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drogen peroxide$(H_2O_2)$

검색결과 925건 처리시간 0.03초

The Effects of Green Tea Supplementation on Behavioral Changes, Striatal Dopamine Level, and Hepatic Antioxidant Parameters of Parkinson's Disease Model Rats

  • Kang, Min-Jeong;Lee, Sang-Sun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2호
    • /
    • pp.61-67
    • /
    • 2006
  • Green tea has attracted attention with respect to its potential for preventing and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The neurotoxin, 6-hydroxydopamine (6-OHDA), was used to produce experimental Parkinson's disease (PD)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diet on behavioral changes, striatal dopamine content, and hepatic antioxidant parameters of PD model rats. In this study, we used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200\sim220g$ and injected 6-OHDA into the right substantia nigra and medial forebrain bundle of the brain. The supply of green tea diet was started at 2 weeks before 6-OHDA lesion and continually supplied during 0, 2, and 4 weeks after 6-OHDA lesion (GT-0, GT-2, GT-4). Behavioral disturbance was measured by the stepping and d-amphetamine drug-induced rotation tests. Then, we assayed the striatal dopamine content and the hepatic malondialdehyde (MDA), hydrogen peroxide $(H_2O_2)$, and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y. The percentage of lesioned forepaw to non-lesioned forepaw step scores was the highest in GT-4 group among all groups at both 3 and 4 weeks after 6-OHDA lesion. At 4 weeks after 6-OHDA lesion, the rotation score was the lowest in GT-2 group (p<0.05). However, increasing rate of the rotation score from 2 to 4 weeks after 6-OHDA lesion was the lowest in GT-4 group. The striatal dopamin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four groups by green tea diet. The hepatic MDA level was the lowest in GT-4 group among four groups. The hepatic SOD activity was increased with the prolongation of green tea diet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tea diet affects behavioral changes in rats of PD model. It seems that continuous green tea supplementation has an influence on the reduction of behavioral disturbance and the hepatic MDA level. Accordingly, continuous green tea supplementation was recommende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s and efficacy of green tea in PD.

마치현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항산화 효과 (Anti-microbial, Anti-oxidant Effect of Portulacae Herba ethanol Extract)

  • 곽정심;김춘득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975-984
    • /
    • 2018
  • 마치현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마치현 추출물의 측정 결과, 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을 확인하였으며, 세포실험 결과 HaCaT, RAW 264.7, RBL-2H3 세포에서 유의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H_2O_2$에 의한 유발되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aCaT 세포는 마치현 에탄올 $100{\mu}g/mL$ 농도에서 83% 보호효과가 확인되었다. RAW 264.7 세포에 대한 마치현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 결과 저농도에서도 nitric oxide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 균에서도 마치현 추출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마치현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생리 활성 물질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HaCaT 인간 피부 각질세포에서 과산화수소 유도 산화 손상에 대한 소청자 및 소총2호의 항산화 및 세포보호 효능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Socheongja and Socheong 2, Korean Black Seed Coat Soybean Varieties,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HaCaT Human Skin Keratinocytes)

  • 최은옥;권다혜;황혜진;김국진;이동희;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4-464
    • /
    • 2018
  • 식품 원료로도 널리 애용되는 검은콩은 풍부한 천연 페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에도 매우 유용한 자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 검은콩 품종[소청자(SCJ), 소청2호(SC2) 및 청자2호(CJ2)]을 대상으로 TPCs과 항산화 능을 조사하였다. 그 중에서도 TPCs는 CJ2 $H_2O_2$ 처리에 의한 HaCaT 세포의 생존력 감소를 현저히 억제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SCJ와 SC2 전처리는 또한 HaCaT 세포에서 mitochondrial dysfunction의 차단과 pro-apoptotic Bax의 발현 변화의 정상화를 통해 $H_2O_2$에 의하여 유도된 apoptosis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SCJ와 SC2는 Nrf2와 연관된 TrxR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였으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SCJ와 SC2의 보호 효과는 TrxR 억제제에 의하여 상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CJ와 SC2가 Nrf2 신호전달 경로 활성을 통하여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세포 손상을 차단함으로써 세포 보호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SCJ와 SC2는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피부 질환의 치료와 예방을 위한 응용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유용버섯 Lentinus tuber-regium이 산화적 스트레스 및 방어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dible Lentinus tuber-regium on Oxidative Stress and Defense System in Serum of SD Rats)

