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thermal quartz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9초

경남 양산 및 밀양지역 납석광상의 지구화학적 연구 (Geochemistry of Pyrophyllite Deposits in Yangsan-Milyang Areas in Korea)

  • 정영욱;전효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4호
    • /
    • pp.341-354
    • /
    • 1989
  • Mineralogy and geochemistry of five pyrophyllite deposits in Yangsan-Milyang area such as Cheonbulsan, Dumyong, Dongrae, Youkwang, and Sungjin mines were investigated. Pyrophyllite ores consist mainly of pyrophyllite, sericite, and quartz with some amounts of kaolinite and pyrite. Polytype of pyrophyllite is 2M. Sericite has two polytypes of 1M and 2M1. The ${\delta}^{18}O$ values of pyrophyllite from the Cheonbulsan and the Dumyong mines were measured as 0.23-0.60‰ and 3.40‰, respectively, and those of montmorillonite and kaolinite from the Dumyong mine were in the range of 11.90-12.06‰. This low oxygen isotope composition provides conclusive evidence for hydrothermal activity in the studied area. Contents of major elements are more useful than those of trace elements to discriminate altered zones such as pyrophyllite, sericite, argillic, and andalusite zones from the surrounding rocks. Particularly, contents of $K_2O$, $Na_2O$ and CaO are helpful to identify alteration zones from the discriminant and the cluster analysis of multi-element data.

  • PDF

상동 중석-몰리브덴 광상의 광화관련 상동화강암의 Nd-Sr 동위원소비 및 가스 성분 (Nd-Sr Isotope and Gas Composition for the Sangdong Granites Related to the Tungsten-Molybdenum Ore Mineralization)

  • 김규한;신유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2호
    • /
    • pp.139-145
    • /
    • 1995
  • Tungsten skarn mineralization of the Sangdong mine is localized in the interbedded limestone layers of the Myobong Slate Formation and in the limestone of the Pungchon Limestone Formation of Cambrian age. Fluid inclusion, gas composition and Nd-Sr isotope for granites and skarns have been investigated. Gas compositions show $CO_2$ rich in the Sangdong granite and CH, rich in the Nonggeori and Eopyeong granites. The initial $^{87}Sr/^{86}Sr$ and $^{143}Nd/^{144}Nd$ ratios of the Sangdong granites have 0.714~0.716(${\varepsilon}_{Sr}$=138~162) and 0.51173~0.51178(${\varepsilon}_{Nd}$=-14.4~15.5), respectively. And their two stage model ages range from 1687 to 1764 Ma. The granite characterized by high strontium initial ratios and negative eNd value could have originated from the old continental crust source. Low homogenization temperature of the Sangdong granite having $203{\sim}296^{\circ}C$ with 1.9~9.2 NaCl equiv. wt% indicates the post-magmatic hydrothermal alteration temperature. Skarn ore fluid responsible for tungsten mineralization has been evolved from CH, rich fluid of early pyroxene garnet skarn to $CO_2$ rich later quartz-mica skarn.

  • PDF

남산 금-은광산의 유체포유물 및 안정동위원소 연구 (Studies on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of the Namsan Gold-Silver Mine)

  • 김세현;최상훈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2호
    • /
    • pp.119-127
    • /
    • 1996
  • Electrum-sulfide minerals of the Namsan Au-Ag mine were deposited in two stages of quartz and calcite veins that fill fault planes in Mesozoic granitic rocks (230~155 Ma). The K/Ar radiometric dating of hydrothermal sericite indicates that mineralization is early Cretaceous age ($127{\pm}3.0Ma$). Mineralogic, fluid inclusion and sulfur isotopic data show that ore minerals were deposited at temperatures between $340^{\circ}C$ and $200^{\circ}C$ from fluid with salinities of 3 to 6 equiv. wt % NaCl. Evidence of fluid boiling (and $CO_2$ effervescence) indicates a maximum pressures of 100 bars. The formation temperature and $fs_2$, of Au-mineralization from the Namsan mines are mainly $280{\sim}230^{\circ}C$ and $10^{-11}{\sim}10^{-13}$ atm, respectively. Au deposition was likely a result of boiling caused to chemical change (pH, $f_{O2}$, ${\Sigma}_{H_2S{\cdot}{\cdot}}$) of ore-fluids. Sulfur isotope composition of sulfide minerals (${\delta}^{34}S=5.1$ to 8.2‰) are consistent with ${\delta}^{34}S_{{\Sigma}{H2S}}$ value of +6 to +7‰, suggesting an igneous source of sulfur partially mixed with wall-rock sulfur.

