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traffic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34초

도로 교통소음의 전파특성 연구 -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road traffic noise - with respect to human response -)

  • 장호경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1호
    • /
    • pp.19-2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평탄한 지면 위의 도로 교통소음의 전파특성을 해석하고자 점음원과 쌍극자음원을 모델로 사용하였으며, 연속 지표면 음향임피던스에 대한 초과감쇠를 실험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음점이 지표면 가까이 있을 때, 도로 교통소음의 전파특성은 소음 전파경로 상의 지표면 음향임피던스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행 차량으로부터 측정한 등가에너지레벨의 거리별 감쇠값을 이용하여 등음압곡선을 해석하였다 그리고 도로 교통소음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초저주파 소음에 대한 응답특성, 깊은 수면율과 잠을 깨는 비율에 대한 연속적인 교통소음의 .효과, 연령과 소음폭로등 다양한 변수에 대하여 청력손실과 청감민감도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해석결과 과도한 소음은 일시적 청력손실의 원인이며, 폭로가 길어지거나 강력하면 영구적 청력손실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운전자 인적요인을 고려한 PVMS 메시지 판독특성 분석 (Analysis for Characteristics of Driver's Legibility Performance Using 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 (PVMS))

  • 송태진;오철;김태형;연지윤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5-35
    • /
    • 2008
  • 가변전광표지(VMS: Variable Message Sign)는 도로이용자에게 도로, 기상 및 교통상황, 교통규제 상황에 관한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원활한 교통흐름 및 안전운행을 유도 할 수 있는 지능형교통정보시스템 시설이다. 그 중 이동식가변전광표지(PVMS: Portable Variable Message Signs)는 특정 지점 및 구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예: 돌발상황, 도로공사)들에 대해 정보제공 및 능동적 교통제어를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장비이다. PVMS에서 표출되는 교통정보는 운전자가 보다 쉽게 이해하고, 눈에 잘 띄고, 적정거리 내에 판독하기 쉬워야 하는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인적요인(Human Factor) 특성을 고려한 PVMS의 설치 및 메시지 운영은 쾌적성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필수조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경력, 성별, 연령 등의 인적요인이 PVMS를 통해 제공되는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메시지 판독거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국내 운전자 반응특성을 고려 한 VMS 설치 및 운영을 위 한 기초 연구자료로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해상교통분석 시뮬레이션을 위한 항해사의 충돌회피 행동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Ship Officers' Collision-Avoidance Behavior During Maritime Traffic Simulation)

  • 김홍태;안영중;양영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469-476
    • /
    • 2020
  • 해상교통 분야와 같이 선박, 항해사, 관제센터, 해운선사, 기상시스템, 지리정보시스템 등의 복잡하고 넓은 범위의 요구사항을 갖는 시스템의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odeling and Simulation, M&S)을 위해서는 인간을 포함한 체계가 필요하다. 해상교통을 모의하기 위해서는 주요 요소인 항해사의 인적요인에 대한 모델링이 필요하다. 즉, 현실감 있는 해상교통 상황의 재현 및 예측을 위해 항해사의 행동양식, 항해전문성, 항해오류 등을 모델링하여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에이전트 기반의 해상교통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항해사의 충돌회피를 위한 행동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기초 데이터의 확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선박 충돌상황에서 항해사의 행동과 유사한 에이전트 기반의 항해행동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해상교통분석 시뮬레이션 플랫폼의 개발을 위해 활용될 것이다.

관제패턴 모델링을 통한 도착예정시간 예측기법 연구 (Aircraft Arrival Time Prediction via Modeling Vectored Area Navigation Arrivals)

  • 홍성권;이금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
    • /
    • 2014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framework of predicting the arrival time of an aircraft by incorporating the probabilistic information of what type of trajectory pattern will be applied by human air traffic controller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identifying the major patterns of vectored trajectories and finding the statistical relationship of those patterns with various traffic complexity factors.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traffic scenarios in real operations to demonstrate its performances.