  • 최진호;박수현;김대익;김정민;김창목;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1-46
    • /
    • 2001
  •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6주 동안 탄수화물 대용으로 50% 및 100%의 Lentinus tuber-regium(LTR)-첨가 투여그룹의 산화적 스트레스 및 방어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LTR-50 및 LTR-100 투여그룹은 대조그룹 대비 21.7% 및 16.4%의 매우 유의적인 ${\cdot}OH$ 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이들 두 투여그룹은 대조그룹 대비 약 10%의 $H_2O_2$의 생성 억제효과 및 $6{\sim}10%$ 정도의 바람직한 N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렇지만 이들 LTR 투여에 의하여 ${O_2}^-$ 라디칼의 생성 억제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이들 활성산소의 공격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로서 LPO의 생성은 LTR 투여에 의하여 대조그룹 대비 $6{\sim}12%$의 유의적인 LPO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고, OP의 생성은 이들 LTR의 부여에 의하여 대조그룹 대비 5.0% 및 12.8%의 생성 억제효과가 인정되었다. 이들 LTR-50, LTR-100 투여그룹은 대조그룹에 비해 $15{\sim}50%$의 매우 유의적인 SOD의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고, 또한 이들 LTR투여그룹의 GSHPx은 대조그룹 대비 $10{\sim}25%$의 매우 유의적인 GSHPx의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한편 CAT의 활성에 미치는 LTR투여의 영향도 대조그룹 대비 $60{\sim}90%$의 매우 유의적인 CAT의 활성 증가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탄수화물 대용으로 사용된 유용버섯 LTR의 투여는 ${\cdot}OH$ 라디칼, $H_2O_2$ 및 NO의 생성 및 그로 인한 LPO 및 OP 같은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SOD, GSHPx 및 CAT 같은 방어효소의 활성을 매우 효과적으로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노화를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itric Acid Reduces Alkaline Stress-induced Chlorosis, Oxidative Stress, and Photosynthetic Disturbance by Regulating Growth Performance, Antioxidant Activity and ROS Scavenging in Alfalfa

  • Lee, Ki-Won;Lee, Sang-Hoon;Song, Yowook;Park, Hyung Soo;Woo, Jae Hoon;Choi, Bo Ram;Lim, Eun A;Rahman, Md Atikur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10-216
    • /
    • 2021
  • Pollution of agricultural soil by alkaline salts, such as Na2CO3, is a critical and long-lasting problem in cultivable land.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utative role of citric acid (CA) in alleviating Na2CO3-stress in alfalfa. In this study, Na2CO3 significantly induced leaf chlorosis, inhibited plant growth and photosynthesis related parameters, increased hydrogen peroxide (H2O2) and reduced major antioxidant enzymes (SOD, CAD, APX) in alfalfa. However, the presence of CA these negative effects of Na2CO3-stress largely recovered. Interestingly, expression of antioxidant and ion transporter genes (Fe-SOD, CAT, APX, DHAR and NHX1) involved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omeostasis and oxidative stress tolerance in alfalf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mediated Na2CO3 stress alleviation is an ecofriendly approach that would be useful to local farmer for alfalfa and other forage crop cultivation in alkaline soils.

전처리 방법에 따른 하수처리장 유입수에서의 미세플라스틱 성상분석 평가 (Evaluation of microplastic in the inflow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according to pretreatment methods)

  • 김성렬;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3-92
    • /
    • 2022
  • 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에 대한 수요가 늘어감에 따라 플라스틱 폐기물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수계 내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위해성에 대한 평가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대체적으로 미세플라스틱을 성질 개선을 위해 첨가하는 화학물이 유독하다는 사실은 여러 문헌을 통해 증명되어있다. 하수처리장(MWTP)은 오수를 처리하는 시설로서 가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이 모이는 미세플라스틱이 모이는 장소이다. 따라서 MWTP 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분석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이를 진행하기 위해 표준화된 방법이 아직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WTP에서 미세플라스틱 검출을 위한 하수 시료에 적용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론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J 하수 처리장에서 수집한 유입수 샘플로부터 미세플라스틱을 분석하는 다양한 전처리 방법 중에서 하수처리장 샘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펜톤산화와 H2O2 산화법을 선정하였다. 각 전처리 방법별로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킬 요소들이 있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펜톤산화 전처리의 경우 밀도분리법 대신 여과를 진행하여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추천되며, H2O2 산화법의 경우 반응 이후 증류수로 세척하는 과정이 필요해 보인다. 분석 결과 미세플라스틱의 농도는 H2O2 산화법을 이용한 샘플의 경우 2.75 ea/L, 펜톤산화법을 이용한 샘플의 경우 3.2 ea/L 로 측정되었으며 대부분 섬유형태로 존재하였다. 또한 정량분석을 현미경을 이용해 육안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측정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장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해 검정곡선을 만들었다. 총 3개의 검정곡선이 그려졌으며 해당 검정곡선들을 분석한 결과 R2 값이 전부 0.9 이상이였으며 이는 정량분석에 대해 높은 신뢰성을 보장한다. 정성분석으로 MWTP에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계열에 대해선 판단할 수 있었지만 각 미세플라스틱의 화학적인 조성에 대해선 확인할 수 없었다. 향후 MWTP에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화학적 조성에 대해서 확인하기 위해서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산화제 첨가에 따른 W-CMP 특성 (W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Characteristics by oxidizer addition)

