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traffic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32초

감염병으로 인한 격리조치에 관한 소고 (A Brief Study on Isolation Meaurse caused by Infectious Disease)

  • 박정일
    • 의료법학
    • /
    • 제16권1호
    • /
    • pp.289-312
    • /
    • 2015
  • 감염병의 전파력은 무섭다. 누구를 통해, 어디에서 감염되었는지를 알아내는 것 또한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오늘날은 교통의 발달로 인해 우리나라에는 없었던 바이러스성 감염병이 유입되고 전파될 확률도 그 만큼 커져있는 상황이다. 감염병은 무엇보다 그것이 유입되기 전에 그 예방과 차단을 철저히 해야 한다. 그럼에도 유입된 경우에는 국가는 조속히 그 확산을 방지할 책무가 있다. 어떤 경우에는 감염병이 지역과 국가를 넘어 세계적 유행 상황이 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그 어느 때보다 국가 간의 협력과 세계보건기구 등의 역할이 중요해 진다. 그렇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국가의 역할이 감소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 감염병예방법과 검역법은 감염위험이 있는 자 외에, 감염위험 의심자에 대해서도 격리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격리는 더 이상의 감염을 막기 위한 매우 실효적인 수단이지만, 또한 격리의 방법과 내용 등에 비례하여 그 대상자의 자유권은 제한된다. 특히 감염병이 빠르게 유행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이에 편승하여 자의적, 불합리한 격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다. 이 글은 이런 시각에 기초하여 격리를 통한 공중위생 안전의 확보와 인권의 조화 문제를 생각해 보았다.

  • PDF

약침의 한방의료행위성에 대한 검토 (Legal Issues on Pharmacopunture)

  • 정규원
    • 의료법학
    • /
    • 제19권1호
    • /
    • pp.3-20
    • /
    • 2018
  • 약침행위는 한방의료에서 행하여져 오던 침구요법과 약물요법을 결합한 요법으로 최근에 특히 교통사고 환자를 중심으로 한방의료에서 행하여져 오고 있다. 하지만 약침행위에 사용되는 약제가 무엇인지도 분명하지 않으며 약침행위가 어떠한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부작용의 위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우리나라에서는 양방의료와 한방의료를 구분하여 규율하고 있으며 양자의 규율방식 또한 상이하다. 특히 새로운 의료기술이 개발된 경우 엄격한 임상시험절차를 거쳐 정당한 의료행위로 허가되는 양방의료의 경우와는 달리 한방의료는 그와 같은 절차가 존재하지 아니한다. 한편 <의료법>상 무면허 의료행위는 의료면허가 없는 자가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의료면허가 있는 의료인이 자신의 면허영역 이외의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양방의료와 한방의료의 경계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는 매우 중요한 논의 중 하나이다. 의료행위가 면허에 의하여 허가되며 보호받는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의료행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인간의 생명 신체에 대한 침해 가능성 때문이다. 새로운 의료행위가 출현한 경우, 그것이 양방의료의 영역이건 한방의료의 영역이건 정당화의 근거로 인간의 생명 신체에 대한 위험성을 항상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이루어지는 약침행위는 아직 그러한 검증을 거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된다.

주관적 운전부하 수준과 PG기법 적용효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Driving Workload and Effects of PG Technology)

  • 오주석;황봉기;이순철;이종학;김종민;노관섭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45
    • /
    • 2011
  • 본 연구는 PG기법을 적용한 도로환경의 개선이 운전자의 도로이용 만족도 및 주행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도로 개선여부에 따른 만족도나 행동의 차이가 운전자의 주관적 운전부하 수준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알아 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전반적으로 PG기법을 이용한 도로 개선 후 조건에 대해 운전자들이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위험구간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감속의 패턴도 더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주관적 운전부하 수준에 따른 감속 양상은 도로의 물리적 조건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며, 주관적 운전부하가 높은 운전자들은 PG기법 이후 정보제공 부문의 개선사항에 대해 오히려 불만족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운전자의 특성에 따라 유익한 정보가 때로는 운전을 방해하는 자극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PG기법의 활성화 및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PG기법과 관련을 가지는 인적요인, 특히 교통약자에 집중한 후속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IEEE 802.15.6 WBAN 환경에서 QoS를 고려한 실시간 트래픽 성능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al Time Traffic Performance Improvement Considering QoS in IEEE 802.15.6 WBAN Environments)