  • PDF

수열양생법에 의한 석분 슬러지로부터 인조석판재의 제조 (Hydrothermal Preparation of Artificial Stone Plate from Stone Powder Sludge)

  • 김치권;배광현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16-221
    • /
    • 2001
  • 채석장 및 서재 가공장에서 폐기되는 미립의 분말의 석분 슬러지를 활용하고자 수영양생법으로 인조 석판재를 제조하였다. 석분 슬러지의 주성분은 석영 및 알루이나로서 여기에소석회 및 규사를 첨가하여 증기압, 수열 반응시간, 소석회의 첨가량 등이 인조석판재의 강도 및 비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수열양샡법을 적용한 인조석재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석분 슬러지 70%, 소석회 20% 및 규사 10%에 수분 10% 비율로 혼합한 후 200kg/㎠의 압력으로 성형하여 증기압이 20kg/㎠인 조건으로 3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한 인조석재는 압축강동 614kg/㎠흡수율 0.48%, 겉보기 비중 1.88인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각종 산화물계 안료의 첨가에 의하여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보유한 인조석재의 제조가 가능하였다.

  • PDF

달성폐광산 주변 식물의 중금속 오염에 대한 지화학적 연구 (Geochemical Study on Heavy Metal Pollution of Plants at Dalseong Abandoned Mine)

  • 이재영;이인호;김석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31권3호
    • /
    • pp.223-233
    • /
    • 1998
  • The environments in the vicinity of the Dalseong mine has been much contaminated by heavy metals related to CuW ore deposit, which is of hydrothermal pipe type mineralized by quartz monzonite in the andesitic rocks. Chalcopyrite and wolframite are major ore minerals and sphalerite, galena and others are associated.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in plants, samples of plants and soils were analysed by ICP for Fe, Mn, Cu, Pb, Zn, Ni, Co, Cd and Cr. Most of ore-related heavy metals are anomalously high in plants and soils, which were contaminated by the development of Taehan Tungsten Mining Company. The mine produced 48,704 tons (M/T) of 4 wt.% Cu and 1,620 tons (S/T) of 70 wt.% of $WO_3$ during active mining activity from 1961 to 1971 but was closed in 1975. Wild plants growing at the mine area may be used to remove heavy metals form soils, which cause contaminations of plants, stream waters and groundwaters in the vicinity of the mine.

  • PDF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열수광상에 대한 광물학적 및 광상학적 연구 : (1) 양산지역의 "납석" 광상 (Mineralogy and Genesis of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1) "Napseok" Deposits in Yangsan Area)

  • 김수진;김영규;노진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4-57
    • /
    • 1990
  • Mineralogy of clay(Napseok) deposits in Yangsan area has been studied by the methods of field investigation and laboratory works including the polarizing microscopy, X-ray diffraction, infrared spectroscopy, thermal analysis, chemical analysis by electron micro-probe and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nd electron microscopy(SEM and TEM). The Napseok ores in both the Cheonbulsan and Yongcheon deposits consist mainly of sericite, pyrophyllite and quartz, with more or less tourmaline. The high temperature minerals such as corundum and dumortierite are found in the Cheonbulsan deposit, but not in the Yongcheon deposits. Dickite, nacrite, and halloysite are found in the Yongcheon deposit, but not in the Cheonbulsan deposit. The Napseok ores of the Yukwang deposit consist of sericite posits in the Yangsan area. Occurrence, chemistry and structural features of important minerals are described. Mineralogical data of sericite such as intensity raios and chemistry also support that the Napseok deposits of both the Chenobulsan and Yongcheon mines were formed at the higher temperature than those of the Yukwang mine. Presence of sericite-dickite-pyrophyllite ores in the Yongcheon deposit also suggests the lower temperautre than in the Cheonbulsan deposit.

