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sensory evaluation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2초

대잎 분말을 첨가한 모닝롤의 품질 특성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Rolls with Bamboo Leaf Powder)

  • 김미경;송병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39-645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rning-rolls containing various levels (0, 4, 8, and 12%) of bamboo leaf powd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orning-roll volume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bamboo leaf powder, and as the bamboo leaf powder content increased, the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p<0.05). For the amylogram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bamboo leaf powder to the flour reduced peak viscosity, holding strength, final viscosity, and setback.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control (0%) and 8% addition of bamboo leaf powder had the best scores in taste, color, flavor, texture, appearance, softness, wetness, residual mouth feel, and overall acceptability. Thus, it appears that by using 8% additions of bamboo leaf powder, the functionality, nutritional composition, taste, color, and flavor of morning-rolls containing bamboo leaf powder can be developed. This result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better quality bamboo-leaf morning-rolls.

청량음료용 고강도 감미료의 혼용 비율에 따른 관능적 특성 및 저장기간 산정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Shelf-life by $Q_10$ Values with Mixtures of High-Intensity Sweeteners for Beverage during Storage)

  • 최선영;장은경;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35-242
    • /
    • 2005
  • 본 실험에서는 설탕과 유사한 단맛 특성을 보이는 고강도 감미료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기준 되는 설탕 용액과 동일 단맛 강도를 주는 아스파탐의 농도를 설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과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과 스테비오사이드의 비율을 각각 5:5, 7:3, 9:1, 10:0으로 달리하여, 증류수와 pH 3.2인 구연산 완충액에 용해시킨 여러 감미료 용액을 제조하여 혼합 고강도 감미료의 단맛 및 기타 여러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강도 감미료를 혼용 사용함으로써 단맛과 삼킨 후 단맛은 유의적으로 강하게 평가되었으며, 깨끗한 맛, 떫은맛, 쓴맛, 금속맛, 뒷맛(단맛이외의 맛)은 기준용액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아스파탐에 아세설팜칼륨을 5:5로 혼용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관능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저장 기간 동안 온도에 따른 구연산 완충액상에서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에 따른 저장 기간 및 단맛 강도의 변화를 조사해보았다. 구연산 완충액(pH 3.5)에 감미료의 혼용 비율을 달리하여, $40^{\circ}C$$50^{\circ}C$에 저장하면서, HPLC로 감미료의 $20\%$ 가 분해된 시점에 이른 시간을 계산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Q_10$ 값을 산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20, $30^{\circ}C$에서의 저장기간을 예측하였다. $Q_10$ 값은 2.01-2.25 이었으며, 이 값들을 토대로 저장기간을 계산하면, 아세설팜칼륨의 혼용 비율이 높아질수록 저장기간이 길어져서, $50\%$로 혼용하였을 때 가장 긴 저장기간이 산정되어 $20^{\circ}C$에서는 178일, $30^{\circ}C$에서는 88일이 예측되었다. 아스파탐과 아세설팜칼륨의 혼용비율을 5:5, 7:3, 9:1로 달리하여 구연산 완충액 상에 녹인 후, 20, 40, $60^{\circ}C$에서 저장하였다 크기 추정법을 이용하여 단맛을 측정한 결과 20일간의 저장 기간 동안 $20^{\circ}C$$40^{\circ}C$에서는 단맛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건 횟수에 따른 우엉의 이화학적 변화 및 관능적 특성 연구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 이금양;손양주;전유호;강희진;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36-344
    • /
    • 2015
  • 우엉은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격이 저렴하고 재배가 쉬운 특징이 있어 각광받고 있으나, 아직은 가공 제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실정이다. 우엉과 같은 근채류의 일종인 인삼, 도라지, 더덕 등이 증숙 및 건조과정 의해 생리활성 성분이 증가된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증건 공정을 우엉에 적용하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우엉의 활용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증건 우엉을 제조하기 위하여 증숙(3 h, $90-95^{\circ}C$)과 열풍건조(20 h, $60^{\circ}C$)를 9회 반복 수행하여 시료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 항산화 활성 및 관능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 함량(wet basis)의 경우, 81.95%의 함량을 보였으며, 증건함에 따라 감소하여 최종적으로 7.64%의 함량을 보였다. 일반성분 함량을 건량으로 환산한 결과, 생 우엉의 탄수화물 함량은 85.58%이었으며, 이후 점차 감소하여 9회 증건 시 77.80%의 함량을 보였다. 한편, 조섬유의 경우 0회 증건시 10.14%의 함량에서 가공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최종 9회 증건한 우엉에서 26.22%의 조섬유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초기 8.53%에서 점차 증가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16.69%의 함량을 보였으며, 조지방 역시 증건과정을 거침에 따라 증가하여 0회 증건 시 0.74%에서 9회 증건 시 1.72%의 조지방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회분 함량은 0회 증건 시 5.16%에서 9회 증건 시 3.79%로 감소하였다. 추출 수율은 생 우엉에서 68.95%이였으나 이후 감소하여 9회 증건 우엉에서 27.10%를 나타내었다. 총 수용성 당, 환원당, 이눌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 생 우엉은 총 수용성 당의 약 86%가 이눌린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증건 과정을 거침에 따라 열작용에 의해 이눌린이 분해되고 환원당이 생성되어 4-9회 증건 시료에서 총 수용성 당의 81-96%가 환원당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말색도의 경우, 명도는 초기 84.49에서 9회 증건 처리 시 39.41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적색도와 황색도는 4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열수추출물의 갈색도는 7회 증건 처리 시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사포닌은 5회 증건 시료에서 6.17%의 최대 함량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은 3, 5회 증건 처리 시료에서 약 18-19 mg GAE/g의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유사하게 DPPH, ABTS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FRAP활성에서도 3, 5회 증건 시료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관능평가 결과 생 우엉 및 초기 증건 시료에서 풋내, 뿌리채소 냄새, 쓴맛, 떫은, 금속성의 특성이 있었으나, 이후 증건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반면에 단 냄새, 구수한 냄새, 캐러멜 향미 및 바디감의 특성 정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생 우엉의 경우 이눌린의 생리활성 효과가 기대되며, 3-5회 증건한 우엉에서는 총 폴리페놀 및 사포닌 함량의 증가로 인한 높은 항산화 활성과 단맛을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우엉 증건 횟수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변화 및 관능적 특성을 확인하였으며, 우엉의 이용 가능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카롱 제조 시 가바쌀 가루와 자일로스의 첨가에 따른 품질 특성과 생리 활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Macaroons supplemented with GABA(γ-Aminobutyric Acid) Rice Powder and Xylose)