  • 박창준;서용진;이경진;정소영;김철복;김상용;이우선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46-49
    • /
    • 2003
  •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is an essential dielectric planarization in multilayer microelectronic device fabrication. In the CMP process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extent of surface defect formation while maintaining good planarity and optimal material removal rates. The polishing mechanism of W-CMP process has been reported as the repeated process of passive layer formation by oxidizer and abrasion action by slurry abrasives.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ffect of oxidizer on W passivation layer, in order to obtain higher removal rate (RR) and very low non-uniformity (NU%) during W-CMP process. In this paper, we compared the effects of oxidizer or W-CMP process with three different kind of oxidizers with 5% hydrogen peroxide such as $Fe(NO_3)_3$, $H_2O_2$, and $KIO_3$. The difference in removal rate and roughness of W in stable and unstable slurries are believed to caused by modification in the mechanical behavior of $Al_3O_3$ particles in presence of surfactant stabilizing the slurry.

  • PDF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여주 (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세포사멸 억제 기전을 통한 신경세포보호효과 (Neuroprotective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extract against hydrogen peroxide-induced cytotoxicity in human neuroblastoma SK-N-MC cells)

  • 김꽃별;이선아;허재혁;김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5호
    • /
    • pp.415-425
    • /
    • 2017
  • 건 여주로부터 얻은 70%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human neuroblastoma cell인 SK-N-MC세포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여주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8.51 mg gallic acid/extract g과 3.95 mg catechin/extract g 이었고,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 ($IC_{50}$)은 $506.95{\mu}g/ml$ 이었다. 여주추출물을 신경세포에 전 처리한 후 $H_2O_2$을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했을 때, 여주추출물에 의해 세포생존율은 증가되었고 세포내 ROS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포내 항산화 방어시스템인 항산화효소 (SOD-1,2와 GPx-1)의 mRNA 발현이 여주추출물 처리에 의해 control 수준으로 회복되거나 control 보다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ROS 의존적 세포사멸과 연관 있는 것으로 알려진 MAPK pathway 중 p38과 JNK의 인산화를 여주추출물이 억제하였다. 또한 cleaved caspase-3와 cleaved PARP의 발현도 여주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70% 에탄올 여주추출물은 항산화효능이 우수하여 ROS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뿐 아니라 세포내 ROS 축적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신경세포 내 항산화효소들의 발현 증가 기전과 p38, JNK의 인산화 억제 및 cleaved caspase-3, cleaved PARP의 발현 억제를 통한 세포사멸 억제 기전을 통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여주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과 같은 신경변성질환 (neurodegenerative disease)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의 소재로써 이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Extract)

  • 이지영;진경숙;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80-285
    • /
    • 2015
  • Cotoneaster horizontalis Decne 에탄올 추출물(CHEE)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CHEE의 항산화능을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로 분석한 결과 radical 소거능의 정도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보여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를 이용하여 H2O2 유도에 의해 생성된 ROS에 대한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강한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항산화효소 H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이 CHEE의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한편 CHEE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C. horizontalis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세포 수준에서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ntioxidant, Cytotoxicity and Cytoprotective Potential of Extracts of Grewia Flava and Grewia Bicolor Berries

  • Masisi, Kabo;Masamba, Riach;Lashani, Keletso;Li, Chunyang;Kwape, Tebogo E.;Gaobotse, Goabaone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4-31
    • /
    • 2021
  • Objectives: Accumulation of 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ads to oxidative stress. Increased production of ROS, such as superoxide anion, or a deficiency in their clearance by antioxidant defences, mediates cellular pathology. Grewia Spp fruits are a source of bioactive compounds and have notable antioxidant activity. Although the antioxidant capacity of Grewia Spp has been studied, there is very limited evidence that link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Grewia bicolor and Grewia flava to the inhibition of free radical formation associated with damage in biological systems.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Grewia bicolor and Grewia flava extracts against free radica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the resulting cytotoxicity effect using HeLa cells. Antioxidant properties determin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assay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 < 0.05) antioxidant activity in Grewia flava (ethanol extract) than Grewia flava (water extract) and Grewia bicolor (ethanol and water extracts). Results: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or MTT assay, cytotoxicity results showed that extracts of Grewia bicolor and Grewia flava were less toxic to HeLa cells at tested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This confirmed the low toxicity of these edible fruits at the tested concentrations in HeLa cells. Furthermore, hydrogen peroxide (H2O2)-induced cell loss was effectively reduced by pre-incubating HeLa cells with Grewia bicolor and Grewia flava extracts, with Grewia flava (ethanol extract) revealing better protection. Conclusion: The effect was speculated to be associated with th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of Grewia flava (ethanol extract). Additional studies will warrant confirmation of the mechanism of action of such eff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