy;Deryugin, Oleg;Tretyak, Olena;Dusmatova, Olga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543-549
    • /
    • 2020
  • Background: The working conditions of bus drivers are difficult; they lead to occupational diseases and require careful study, particularly in Ukraine. The objective of the article is the description of occupational health risks of passenger bus drivers that lead to deteriorating health. Methods: The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using a modified Risk Score method, which allowed determining the generalized level of danger to the driver's health. The hygienic hazards level was assessed as based on Stevenson's law, which was generalized later. Results: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the Risk Score method, it was possible to depart from expert assessments method of the risk level and calculate the general indicator based on the degree of dependence of the impact on the human body on its intensity, proposed by V. Minko. This allows objective determining of the impact of hygiene hazards on the health of the driver and to predict the occurrence of occupational diseases associated with the cardiovascular system, musculoskeletal system, and partial or complete disability due to the accumulation of emotional fatigue. The hazard assessment was carried out for three brands of passenger buses common in Ukraine, in which the driver is exposed to the dangers of fever, vibration, noise, harmful impurities in the bus cabin, and emotional load. Conclusion: The health of drivers in the cabins of passenger buses is most affected by hygiene hazards: fever, vibration, and emotional stress. The generalized level of risk is calculated by the modified method of Risk Score is 0.83; -0.99, -0.92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