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nutrition and health

검색결과 1,200건 처리시간 0.027초

차가버섯 추출물이 당뇨생쥐 $(C57BL/KsJ^-m^{+/+}Lepr^{db})$의 혈당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notus Obliqua Extract on Blood Glucose Levels in Genetically Diabetic Mice)

  • 홍희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0권7호
    • /
    • pp.601-605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effects of Inonotus obliqua extract on blood glucose, insulin, and other biochemical parameters in genetically diabetic mice $(C57BL/KsJ^-m^{+/+}Lepr^{db})$. The mic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control, Chaga 1 (dose of 0.09 mg/kg of body weight), Chaga 5 (5 times of Chaga 1), and Chaga 10 (10 times of Chaga 1) - according to supplemented dose. Inonotus obliqua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to the animals for 6 weeks. The body and organ (liver and kidney) weights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s. Fasting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aga 5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p < 0.05). Hemoglobin A1c conten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Chaga 5 group compared with either the control and Chaga 1 group (p <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um insulin level among groups. The glucose-6-phosphatase activity in liver was significantly the lowest in Chaga 10 group and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aga 5 group a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d Chaga 1 group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Inonotus obliqua extract alleviates many of the symptoms of diabetes in genetically obese mice and may offer a possibility as a therapeutic supplement for the normalization of blood glucose levels in human with hyperglycemia and have beneficial effects in patients with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Preterm Milk의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함량 및 지방산 조성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in Contents of Total Lipid, Total Chole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reterm Milk during Lactation)

  • 안홍석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3호
    • /
    • pp.215-227
    • /
    • 1994
  • Changes in total lipid content, total cholestero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preterm milk were investigated during early lactation. Mil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Korean mothers of 16 premature(34 to 36 weeks gestation age) infants on day 2 to 5(colostrum) and at 6 weeks(mature) postpartum. We estimated the lipid nutrition of preterm milk by comparing with the lipids of term milk. The total lipid content of preterm colostru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lipid content of preterm mature milk(p<0.001). Lipid content, determined gravimetrically in colostrum and matured milk, was 1.50g/이 and 3.2g/dl, respectively. Also the total cholesterol content(mg/dl) in preterm milk tends to increase from 14.16mg/dl to 15.20mg/dl, while the total cholesterol(mg/g lipid) concentration higher significantly in colostrum(12.36mg/g) than in mature(5.73mg/g)(p<0.001). The total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s in preterm milk were higher in colostrum than in mature milk and the total saturated fatty acids were higher in mature milk. The average DHA contents of colostrum and matured milk was 0.64%, 0.53% and the P/M/S ratio of preterm milk were 0.63 : 1.05 : 1.00, 0.47 : 0.79 : 1.00, respectively. Also, $\omega$6/$\omega$3 ratio of preterm milk were 2.35 in colostrum and 5.81 in mature. Therefore, colostrum in preterm milk contained higher amounts of $\omega$3 PUFA than mature milk. The levels of total lipid in preterm milk were higher than term milk. Also, preterm milk is richer in cholesterol, and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 than term. It appears that the milk secreted by mothers who delivered prematurely differs from milk in several important respect. These components may serve as precursors for membrane, myelin development in the preterm infant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o study further into the machanism of how the gestation age might affect to the lipid composition in human milk. These data may provide a basis for better construction of infant formaulas to provide more adequately for the lipid requirements of the Korean premature infant.

