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ectant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3초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Jerky Adjusted with Tenderizers or Humectant

  • Kim, Gap-Don;Jung, Eun-Young;Seo, Hyun-Woo;Joo, Seon-Tea;Yang, Han-Su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30-937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pork jerky with differently added sources of tenderizer or humectant at final concentrations of 2 or 5% (v/w). Pork jerky treated with 5% glycerol, kiwi, or pineapple had lower moisture content and water activity than that of control pork jerky (p<0.05). The addition of tenderizer or humectant resulted in a lower shear force than that of control (p<0.05). The addition of 2 or 5% glycerol resulted in higher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than other treatments, and addition of tenderizer or humectant produced a higher EMC than that of control (p<0.05). Furthermore, addition of pineapple and kiwi to the samples affected the structures of the myosin heavy chain and the actin filaments of myofibrillar protein, respectively. Trained panel sensory evaluations indicated that pineapple enhanced the flavor score, whereas tenderness score was improved by the addition of tenderizer or humectant (p<0.05).

파지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성장인자 안정화 제형 맞춤형 피부 투과 펩타이드의 개발 (Screening of Skin-permeable Peptide in Thermal Stabilizing Formulation Using Phage Display)

  • 이설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6-33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성장인자, 효소, 펩타이드 등과 같은 기능성 생체 고분자를 대상으로 열에 대한 안정성 및 피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생체 내에서 세포를 활성화 하거나 촉매 작용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 등의 외용제에 적용 시, 그 효능의 우수함이 예상되나 열에 대한 불안정성과 높은 분자량으로 피부 투과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먼저 열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단분자 구조의 humectant 대비 PEG의 길이가 긴 polymeric humectant를 사용한 경우 열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의 피부 투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투과 촉진 펩타이드를 phage library로부터 선별하고자 하였다. 투과 촉진 펩타이드는 성장인자, 효소, 펩타이드의 투과 촉진을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피부의 투과정도는 물질자체의 특성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나 제형의 성분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인자를 안정화 할 수 있는 polymeric humectant 제형을 기반으로 투과 촉진 펩타이드 선별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펩타이드 대비 투과촉진이 향상된 결과를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PBS를 기반으로 선별된 투과 촉진 펩타이드 보다 polymeric humectant 제형에서는 투과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능성 생체고분자의 열 안정성 개선 및 피부 투과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어육(肉)중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침투(浸透) (Penetration of Some Humectants into Shark Muscle)

  • 이종수;구재근;차용준;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5-481
    • /
    • 1984
  • 상어육을 시료로 하여 sucrose, sorbitol, glycerol, propylence glycol등 4 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용액 중에서 침투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침투에 미치는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농도 및 온도의 영향을 검토하고 침투속도식을 유도하였다. 상어육을 10%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용액에 침지할 때는 10시간 전후, 30% 용액에서는 7 시간 정도에서 거의 평형에 도달하였다.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종류에 따른 침투 속도는 분자량이 작을수록, 온도가 높을수록 빨랐다. 그리고한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를 10%로 하여 침지할 경우와 여러종류의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를 각각 10% 되도록 혼합한 용액에 침지할 경우 침투속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상어육을 10% 및 30% 용액에 침지할 경우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 침투량은 다음의 회귀직선식으로 예측가능 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M\;=\;a\;{\log}(c{\cdot}t)\;+\;b$$ (M : 침투량, t : 침지시간, c : 수분유지제(水分維持劑)농도, a, b : 상수)

  • PDF

Mechanism of Urea Effect on Percutaneous Absorption of Clonidine

  • Byun, Young-Rho;Jeong, Seo-Young;Kim, Young-Ha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43-147
    • /
    • 1989
  • The urea effect on skin permeation of clonidine was investigated to reduce a log time and to increase a permeability. ICR mouse skin and human skin were used and were assumed to be a two-layer membrane consisted of stratum corneum and viable epidermis. The urea acted as a skin denaturant and humectant in the whole epidermis. Also it enhanced the skin permeability of clonidine about 3.5 times. On the other hand, it enhanced the skin permeability by acting as a humectant in the viable epidermis. But the urea effect on the whole epidermis was shown to be greater than that on the viable epidermi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urea was greater on the stratum corneum than the viable epidermis. Variation of enhancing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urea was not found in the range of 1% to 20%.