  • PDF

중국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의 돌로마이트 산상과 화학조성 (Occurrence and Chemical Composition of Dolomite from Zhenzigou Pb-Zn Deposit, China)

  • 유봉철
    • 광물과 암석
    • /
    • 제34권3호
    • /
    • pp.177-191
    • /
    • 2021
  •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은 중국 동북지역에선 가장 규모가 큰 연-아연 광상 중의 하나로 지체구조상 Jiao Liao Ji belt내 Qingchengzi mineral field에 위치한다. 이 광상의 주변지질은 시생대의 그래뉼라이트(granulite)와 이를 관입한 고원생대의 미그마타이트질 화강암과 고-중원생대의 소딕(sodic) 화강암을 부정합으로 피복한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 및 이들을 관입한 중생대의 섬록암과 몬조나이틱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고원생대의 Liaohe 층군내 Langzishan 층 및 Dashiqiao 층내에서 층상 광체 및 맥상 광체로 산출되며 층준규제 퇴적분기형 또는 퇴적분기형 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들은 산출 광물조합 및 정출순서를 기초로 1)모암인 돌로마이트(D0), 2)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층상 광체내 돌로마이트(백색운모, 석영, 칼리장석, 섬아연석, 방연석, 황철석, 유비철석)(D1) 및 3)석영맥과 함께 산출되는 맥상 광체내 돌로마이트(석영, 인회석, 황철석)(D2)로 산출된다. 이들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은 각각 Ca1.00-1.03Mg0.94-0.98Fe0.00-0.06 As0.00-0.01(CO3)2(D0), Ca0.97-1.16Mg0.32-0.83Fe0.10-0.50Mn0.01-0.12Zn0.00-0.01Pb0.00-0.03As0.00-0.01(CO3)2(D1), Ca1.00-1.01Mg0.85-0.92Fe0.06-0.11Mn0.01-0.03As0.01(CO3)2(D2)로써 이론적인 돌로마이트의 화학조성보다 미량원소들의 함량이 높다. 특히, 이들 돌로마이트내 FeO 및 MnO 함량은 각각 0.05-2.06 wt.%, 0.00-0.08 wt.%(D0), 3.53-17.22 wt.%, 0.49-3.71 wt.%(D1) 및 2.32-3.91 wt.%, 0.43-0.95 wt.%(D2)로써 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1)에서 높은 함량을 갖는다. 또한 다른 미량원소들은 ZnO, As2O5, PbO, Sb2O5 및 HfO2 원소들이 소량 함유되며 단지층상 광체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1)에서 ZnO 및 PbO 원소들의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난다. 젠지고우 연-아연 광상의 Do 및 D2는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되며 D1는 철백운석(ankerite)과 Ferroan 돌로마이트에 해당된다. 따라서 1)모암에서 산출되는 돌로마이트(D0)는 고원생대의 Jiao Liao Ji 분지내 해양증발석호(marine evaporative lagoon) 환경에서 퇴적된 Ferroan 돌로마이트, 2)층상 광체내 돌로마이트(D1)는 고원생대의 화성활동 및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에 의한 열수교대작용으로 의한 돌로마이트화작용에 의해 형성된 철백운석(ankerite) 및 Ferroan 돌로마이트 및 3)맥상 광체내 돌로마이트(D2)는 중생대의 화성활동에 수반된 열수용액에 의해 형성된 Ferroan 돌로마이트이다.

