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llogeny on Gold-Silver in South Korea

남한(南韓)의 금(金)·은광화작용(銀鑛化作用)에 대(對)한 고찰(考察)

  • Kim, Won Jo (Korean Institute of Energy and Resources)
  • Published : 1986.08.31

Abstract

This work is a metallogeny on gold-silver deposi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close examination of the author's own data and a broad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available. The metallogenic epochs in Korea are temporarily connected with the history of tectonism and igneous activities, and are identified as the Precambrian, Paleozoic, Jurassic to early Cretaceous, late Cretaceous to early Tertiary, and Quaternary epochs, whereas the metallogenic provinces are spatially associated with some of the felsic to intermediate igneous rocks, lacking mineralization related to basic and ultrabasic rocks. The metallogeny on the gold-silver deposits is mostly related to the granitic rocks intrusives. Epigenetic gold-silver mineralization in South Korea ranges in metallogenic epochs from Precambrian through Triassic, Jurassic and Cretaceous to Eocene (?), in genetic types from hypothermal through mesothermal and epithermal quartz-sulfide veins to volcanogenic stockworks, with some disseminated types. Reporting on metallic association from gold without silver, gold-silver, silver-gold, silver without gold, and gold or silver as a by-product from other metallic ores. The most representative genetic types and metal associations of gold-silver deposits are hydrothermal quartz veins associated with the Daebo and Bulgugsa granitic magmatism. The most closely associated paragenetic metallic minerals in gold-silver hydrothermal quartz-sulfide vein type deposits are: copper, lead, zinc, pyrite and arsenopyrite. More than 560 gold-silver mines are plotted in the distribution map grouped within the 10 different metallogenic provinces of South Korea. Specific mineralizations with related mineral association in both sulfides and gangues observed selected from 18 Korean and 8 Japanese Au-Ag deposits. The 7 selected individual gold-silver mines representing specific mineralization types are described in this report.

본 논문은 남한의 금은 광상의 금속광화착용(광상생성)에 대해서 필자 자신의 조사연구 자료와 아울러서 금은 광상에 관한 가능한 기존 자료를 광범위하게 참고해서 작성한 것이다. 한국의 광상 생성기는 구조지질적 활동내용과 화성활동 시기들에 관련되여지고 있는 바 선캠브리아기, 고생대, 쥬라기-백악기초, 후백아기-제 3기초 그리고 제 4기로 구분되어지며, 이에 대한 광상 생성구로는 지역적으로 규장암질 내지 중성질 화성암류와 관련지어지고 있으며 반면에 염기성암과 초염기성암류와의 광화작용은 거의 없는 것이 특징적이라고 하겠다. 금 은광에 있어서의 광상 생성작용은 거의 모두가 화강암류들의 관입과 관련되어져 있다. 남한에 있어서의 금 은광의 후생 광화작용의 시기적 범위는 선캠브리아에서 부터 상첩기, 쥬라기와 백악기에서부터 시신세(?)까지로 보아지며, 광상 생성(작용)형은 심열수광상에서 부터 중열수광상과 천열수광상인 석영-유화광맥형과 화산암 관입 생성 망상 광상형과 그리고 광염 광상형들로 구분된다. 금속 광물들의 광화작용 관련형으로서는 은광을 수반치 않는 금광 단일형과 금 은 혼합형, 은-금 혼합형, 금광을 수반치 않는 은광 단일형 그리고 금광 흑은 은광을 부산물로 하는 다른 금속광형들이다. 가장 대표적인 광상 생성 타입의 금-은 광상으로서는 열수광상형 석영맥인 바, 대보 화강암과 불국사 화강암질 암류의 화성활동에 관련된 것이다. 석영-유화물 열수광상형의 금-은 광상에 있어서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공생광물들은 동, 연, 아연, 유화철 그리고 유비철광이다. 560개 이상의 금-은광산을 광산 분포도에 기재하여 남한에서의 대표적인 10개 지역의 금-은 광화지구를 구획지워 보았다. 그리고 남한에서 8개 금-은 광상을 선별하고 일본에서 8개 금-은 광상을 선정하여 금속 광물들이 각각 유화광물과 맥석광물에 관련된 특유한 광화작용을 비교 고찰하여 보았다. 끝으로 7개의 대표적인 금-은광상을 선정하여 각 개별 광상에 대한 특성적인 광화작용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