일부지역에서 구급차운전자의 구급차 안전운전 운행행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Factors for the Safely of Ambulance Driving)

  • 조진만;이병주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00-111
    • /
    • 1997
  • This is the first Korea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d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and the occurrence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ion for the description of various factors to reduce the ambulance traffic accidents. The major insturment of this study were Krean Self-Analysis Driver Opinionnaire. Questionnaire contains 8 items which measure driver's opinions or attitudes : driving courtesy, emotion, traffic law, speed, vehicle conditions, the use of drugs, high-risk behaviors, and human factors. To take the analysis of data, the total of 350 divers were investigated ambulance divers and others in Taejon City and others (6 City) from 1996. 1. July to 1996. 31. Jul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logistic regression - path analysis - with SPSS and SAS package program.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There was desirable attitude group(16.2%) and undesirable attitude group(17.6%) on safety ambulance driving. 2. It have suggested that risk factors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s much affected with emotion and speed control on safety ambulance driving < Y(Accdient) = -2.64 + 0.57 $X_1$ (Emotion Control) + 0.30 $X_2$(Seed control) + E > and motor traffic acident much affected with emotion control and high-risk behavior on safety driving < Y(Accident) = -1.11 + 0.33 $X_1$(Emotion Control) + 0.29 $X_2$(High-risk Behvior) + E > 4. The primary emphassis of ambulance drivers was make us realized that improthatnt factors on safety ambulance driving were 1)making way for emergent ambulance, 2)driver's career, 3)The abili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s, and the knowledge or under standing of ambulance way difficut(or easy) of accdess. 5. Almost 96.6% of respondents have agreed to necessity of emergency medical technics for ambulance drivers. 6. Almost 94.6% of respondents have consented to necessity of emergtency medical technicians for ambulance driving. 7. It have suggested that the proportion of traffic accident proportion by desitable attitude group(16.7%) was much less than that of undesirable attitude group(30.8%) on safety ambulance driving(P < 0.05)/Ps) Accidents are unplanned, unforesen incidents which can lead to harmful or unfortunate outcomes, Collisons are not accidents, since the basic cause of the majority of collisons invovles high-risk human behavior. Although there are many factors which contribute to accident causation, four basic factors seem to predominate in most traffic related situations. These four factors include: the human factor, the vehicle factor,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destination factor(Peto G. et al. 1995).

  • PDF

교통량과 통행길이를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예측 연구 (Estimation of Freeway Traffic Accident Rate using Traffic Volume and Trip Length)

  • 백승걸;장현호;강정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6
    • /
    • 2005
  • 교통사고는 도로기하구조, 교통특성, 운전자 특성, 주변환경 등이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발생하게 된다. 고속도로는 양호한 도로기하구조 조건을 가지고 있으나 고속주행 특성으로 인해 사고원인 중 부주의, 졸음, 과속 등 운전자의 인적요인(Human Factor)에 의한 사고비율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고속도로 교통사고 추정에 대한 기존연구들은 주로 특정지점에서의 도로기하구조조건, 교통 및 환경조건들과 교통사고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형의 개발에 초점을 두어왔으며, 운전자 조건을 고려한 교통사고 추정에 대한 연구는 지금까지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은 도로와 교통조건이 양호한 구간에서의 높은 교통사고율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기 ${\cdot}$ 종점 쌍간의 통행길이분포(Trip Length Frequency Distributions)를 이용하여 공간적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운전자의 심리적 ${\cdot}$ 생리적 인적요인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으로 교통사고발생율을 예측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고분석변수로 구간교통량에 대한 사고위험교통량의 비율인 잠재사고비율(PAR:Potential Accident Ratio)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으며, 서해안 고속도로에 대한 사례분석결과 PAR, 교통량과 교통사고는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LS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교통문화지수의 영향관계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f Influence Relationship on Traffic Culture Index(TCI) utilizing PLS-SEM(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김태호;신예철;임삼진;박준태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8-83
    • /
    • 2013
  • The traffic culture index is used as a major index in evaluating the traffic safety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and also serve as important data fo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traffic safety services. However, as the traffic culture index gradually became a standard for comparison among local governments, in part, certain cases arose which questioned the grounds for selecting variables for the index and the validity of the index in terms of its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on items. This study analyzed the index's influential relationship by utilizing a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2011 traffic culture index. A variable-linking model was created which recognized the relativity taking into account of the indirect effects between latent variables and this model was proven to be a model suitable in explaining the traffic culture index with a 97.8% explanation power. It was found that traffic safety(0.530), driving behavior(0.527), pedestrian behavior(0.187) and vulnerable road users(0.147), in such order, had an effect on the traffic culture index. It was also found that human casualties due to traffic accidents under "traffic safety" and traffic light compliance rate under "driving behavior" had an important effect. The study showed that motor vehicle share in illegal parking in school zones did not have a valid explanation power regarding "vulnerable road users".