  • 노승민;김정호;강철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8권4호
    • /
    • pp.84-91
    • /
    • 2011
  • 최근 IEEE 802.15.6 을 중심으로 표준화가 진행중인 WBAN (Wireless Body Area Network) 은 인체 내부 혹은 인체로부터 3 미터 이내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목적으로 하는 네트워크이다. 근거리 무선네트워크에서 효과적인 QoS 조절기법과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한정된 대역폭에서의 효율적인 관리는 사용자 뿐 아니라, 통신네트워크의 부하측면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6 고속 WBAN 표준에서, 한정된 데이터에 대해 수퍼프레임의 조정을 통해 효율적인 대역관리를 해주는 동적 할당 알고리즘과 가중치 공평 큐잉(WFQ:Weighted Fair Queue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것은 Quality of Service (QoS)를 기준으로 한 큐잉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QoS의 질적인 요소에 대해 robust한 성능을 나타내며 공평성을 유지하고 시스템 성능을 최대화하는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다. 제안한 알고리즘에 대한 성능평가 결과, 동적 할당을 적용한 경우 전송대역폭은 최대 5배가 확장되었으며, 가중치 공평큐잉을 적용한 경우 throughput은 최대 24.3%가 개선되고, delay bound 문제가 해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19 구급대를 이용하여 야간에 응급실로 내원한 환자 현황 분석 - 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patients who transferred to the emergency room by 119 Rescue service at night - Focused on the Emergency Center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윤종근;김건남;김경완;정용태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7-126
    • /
    • 2004
  • In general, the patients who transferred to the hospital by 119 rescue service at night go to the emergency room(ER) of general hospital rather than that of their nearby the 1st(clinic) and 2nd(local hospital) hospital. And the hospital is mainly selected not by 119 EMST but by patients or his/her conservators. Therefore we had studied retrospectively with emergency situation diary and medical chart for 697 patients of being transferred to one emergency medical center for 6 months since January 2004, an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280 patients(42.5%) of being transferred hospital at night by 119 rescue service were not emergency case and their average staying time in hospital was about $7.15{\pm}10.06$ minutes. 2. Transfer time was distributed in each time intervals of 1819, 2021, 2223, and 2401 and patients ratio in each intervals were 15.1%, 17.8%, 16.4%, and 15.2%. 3. In response of ambulance, the average time from the spot to the hospital was $14.53{\pm}9.27min$. and average distance of that was $7.95{\pm}9.21km$. 4. Diseases rather than traffic accidents or traumatic injury were main causes of ambulance calling and its value was 533(76.5%), and accidents were mainly occurred in patients' house and its value was 479(68.7%). 5. In time of transfer by 119 rescue service, hospital was mainly selected by patient/conservator and its value was 648(93.0%). In result. the hospital was selected not by EMST but by patient/conservator. 6. The case that the 1st grade EMT was rode in ambulance was 161(23.1%), and the case that 2nd EMT and emergency team member who educated for emergency were rode in ambulance were 504(72.3%). So the number of the 1st grade EMT was short in fire station of Kwangju metropolitan city than other city. 7. The first aids for patients before reaching hospital were limited to oxygen inhalation, airway control, and BLS for maintaining limbs and spine. So it seems to be a simple patients transfer. Consequently, to establish an efficient emergency medical system, it has been thought that it should be advanced a moderate education and public information about the appropriate use of emergency medical system toward citizen, and also need the hospital selection by the patients categorizing standards for 119 rescue service member, securing the 1st grade EMT, appropriate first-aids education, and securing professional human power in emergency room of the Ist(clinic) and 2nd(local hospital) hospital at night.