  • PDF

에틸렌디글리콜과 숙신산 에스테르의 제조와 유화 특성 (Preparation and Emulsifying characteristics of Diethylene glycol succinate Derivative)

  • 이재덕;정노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3-239
    • /
    • 2009
  • A reaction device raising a generation yield by efficiently removing water generated in an esterified reaction between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nd succinic acid with mixture of an azeotropic point was newly developed as a new product in development of more stabilized emulsifier with a semi-solid phase(cream) in an emulsified phase of interfacial activity. The bis-(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succinate(hereinafter, called as BDGS) with a high yield of more than 95% was obtained. As this has a property containing amphoteric emulsified functions such as W/O type or O/W type, etc., and has a merit that can be used regardless of any emulsified phase, there is no need using other emulsified surfactant. therefore, as this has excellent skin wetability in the cosmetics industry, a product having a wider range in quality compatibility or cost saving, etc. as a humectant has been developed.

천년초 저온 감압 추출액의 특성 분석 및 화장품 적용 (Characterization of Opuntia humifusa Extract Solution Obtained under Low Temperature and Reduced Pressure and Its Application to Cosmetics)

  • 이서영;유병성;진병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81-388
    • /
    • 2018
  • 저온 감압 조건에서 얻어진 천년초 추출액의 여러 특성을 살펴보고, 이 추출액을 보습제로 활용한 에센스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천년초 추출액은 다른 보습제인 글리세린, 히알루론산 1% 용액에 비해 표면장력(25 mN/m)과 접촉각($8^{\circ}$)이 매우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도도 낮고 끈적임이 거의 없는 특성을 보였다. 천년초 저온감압 추출액은 별도의 계면활성제 첨가 없이도 물에 적은 양의 오일을 유화시킬 수 있었다. 다른 보습제와 달리, 화장품 에센스에서 천년초 추출액의 함량이 높을수록 제형의 끈적임과 점도는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천년초 저온 감압 추출액이 수분감과 함께 끈적임이 적은 사용감을 부여하는 천연 보습제로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Humectant and Roasting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Jerky Made from Spent Hen Meat

  • Sorapukdee, Supaluk;Uesakulrungrueng, Chanpen;Pilasombut, Komkh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26-334
    • /
    • 201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jerky product utilizing spent hen meat. Manipulation of water activity (aw) of semi-dried meat with the addition of humectants (glycerol and sorbitol at the concentration of 0, 10, and 15%) and roasting process were applied to enhance quality of jerky product. After spent hen meat was ground, formulated, reformed and then dried in convection oven at 85℃ for 2 h followed by 60℃ for 1 h, all jerky samples showed values of aw ≤0.85 with total aerobic bacteria, yeast and mold and Staphylococcus aureus counts were reduced to undetectable levels.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15% glycerol added jerky showed superior quality, indicated by the lowest aw, low protein aggregation as evaluated by sorption isotherm and the lowest shear value as compared to sorbitol added and control samples (p<0.05). Regardless effect of humectant, roasting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the jerky via enhanced sensory attributes by increasing color, appearance,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p<0.05). Therefore, spent hen meat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raw material for jerky in which soft product texture obtained by the addition of glycerol and intense flavor resulted from roasting process after drying, leading to sensory acceptance.

개에서 발생한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1례 (Irritant Contact Dermatitis in a Dog)

  • 강종일;박정호;이왕희;오태호;조성환;박성준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07-609
    • /
    • 2011
  • 6년령의 중성화한 암컷 코커 스파니엘이 1개월 전부터 시작된 서혜부의 홍반과 가피, 소양감을 주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축은 건성 피부에 대하여 보습을 목적으로 오트밀 샴푸와 보습용 스프레이를 수 개월간 사용하였다. 전혈구 검사와 혈청 생화학 검사결과 특이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표피의 이상각화증과 표피증식증이 확인되었으며, 진피 상층부의 혈관주위 염증이 관찰되었다. 병력, 임상증상, 신체검사 및 혈액학적 검사, 피부기본 검사와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하여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으로 진단하였다.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보습용 스프레이의 사용을 중지하였으며 2주 후 서혜부의 홍반, 가피와 소양감이 개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