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drivers' visual response variation in very long expressway tunnel ; the Yuksimnyeong tunnel

장대터널에서의 운전자 시각각성변화 분석연구 (육십령터널을 대상으로)

  • 김주영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원) ;
  • 김현진 (교통안전공단 교통안전연구원) ;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9.02.28

Abstract

This research analyzed the changes of drivers' visual workload with beta wave of bionic signals from brain's occipital lobe from entrance to exit section of the Yuksimnyeong tunnel which is 3.1km long in Daejeon-Tongyeong section of Jungbu expressway. There are 10 subjects who Participate our experim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rivers' visual workload is higher about 41% in entrance section of the tunnel than 200m in advance of the section of the tunnel. Second, it is higher than 200m in advance of the section of the tunnel by 34.5% that the value of the drivers' visual workload who is driving in the tunnel.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unnel into 200m unit section, it i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other sections' at the 1.0km and 2.4km section from the entrance of the tunnel. If drivers sustain average visual workload for safe driving in very long tunnel, it's not desirable environment that drivers' visual workload goes under the average workload. Therefore, it would be the section where drivers who is driving in tunnel could cause a traffic accident.

본 연구에서는 중부고속도로 대전${\sim}$통영구간의 장대터널인 육십령터널(L=3.1km)을 대상으로 터널진입부에서부터 터널구간주행을 포함한 터널 진출부까지의 운전자의 시각적 각성수준(Workload)변화를 뇌의 후두엽부분의 생체신호 중 베타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피실험자는 총 10명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전자의 시각적 각성수준은 터널 진입전 200m지점과 비교시 터널입구에서는 약 4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대터널내에서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각 각성값은 터널진입전 200m 지점과 비교시 34.5%증가하였다. 셋째, 장대터널구간을 200m 단위구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터널진입후 1.0km구간과 2.4km구간에서 타 구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장대터널내에서 운전자는 안전한 운전을 위해 평균적인 시각 각성수준을 유지한다고 가정할 때, 시각 각성수준이 터널주행시의 평균수준 이하로 내려간다는 것은 적절한 주행상황이라고 볼 수 없다. 따라서 이 구간은 터널을 주행 중인 운전자가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개연성이 존재하는 지점으로 볼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도로환경팀(2008), '2007년 교량 및 터널현황', 건설교통부
  2. 정충근 . 서승환 . 원제무(2002), '연속터널구간에서 터널간격에 따른 속도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2호,대한교통학회, pp.49-58
  3. 장현봉.장덕형(1998), '터널부 교통류 특성 및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6권 제3호, 대한교통학회, pp.15-24
  4. 김호영(1999), '고속도로 터널구간에서의 운전자 시각행태 분석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공학석사 학위논문
  5. 유경수(1995), '고속도로 교통지체구간 개선방안 연구', 한국도로공사
  6. 신용균 . 이건호 . 강수철(1996), '고속도로 기하구조가 운전자 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도로교통안전협회
  7. 김주영(1999), '고속도로 합류부에서 운전자의 심리,생리적 작업 부하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17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69-79
  8. 정봉조외(2002), '운전자 작업부하를 고려한 최장 허용 직선길이 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제20권 제2호, 대한교통학회, pp17-26
  9. 남궁문ㆍ서승환(1996), '주행속도 및 시각 운전자의 인지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6권 III-5, pp.379-38
  10. 한국도로공사(2003), '터널구간 조명 및 교통안정성 개선방안 수립 기초연구'
  11. 김종민(2006), '터널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장대터널내에서의 특성연구', 한국도로공사
  12. 이근희(1994), '인간공학', 상조社
  13. 정영해 외(1998), '통계강의 및 자료분석', 광주사회조사 연구소
  14. Hirata and Yai(2005), 'An Analysis of Driver's Awareness Level And Support System While Driving in Long Urban Expressway Tunnel', TRB Annual Meeting
  15. Bosurgi G., D'Andrea A.,and Pellegrino O.(2005), 'A Methodology to Study Driving Behaviour Based on the Visual Activity', TRB Annual Meeting
  16. D. Diamantidis et al.(2000), 'Safety of Long Railway Tunnels', Reliability Engineering and System Safety 67
  17. K. Jurgen Bieger, DB Netz AG(1999), 'Tunnel Rescue for New Main Lines of DB', Tunnel Fires and Escape from Tunnels, int. Con., France, pp.543-550
  18. R. Cooper(1980), 'EEG Technology', London Boston Butterworths
  19. Wickens(1984), 'Engineering psychology and human performance',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