남한(南韓)의 금(金)·은광화작용(銀鑛化作用)에 대(對)한 고찰(考察) (Metallogeny on Gold-Silver in South Korea)

  • 김원조
    • 자원환경지질
    • /
    • 제19권4호
    • /
    • pp.243-264
    • /
    • 1986
  • 본 논문은 남한의 금은 광상의 금속광화착용(광상생성)에 대해서 필자 자신의 조사연구 자료와 아울러서 금은 광상에 관한 가능한 기존 자료를 광범위하게 참고해서 작성한 것이다. 한국의 광상 생성기는 구조지질적 활동내용과 화성활동 시기들에 관련되여지고 있는 바 선캠브리아기, 고생대, 쥬라기-백악기초, 후백아기-제 3기초 그리고 제 4기로 구분되어지며, 이에 대한 광상 생성구로는 지역적으로 규장암질 내지 중성질 화성암류와 관련지어지고 있으며 반면에 염기성암과 초염기성암류와의 광화작용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하겠다. 금 은광에 있어서의 광상 생성작용은 거의 모두가 화강암류들의 관입과 관련되어져 있다. 남한에 있어서의 금 은광의 후생 광화작용의 시기적 범위는 선캠브리아에서 부터 상첩기, 쥬라기와 백악기에서부터 시신세(?)까지로 보아지며, 광상 생성(작용)형은 심열수광상에서 부터 중열수광상과 천열수광상인 석영-유화광맥형과 화산암 관입 생성 망상 광상형과 그리고 광염 광상형들로 구분된다. 금속 광물들의 광화작용 관련형으로서는 은광을 수반치 않는 금광 단일형과 금 은 혼합형, 은-금 혼합형, 금광을 수반치 않는 은광 단일형 그리고 금광 흑은 은광을 부산물로 하는 다른 금속광형들이다. 가장 대표적인 광상 생성 타입의 금-은 광상으로서는 열수광상형 석영맥인 바, 대보 화강암과 불국사 화강암질 암류의 화성활동에 관련된 것이다. 석영-유화물 열수광상형의 금-은 광상에 있어서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공생광물들은 동, 연, 아연, 유화철 그리고 유비철광이다. 560개 이상의 금-은광산을 광산 분포도에 기재하여 남한에서의 대표적인 10개 지역의 금-은 광화지구를 구획지워 보았다. 그리고 남한에서 8개 금-은 광상을 선별하고 일본에서 8개 금-은 광상을 선정하여 금속 광물들이 각각 유화광물과 맥석광물에 관련된 특유한 광화작용을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끝으로 7개의 대표적인 금-은광상을 선정하여 각 개별 광상에 대한 특성적인 광화작용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 PDF

원동 중석 스카른대에서의 관입암류와 스카른광물에 대한 U-Pb(SHRIMP) 및 K-Ar 연대 (U-Pb(SHRIMP) and K-Ar Age Dating of Intrusive Rocks and Skarn Minerals at the W-Skarn in Weondong Deposit)