  • 최수영;임수연;정우석;유경미;황인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22-829
    • /
    • 2015
  • 본 연구는 자일로스와 가바쌀 가루를 첨가한 마카롱을 제조한 후 마카롱의 품질 특성과 생리 활성을 분석함으로써, 대체감미료와 곡류를 이용한 기능성 디저트류 개발을 위한 기반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색도의 분석 결과, 명도는 가바쌀 가루와 자일로스의 첨가에 따라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자일로스와 가바쌀 가루를 첨가한 경우, 자일로스의 카라멜 반응과 가바쌀에 함유된 아미노부티르산의 마이얄 반응 촉진 작용으로 인해 갈변이 더 활발하게 일어남으로써 적색도와 황색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당함량은 자일로스로 설탕을 일부 대체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마카롱에 대한 총 페놀 함량, ABTS 및 DPPH 분석 결과, 설탕의 일부만 자일로스로 대체한 군(GABA0)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가바쌀 가루첨가군(GABA50, GABA70)은 가바쌀 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의 영향을 받아 첨가량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의 분석 결과, 자일로스와 가바쌀 가루를 첨가한 마카롱은 표면 경화 현상이 강화됨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부서짐성과 깨짐성이 낮아지고, 경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자일로스의 첨가는 단맛을 낮추고, 종합적 기호도를 감소시켰으나(p<0.05), 가바쌀 가루의 첨가는 색을 어둡게 하고, 관능적으로 감지되는 조직감의 강도를 감소시키며, 종합적 기호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자일로스와 가바쌀 가루를 모두 첨가함으로써 표면의 색이 어둡고, 부드러운 내부 구조를 지닌 GABA70이 가장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바쌀 가루와 자일로스를 이용하여 마카롱을 제조할 경우, 항산화성이 향상되고, 관능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기능성 마카롱을 개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늘맛 조미 김의 산화안전성 및 저장특성 연구 (Oxidation Stability of Lavers Made with Garlic-Salt and Their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 전예숙;박수진;최미경;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3-89
    • /
    • 2008
  • 건조된 마늘을 분쇄하고 비율을 달리하여 소금과 혼합하여 마늘 소금을 개발하였고, 배소 시 김에 도포하여 마늘맛 조미 김을 개발하여 1, 6, 12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변화 및 지방산 산화정도를 측정하였다. 저장기간 및 마늘 첨가량에 따른 일반성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늘 맛김의 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에 따라 ${\alpha}$-tocopherol은 감소하였고 특히 마늘 33% 첨가 시 감소량이 가장 적었다. ${\gamma}$-Tocopherol 함량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또한, 지방산 중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나 저장기간 증가에 따라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TBARS 함량 변화는 대조군이 크게 증가한 반면, 마늘 맛김에서는 산화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마늘 파우더 33% 첨가는 12주 후에도 조미 김의 TBARS 생성량을 강하게 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33% 마늘 소금을 첨가한 김이 색과 향 면에서 대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제조한 마늘 소금으로 조미 김을 제조한 결과, 소금 대비 33%로 제조한 김이 다른 첨가군에 비교해 성분 및 관능적으로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맛에 대한 감도와 MSG 첨가에 따른 맛의 강도 변화 (Taste Sensitivity and Changes in Taste Intensity with the Addition of MSG)