  • PDF

마산.창원지역 대학생의 거주형태에 따른 편의식품 이용 실태 (A Study on Consumption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by Residing Types in Changwon and Masan Area)

  • 이경아;조은정;윤현숙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3호
    • /
    • pp.279-29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by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where they reside. The subjects were 572 university students in Changwon and Masan who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residential type; students living with their parents (n=297), self-boarding students (n=139), and students living in a dormitory (n=136). This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mong all students, 22.4% skipped breakfast, and the major reason was lack of time (38.1%). Convenience food intake at lunch was 39.1%, and that of snacks was 35.4%. In particular, convenience food intake at lunch was 45.9% for students living with their parents, 30.9% for those self-boarding, and 32.6% for those living in a dormitory (P<0.01). Approximately 66% of the students said that the reason they bought convenience food was that it was easy to cook. Those who were residents of a house (P<0.001) believed that nutritional imbalance was a problem with convenience food. The students who lived in the dormitory ate frozen fried pilaff (P<0.01), canned vegetables (P<0.05), packed kimchi (P<0.001), and Ramyon cups (P<0.001) more, while the self-boarding students ate Ramyon (P<0.05) more.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people how to buy reasonably by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venience food and health care and by checking the nutrition index label on convenience foods.

인천시 주부의 풍미 증진제에 대한 인식실태 (Housewives′ Perception of Flavor Enhancer Products in Inchon)

  • 장경자;차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683-69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se of flavor enhancer produc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503 housewives in Inchon.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age, 51.9% of the subjects were 40 years or older. Also, 60.0% of the subjects had received a high school education. As for occupation, full-time housewives accounted for 63.7%. Monthly household income of most subjects were 1 million won or more, and monthly food expenses of most subjects were 300 thousand won or more. Also 71.0% of subjects lived in apartments. As for taste of flavor enhancer products, 58.3% of subjects perceived that it was mediocre, 31.3% said good, 6.2% said bad, and 1.8% said very bad. Most subjects perceived that the convenience of flavor enhancer products was goo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groups divided by education level. As for economy of flavor enhancer produc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divided by household income and food expenses. Most subjects perceived that the safety of flavor enhancer products was not good. Most subjects considered the date of manufacture, manufacturers, food additives, packaging and price when they purchased flavor enhancer products. Also, 70.0% of subjects were going to reduce the amount of flavor enhancer products they use in the future. Most subjects needed flavor enhancer products good for health. 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develop and to produce safe, nutritious, tasty, cheap and various flavor enhancer products.

  • PDF

총식이조사 자료를 이용한 음식별 니트로사민 함량 분포 규명 (Elucidation of Dishes High in N-Nitrosamines Using Total Diet Study Data)

  • 최슬기;이영원;서정은;박종은;이지연;권훈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61-368
    • /
    • 2018
  • 니트로사민은 산성이나 열을 가했을 때 2급 아민과 질소산화물이 반응해서 생성되는 발암물질이다. 일반적으로 위해 물질에 대한 안전성평가는 그 노출량을 mg/kg body weight/day로 산출하여 독성기준치와 비교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방법은 정책 근거자료로는 적합하나 소비자들에게 식생활 정보로 제공하기에 미진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주재료 및 조리법으로 분류한 음식군에 대한 NDMA(N-nitrosodimethylamine), NDBA (N-nitrosodibutylamine) 및 6종 니트로사민(NDMA, NDBA, NDEA (N-nitrosodiethylamine), NPYR (N-nitrosopyrrolidine), NPIP (N-nitrosopiperidine), NMOR (N-nitrosomorpholine) 함량 분포를 파악하여 식습관 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4~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사용하여 만 7세 이상을 연구 대상으로 음식별 레시피와 섭취량을 추출하였고, 2013~2015년 총식이조사 원자료를 바탕으로 음식 한끼니 제공량 내 니트로사민 함량 분포를 R프로그램으로 산출하였다. 볼락, 장어, 멸치 육수, 명태 등의 기여로 어패류 및 해조류를 주재료로 한 음식군은 섭취량과 상관없이 NDMA, NDBA 및 총 6종 니트로사민 모두에 대한 노출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법에 따른 분류에서는 국 및 탕류와 찌개 및 전골류가 가장 크게 노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 과실류 및 유제품류 주재료 음식군, 밥류 및 밥 외의 다른 재료를 부가한 음식군들의 니트로사민 노출에 대한 기여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니트로사민의 경우 조리시 생성되는 여타 화합물과는 달리 국, 탕, 찌개, 전골 등 끓임을 주로 하는 음식과 어패류를 주재료로 하는 음식에서의 기여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에 가공육류를 니트로사민의 주노출원으로 생각하던 것과는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종양성 (Antineoplastic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oligosaccharide on Various Tumor Cell Lines)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08-312
    • /
    • 2009
  •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세포 독성을 실험하였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은 정상세포주인 Vero E6(Africa green monkey kidney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정상세포주에 대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IC_{50}$값은 $1,060.28{\mu}g/m{\ell}$이었다.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은 폐암 세포주인 A549, 방광암 세포주인 J82, 대장암 세포주인 SNU-C4, 위암 세포주인 SNU-1, 유방암 세포주인 ZR75-1 등과 같은 사람의 종양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종양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세포주에 대한 저분자량 키토산 올리고당의 $IC_{50}$값은 A549, J82, SNU-C4, SNU-1, ZR75-1 세포주의 경우에 각각 $477.42{\mu}/m{\ell}$, $480.40{\mu}g/m{\ell}$, $436.84{\mu}g/m{\ell}$, $373.55{\mu}g/m{\ell}$, and $539.95{\mu}/m{\ell}$이었다.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In Vitro 항종양성 (In Vitro Antineoplastic Effects of Chitosan Hydrolysates on Various Tumor Cell Lines)