교통사고심각도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곡선부가 포함된 국도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Traffic Accident Severity - Case Study : Arterial Included Curve Section -)

  • 박재홍;윤덕근;성정곤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4-89
    • /
    • 2013
  • The main causes of traffic accidents can be classified by 3 factors - human error, vehicle deficiency and road environmental problem and most accidents occurs not only 1 factor but combination of 2 or 3-factors. Among these factors, road environmental fact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due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cars and road users and road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30% of total accidents approximately. The 5 years traffic accidents data analyzed to verify the accidents severity on Korea National Highways. In order to analyze the severity, Ordered Probit Model was used. As a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model the number of lane, neighbor road environments, sight distance, vertical grade, lane width, shoulder width and traffic volume were used and as a dependent variables the minor injuries, serious injuries and fatalities were used. Research results shows that sight distance and lane width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for the traffic accident severity and lesser sight distance and lane width shows greater traffic accident severity.

구급차 안전사고에 대한 공분산 구조분석 (A Study on Behavioral Factors for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by Coefficiencial Structural Analysis)

  • 조진만;이태용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5-100
    • /
    • 2000
  • This is a study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safety of ambulance driving and traffic accidents and to provide statistic information for the various factors to reduce the ambulance traffic accidents. The major instruments of this study were Korean Self-Analysis Driver Opinionnaire. This Questionnaire contains 8 items which measure drivers' opinions or attitudes: driving courtesy, emotion, traffic law, speed, vehicle condition, the use of drugs, high-risk behavior, human factors. The total of 145 divers were investigated ambulance drivers in Taejon City and others(6 City) from 2000. 5. July to 2000. 11. July.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th analysis - with SPSS and AMOS package program. The result are as follows : 1. It have suggested that risk factors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 much affected with emotion and speed control on safety ambulance driving(Y(Accident) = $0.88{\times}1$(Emotion Control) + $0.92{\times}2$(Speed) - $0.46{\times}3$(Traffic Law)+E). 2. It have suggested that risk factors of ambulance traffic accident much affected with emotion and speed control on safety ambulance driving(Y(Accident) = $0.398{\times}1$(Emotion Control) + $0.500{\times}2$(Speed) - $0.263{\times}3$(Traffic Law)+E) by coefficiecial structural analysis.

  • PDF

교통사고 조사의 과학화 기술개발 (Scientific Technical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 홍유식;이채우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5-42
    • /
    • 2008
  • 요즈음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IT 기술을 이용한 교통사고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뺑소니 교통사고 발생하면 가해차량을 현장에서 찾기가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RFID TAG를 이용해서 뺑소니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에 차량에 내장된 RFID 리더기가 상대방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는 모의실험을 하였다. 뿐만 아니라, PDA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현장에서 운전자가 교통사고현장 자료 및 운전자 인적사항을 경찰서나 보험회사에 전송할 수 있는 SW를 모의실험하였다. 모의실험결과 통과차량속도가 저속인 경우에는 70%이상 차량번호를 익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