  • PDF

지반침하로 인한 지하공동 복구재료의 현장적용성 평가 (Filed Applicability Evaluations of Restoration Material for Underground Cavities Formed by Ground Subsidence)

  • 방성택;백승주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11
    • /
    • 2020
  • 최근 도심지에서 많이 발생되는 지반함몰은 교통흐름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재산적인 손실과 함께 인명피해도 심각하게 발생되는 등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함몰된 지반을 긴급하게 복구하여 추가 피해에 대비하여야 하는데 현재 국내의 지반 함몰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미흡하고 함몰 원인의 정확한 규명 및 재발생에 대한 대책이 미흡한 실정이다. 함몰된 지반의 복구방법으로는 함몰된 흙을 재사용하여 되메우기를 하거나 기타 성토재료를 사용하여 되메움 한 후 도로를 포장하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지반함몰을 일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에 불과할 뿐 근본적인 해결책으로 볼 수 없다. 또한 이러한 방법으로 보강된 지반은 되메움재의 불량 및 다짐불량 등으로 인하여 추가적인 지반함몰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없다. 이 연구에서는 지반 침하로 발생된 지하공동의 복구에 활용할 수 있는 복구재료로써 개량된 준설점토의 공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친환경고화재(EHSM) 및 화강풍화토의 혼합비율을 변화시켜 제작한 공시체에 대한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복구재료의 환경변화에 따른 강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동결융해시험을 수행하고 각 단계별 시험이 종료되면 강도분석을 위하여 일축압축강도 시험 및 동탄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복구된 지반의 강도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동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복구된 지반의 개량효과를 검증하였다.

전국 한방병원의 장기입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014년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실태조사(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Long Term Hospitalization in Korean Medical Hospital and Its Affecting Factors - Based on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ine Report In 2014 -)

  • 이선동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1-53
    • /
    • 2018
  • Objectives : It was to classify and its affecting factors to the patients of Korean medicine hospital with short term and long term hospitalization. Methods : I focused on long-term hospitalized patients. I was conducted on 344 hospitalized patients among the original data of usage and consumption of Korean medical report in 2014. Among those patient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long term inpatients(131 patients) and short term inpatients(213 patients) based on 16 days of hospitalization.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ization, treatment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long term hospitaliza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of the subjects, the top 21 diseases and the distribution of human bodies, side effects and kinds of Korean medicine. Results :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hospitalized patients due to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all 21 diseases and institutional fees, experience of Korean medical treatment due to traffic accid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education level, residence, income level, type of medical insurance, whether private insurance, type of medical treatment for Korean medicine, medical expenses for car accidents, reason for dissatisfaction with treatment.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in model 1 where confounding factors were differently controlled. In model 2,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among those who earned 5,000,000 Korean won or more, and among those with nerve diseases.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de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among the unemployed and others in model 2. In model 3, the number of long term patients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in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age, among those who earned 5,000,000 Korean won or more, and among those with nerve diseases, while the number decreased b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unt among the married.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short term and long term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ith Korean medicine hospita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specially it was significant by age, over 5,000,000won Income per month, nerve disease, but decrease significant married.

21세기 초 한국의 인구구조 및 질병양상 (Perspective on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Health Problems of Koreans in 21st Century)

  • 김정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175-185
    • /
    • 1994
  • In order to anticipate disease pattern and health problems of Koreans in the 1st part of 21st century (by the year 2020), transition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mortality and morbidity data during the last 30 years Koreans have experienced were reviewed. On the actual basis of epidemiologic transition process that has undergone during last 30 years since 1960 along with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selective national health policies (family planning, medical insurance and etc.), following changes can be expected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current rate of progress is maintained.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alone will be doubled the population of 1960 by the year 2013 : aged Population older than 65 years will be increased from 3.3% in 1960 to 11.4% in 2020 with increased average age of the population from 23.6 year in 1970 to 39.2 year in 2020; urban population from 28% in 1960 to 83% in 2005. GNP/capita has increased tremendously from U.S. $120 in 1970 to $6,749 in 1992, and the government estimated it would be 519,350 in 2010 and $29,460 in 2020. Growth and developmental indices of childre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social status of women also showed a remarkable improvement and anticipated to make futher progress. Leading causes of mortality and morbidity have shown a striking change during the last 30 years, from infectious diseases to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nd man-made injuries. Occurrence of communicable diseases may become minimal although viral hepatitis, venereal diseases Including AIDS, and well adapted herpes virus infections will maintain their endemic level. Newly evolving infectious agents, however, should be carefully monitored because of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and human behaviours. Tuberculosis may increase up to the epidemic level when AIDS prevails. Ischemic heart diseases may increase steadily with increasing occurr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whereas cerebrovascular diseases may be decreased slowly. Musculaskeletal diseases which contribute a lot to the disability of aged people may be a major health problems due to increased aged population. Mental diseases, particularly that caused by alcohol and drug abuse, and senile dementia may become a prominent health problem. On the other hand injuries caused by traffic and industrial accidents that have shown most striking increase till now may be decreased considerably by intensive intervention. The health policies in the 21st century will be oriented to the health promotion for good quality life rather than life-savings.