  • 박헌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39-643
    • /
    • 2009
  •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세포 독성 및 항종양성 실험에서 키토산 가수분해물은 정상세포주인 Vero E6(Africa green monkey kidney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정상세포주에 대한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IC_{50}$값은 1,107.95 ${\mu}g/m{\ell}$이었다. 키토산 가수분해물은 폐암 세포주인 A549, 방광암 세포주인 J82, 대장암 세포주인 SNU-C4, 위암 세포주인 SNU-1, 유방암 세포주인 ZR75-1 등과 같은 사람의 종양세포주에 대한 in vitro 항종양성을 나타내었다. 종양세포주에 대한 키토산 가수분해물의 $IC_{50}$값은 A549, J82, SNU-C4, SNU-1, ZR75-1 세포주의 경우에 각각 421.06 ${\mu}g/m{\ell}$, 417.99 ${\mu}g/m{\ell}$, 445.54 ${\mu}g/m{\ell}$, 380.65 ${\mu}g/m{\ell}$, and 460.49 ${\mu}g/m{\ell}$이었다.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파이토케미칼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변화 (Global Gene Expression Changes by Several Phytochemicals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 박민희;곽은희;손호용;;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9호
    • /
    • pp.1219-1225
    • /
    • 2011
  • 파이토케미칼은 식물유래의 비 영양 성분으로서 항염증, 항산화, 및 화학적 암 예방 등의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 우리는 다섯 가지의 다른 파이토케미칼(resveratrol, genistein, epicatechin gallate, diallyl disulfide, caffeic acid phenethyl ester)이 대장암 세포주의 성장과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세포 생존율 연구결과, 처리한 ECG를 제외한 모든 파이토케미칼에 의해 농도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oligo DNA microarray 실험을 통해 다섯 종류의 파이토케미칼에 의해 공통적으로 증가 되는 유전자 6개와 공통적으로 발현이 감소되는 유전자 7개를 선별하였다. 공통적으로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를 선택하여 RT-PCR 방법을 통해 발현을 증명하였다. 또한, 파이토케미칼에 의한 NAG-1 단백질의 발현 증가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파이토케미칼에 의해 중재되어 지는 화학적 암 예방법의 일반적인 분자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충남지역 일부 산업체 근로자의 알코올섭취 수준에 따른 건강관리 실천, 식행동 및 영양소 섭취상태 비교 (Comparison of health care practice,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considering the alcohol drinking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in the Chungnam area)