  • 구난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97-203
    • /
    • 1998
  • Sucrose, NaCl, citrate, caffeine 및 MSG의 용액을 준비한 뒤 관능검사를 통하여 최소감미량을 측정하였고, 네 가지 기본맛과 MSG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세 가지 다른 강도의 기본맛 용액과 MSG를 혼합시킨 뒤 맛의 강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기본맛의 최소감미량은 단맛은 0.451%, 짠맛은 0.01%, 쓴맛은 0.005%, 그리고 신맛은 0.004%로 측정되었고, 최소감미량 농도가 가장 큰 것은 단맛, 가장 작은 것은 신맛으로 나타났다. MSG의 최소감미량은 0.033%로 짠맛 최소감미량의 약 3배 정도였다. MSG첨가에 의한 네 가지 기본맛 성분의 맛강도 변화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도 10인 10% Sucrose 용액에 0.8%의 MSG가 혼합되었을 때 단맛 강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MSG는 Sucrose의 단맛을 대체로 저하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aCl용액에 대해서는 농도에 상관없이 MSG가 짠맛 강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trate용액에 대해서는 신맛강도를 약간 저하시켰으며, 그리고 caffeine용액에 대해서는 MSG가 오히려 쓴맛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효소저항성 쌀전분의 첨가가 마들렌의 품질 및 텍스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Enzyme-Resistant Rice RS3 on Qualit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adeleine)

  • 김완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1-201
    • /
    • 2010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of retrograded starch (RS3) isolated from rice flour into Madeleine which is easy to make, supply enough energy and micro nutrients with adequate drinks, and prevent an adult disease. This could be a popular food to anyone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who avoid rice and become high value-added, processed rice foods. For this, control Madeleine was made from wheat flour and an experimental one was made from 5 or 10% rice RS3 addition as well as wheat flour. Four different types of rice were produced from Premium Ho-Pyong Rice, that is, dry milled rice flour(RFD), soaked for 8 hours and milled, followed by air-dried rice flour(RFW), rice starch(RST), and retrograded rice starch or enzyme-resistant starch(RS3). The results found were as follows: Proximate compositions were decreased with soaking to make RFW, RST and RS3, compared to RFD. RS3 had the highest L, +a and ${\Delta}E$ with the lowest +b, changing it to a dark color, explaining the need for heat control during processing. At $80^{\circ}C$, the swelling power was shown in the order of RST>RFW>RFD>RS3 and the solubility of RS3 was the high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iscosities of peak, trough, cold, breakdown and total setback of all rice samples using RVA (p<0.001). Due to the pH of RS3, the Madeleine batter became acidic (p<.01) and expanded, resulting in more air cells and open texture. With an increasing RS3 level in Madeleine, several textural attributes among 'fresh' and 'stored at room temperature' Madeleine samp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using Texture Analyzer. While the addition of RS3 in Madelein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ensory evaluation, indicating RS3 isolated from rice as a beneficial ingredient for processed rice products.