  • PDF

장대터널에서의 운전자 시각각성변화 분석연구 (육십령터널을 대상으로) (Analyzing drivers' visual response variation in very long expressway tunnel ; the Yuksimnyeong tunnel)

  • 김주영;김현진;장명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7-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중부고속도로 대전${\sim}$통영구간의 장대터널인 육십령터널(L=3.1km)을 대상으로 터널진입부에서부터 터널구간주행을 포함한 터널 진출부까지의 운전자의 시각적 각성수준(Workload)변화를 뇌의 후두엽부분의 생체신호 중 베타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실험자는 총 10명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전자의 시각적 각성수준은 터널 진입전 200m지점과 비교시 터널입구에서는 약 4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대터널내에서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각 각성값은 터널진입전 200m 지점과 비교시 34.5%증가하였다. 셋째, 장대터널구간을 200m 단위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터널진입후 1.0km구간과 2.4km구간에서 타 구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장대터널내에서 운전자는 안전한 운전을 위해 평균적인 시각 각성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때, 시각 각성수준이 터널주행시의 평균수준 이하로 내려간다는 것은 적절한 주행상황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구간은 터널을 주행 중인 운전자가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개연성이 존재하는 지점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신도시의 인구 및 주거특성 변화: 분당, 일산 등 1기 신도시를 중심으로 (Changes in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New Towns in Korea: Focused on Five New Tow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윤정중;김은미
    • 토지주택연구
    • /
    • 제5권4호
    • /
    • pp.235-246
    • /
    • 2014
  • 본 연구는 수도권의 1기 신도시가 건설된 이후 지난 20여 년간 신도시 내의 주거 및 인구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10년까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첫째, 신도시 건설당시의 계획목표와 현재를 비교분석한 결과, 인구목표는 평촌을 제외하고 2.1~28.6% 정도 초과하고 있는데 비해 세대수는 14.3~73.8% 증가하여 인구대비 세대수 증가가 더 많았다. 주택유형별로는 단독주택의 경우 면적대비 87.9%, 세대수 대비 130.3%로서 세대수 증가율이 더 컸으며, 이는 다가구 다세대주택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동주택은 계획면적 대비 95.6%, 세대수 대비 113.4%로서 대체로 목표에 근접하였다. 2010년 신도시 총인구는 1,248천명으로 이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시 인구 감소량 818천명의 152.6%, 경기도 인구 증가량 5,224천명의 23.9%에 해당하는 규모로서, 이는 간접적이나마 1기 신도시 건설이 서울 인구의 수도권 분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둘째, 5년 단위로 신도시의 인구 및 가구특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인구는 도시가 완성된 이후 2005년을 정점으로 다소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장년층 및 노령인구가 증가하였고, 여성인구가 다소 많은 대졸이상의 고학력 도시이며, 가구원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특히, 1세대 가구의 증가와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또한 총주택의 83~99%를 아파트가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 건축년수가 20년이 경과되었다. 거주지역 외에 주택을 소유한 가구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전국 및 수도권에 비해서 높은 수준이다. 전세가구 비율은 분당 및 평촌을 제외하고는 다소 감소하였고, 월세가구 비율은 신도시 모두 큰 폭으로 증가하여 '전세감소-월세증가'라는 임차주택시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