  • 박건희;노정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3호
    • /
    • pp.277-291
    • /
    • 2021
  • 본 연구는 2019년 7월 충남지역 220명의 산업체 남성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관리 실천,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알코올의존도 분석 결과, '정상음주군'은 84명(38.2%), '문제음주군' 45명 (20.4%), '알코올의존 I군' 60명 (27.3%), '알코올의존 II군' 31명 (14.1%)이었다. 조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45.42 ± 10.63세이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알코올의존도가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건강관리 실천의 총점은 50점 중 34.66점, 평균값은 3.47점이었다. 알코올의존도에 따라 '정상음주군', '문제음주군', '알코올의존 I군', '알코올의존 II군'의 순으로 건강관리 실천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하위항목 중 '매일 2 L이상의 수준을 섭취하고 있다'는 '문제음주군'이, '평소 6시간 이상의 충분한 수면을 한다', '나는 긍정적인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다', '적정한 체형유지를 위해 노력한다', '가까운 거리는 차를 이용하지 않고 걸어 다닌다', '전반적으로 건강하다'는 '정상음주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식행동의 총점은 65점 중 44.71점, 평균값은 3.44점이었다. 알코올의존도에 따라 '정상음주군', '문제음주군', '알코올의존 I군', '알코올의존 II군'의 순으로 알코올의존수준이 높아 질수록 식행동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식사할 때 소금이나 간장을 넣지 않는다'와 '채소를 먹는 습관이 중요하다'는 '문제음주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식사할 때 채소를 골고루 먹는다', '평소 과일을 자주 먹는다', '식사할 때 과식하지 않는다', '식사 전에 손을 깨끗이 씻는다', '식사 후에 양치질을 한다'는 '정상음주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영양소섭취량은 '알코올의존 I군'의 '에너지' (2,472.48 kcal), '비타민 E' (23.98 mg), '비타민 C' (69.05 mg), '니아신' (17.56 mg)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관련요인 및 영양소섭취상태 간의 상관관계에서 '연령'은 '알코올의존도'와 음의 상관관계 (r = -0.213), '알코올의존도'는 '건강관리 실천' (r = -0.212), '식행동' (r = -0.199)과 음의 상관관계, '건강관리 실천'은 '식행동' (r = 0.526)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알코올의존도'는 '에너지' (r = 0.168), '수분' (r = 0.160)과 양의 상관관계, '건강관리 실천'은 '칼슘'과 양의 상관관계 (r = 0.138), '식행동'은 '칼슘' (r =0.139), '비타민 C' (r = 0.148), '리보플라빈' (r = 0.140), '엽산' (r = 0.136)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 충남지역 산업체 남성근로자의 문제음주자 비율이 높은 수준으로 근로자의 건강관리실천, 식행동 및 영양소섭취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알코올의존도가 높을수록 모든 지표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근로자들의 건강유지와 근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음주교육 및 건강 프로그램의 시행이 요구된다.

조제분유와 건조호박에서 Cronobacter spp. 검출을 위한 두 가지 선택배지와 Real-time PCR의 비교검증 (Comparative Evaluation of Real-Time PCR and Conventional Culture Method Using Two Selective Agars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spp. in Powdered Infant Formula and Dried Pumpkin)

  • 김홍석;신민정;천정환;임종수;김영지;김동현;장호석;김현숙;엄애선;오덕환;송광영;서건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39-444
    • /
    • 2016
  • 두 종류의 Cronobacter 선택배지(DFI agar, R&F agar)의 분유 및 건조호박 내 Cronobacter의 선택 분리능을 real-time PCR법과 함께 비교하였다. 분유에서의 Cronobacter 검출률은 세 가지 방법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p < 0.05), 건조호박의 경우 R&F배지와 real-time PCR법이 DFI에서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p < 0.05). 배지 간 선택성에 있어서도, R&F 선택배지는 건조호박에서 DFI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선택성을 나타냈다(p < 0.05). Real-time PCR 및 R&F배지의 사용은 분유뿐만 아니라, 건조 호박 등의 높은 경쟁세균총을 갖는 영유아식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식품군에서도 Cronobacter를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