  • 박창윤;송윤구;지세정;강일모;이기욱;정동훈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61-174
    • /
    • 2013
  • 원동지역은 스카른형 다중금속 광상으로서, 최근에는 회중석을 포함하는 텅스텐 광체의 유망광구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관입암체와 스카른 광물에 대한 연대측정을 통하여 스카른 형성 시기에 대한 지질연대학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원동 지역의 층서는 석탄기와 트라이아스기, 캠브리아기와 오르도비스기의 층으로 이루어져있다. SHRIMP U-Pb 연대측정으로 원동지역 일대에 분포하고 있는 관입암류인 석영반암($79.37{\pm}0.94$ Ma)과 장석반암암맥($50.64{\pm}0.44$ Ma)의 정치고결시기를 결정하였다. K-Ar 연대측정으로 거정질의 금운모($49.1{\pm}1.1$ Ma), 괴상의 금운모($49.2{\pm}1.2$ Ma), 스카른광물과 공생하는 금운모($49.9{\pm}3.6$ Ma), 그리고 열수변질작용의 산물인 일라이트($48.3{\pm}1.1$ Ma)의 생성시기를 밝혀내었다. 열수 변질된 석영반암에서의 SHRIMP U-Pb 연대는 59.7~38.7 Ma까지 다양한 연대분포를 보이는데, 저어콘의 조직과 관련하여 메타믹티제이션(metamictization) 받은 저어콘 조직에서는 Pb 손실이 발생하여 연대 신뢰도가 떨어지는 반면, 용해-침전작용을 받은 부분의 연대 값은 동위원소 재평형 작용의 가능성이 있어 또다른 열수변질시기 혹은 화성활동시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대측정 결과와 광물 공생관계, 그리고 야외조사에서 확인된 석영반암 내 혹은 균열대에 발달해 있는 스카른용액 침투흔적으로 볼 때, 연구지역에서의 중석 스카른 광화시기는 약 50 Ma일 가능성이 높지만, 스카른 광체 선후관계 및 장석반암과 스카른 광체의 지질학적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동남부 지역의 열수광상에 대한 광물학적 및 광상학적 연구: (4) 김해납석광상 (Mineralogy and Genesis of Hydrothermal Deposit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4) Kimhae Napseok Deposit)

  • 김수진;추창오;조현구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2-144
    • /
    • 1993
  • 김해납석광상의 기원과 광물의 산상 및 광물의 안정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이 지역의 지질은 제3기 화산암류와 이를 관입한 화강섬록암으로 구성되는데, 화산암류의 암질은 안산암질응회암, 석영안산암질응회암, 그리고 안산암질응회암과 혼재하는 응회질셰일 등이다. 광체는 2.4-4 m 두께로 안산암질응회암에 배태되는데, 주향과 경사는 각각 $N70^{\circ}E-N85^{\circ}E$, $16^{\circ}NW-32^{\circ}NW$이다. 모암변질대는 propylitic, advanced argillic 변질대로 구분되며, 이들은 각기 고유한 광물조합과 화학조성을 가진다. propylitic 변질대는 albite-epidote-chlorite-quartz가 특징이며, advanced argillic 변질대는 pyrophyllite-deckite-alunite-diaspore가 특징적인 광물조합을 이룬다. propylitic 변질대의 경우 알루미나와 실리카는 뚜렷한 관계를 보여주지 않는다. 그러나 advanced argillic 변질대의 경우 알루미나와 실리카는 역비례 관계를 가진다. pyrophyllite는 advanced argillic 변질대에서 가장 풍부하며 dickite, diaspore, alunite와 밀접히 수반되어 산출하는데, 이는 저온성인 2M다형으로 산출된다. dickite는 Hinckley 지수가 0.83으로 중간 정도의 결정도를 보인다. alunite는 K를 치환하는 Na가 53.2-71.6 몰퍼센트를 보인다. 그리고 R자리의 양이온의 함량이 커질수록 보다 많은 Na가 M자리에 들어간다. diaspore는 용해조직을 보이는데 여기서 pyrophyllite가 흔히 생성된다. 사장석은 Ca가 빠져 나감으로 해서 알바이트화작용을 겪었다. sulfide와 sulfate의 분해작용으로 인하여 열수용액의 pH가 저하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Si의 용탈이 우세하게 일어났다. 점토광상의 형성에 필요한 알루미나의 주 공급원으로는 화산암류의 사장석으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나와 안산암질응회암에 박층으로 혼재하는 응회질셰일로부터 공급되는 알루미나를 들 수 있다. propylitic 변질대에서 advanced argillic 변질대로 갈수록 pH의 감소가 일어났다. 보고된 실험자료와 광물조합을 통하여 추정한 광상의 생성온도는 $270-320^{\circ}C$ 범위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