당뇨병환자의 메뉴개발 요구도 및 보리이용 당뇨식단 개발 (Need for Development of a List of Meals for Diabetic Patients and Development of Barley-Based Diabetic Meals)

  • 류지혜;노정옥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1권5호
    • /
    • pp.551-561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list of meals and standard recipes using barley for diabetic patients. The degree of interest and requirements of diabetic patie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development of meals. The ingredients of the meals were selected through the diabetic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While developing a list of meals, dietetic therapies for diabetic patients were considered. After developing 15 kinds of meals and modifying them through sensory evaluation, a standard recipe was completed. In the standard recipe, the menu name, the ingredients, quantity, and recipe were stated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s were indicated. Photographs of the meals were included. The calorie prescription for the diabetic patients was aimed at elderly women, that is, those 65 years old or above, based on research showing this to be the average age of diabetics. The prescribed calories were 1,500 kcal based on the food exchange list. Weekly lists of meals including the developed dishes were made for diabetic patients. The list were modified after consultation with a clinical nutritionist. When completed, one meal item was selected for each day and cooked. A photograph was taken and presented diabetic patients. This article presents the standardized recipes of the developed list of meals and applies them to modifying the diabetic diet, with an aim to be of service to diabetic patients attempting to meet their dietetic therapy goals. We also provide basic data on institutional food services for diabetic patients and nutrition education.

조선 허리띠와 패물(佩物)의 원류에 대한 연구 (Study on Origin of Belt and Trinkets of the Joseon Dynasty)

  • 이영재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905-917
    • /
    • 2014
  • This study clarifies that Scytian waistband had flowed into the Jeoseon Dynasty, and it was settled down to saezodae(which is male belt) and norigae(which is female accessory) and pocket in the Joseon Dynasty. Historical records and relic materials are examined and analyzed by quality assessment. 5 experts performs sensory evaluation for 17 pictures of Scytian waistband, and 42 of norigae, 24 of pocket, 6 of small knife, 11 of belt in the Joseon Dynasty, and finally similarity in form and purpose of use between both of them are come out.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cytian waistband made with leather and metal was carried in the girdle. Men in the Joseon Dynasty carried various forms of belts as position and jobs such as saezodae, kwangdahae, dongdahae, doa. Trinkets of hopae, jangdo, pocket, etc. are put on belt or separately attached. Belt was not put on the women dress, but more various trinkets were used than those on men dress. Norigae, pocket, and jangdo were used practically and decoratively. Second, The types of Scytian waistband were excavated from the tumulus in the age of three states in Korea, and their form and function are same. Belt of the Joseon Dynasty carried below their chest and up navel, of which the wearing position went upper than before. As women jeogori was shorter, their belt is not necessary and various trinkets were put in their skirt. Finally, this study conclude that Korean traditional belt and trinkets come down from Scythian waistband.

녹차첨가가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the Improvement of Sensorial Quality of Chungkookjang)

  • 김재훈;김선임;김종군;임득균;박진규;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482-486
    • /
    • 2006
  • 본 연구는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개선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녹차를 첨가하여 청국장을 발효시킨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고 최종적으로 녹차가 청국장의 풍미 증진을 위한 첨가제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완전발효차와 반발효차 첨가시 청국장 발효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청국장 제조를 위한 원료로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는 녹차종류에 관계없이 녹차첨가에 의해 시각적 품질이 감소하였으나, 불발효차 및 증제차의 경우 이취개선 효과로 인해 향, 맛, 종합적 기호도가 증가하였으며, 녹차첨가로 인해 항산화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녹차 특히, 불발효차 및 증제차 첨가는 청국장의 이취를 감소시켜 청국장의 관능적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