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intestine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5초

경구 내독소와 저산소로 유발된 신생쥐의 괴사성 장염모델에서 caspase-3 활성화를 통한 세포자멸사의 증가 (Neonatal Rat Necrotizing Enterocolitis Model Adopting Oral Endotoxin and Hypoxia Exhibits Increased Apoptosis through Caspase-3 Activation)

  • 이윤경;김이경;김지은;김윤주;손세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44-52
    • /
    • 2010
  • 목 적 : 경구 내독소와 저산소 자극을 이용하여 신생쥐에서 실험적 괴사성 장염(necrotizing enterocolitis, NEC)을 유발하고 그 병태생리에서 세포자멸사의 역할을 알아본다. 방 법:신생쥐에 경구로 내독소(5 mg/kg)를 투여하고 8% 저산소 자극을 주어 NEC를 유발하고 성공적으로 NEC가 유발된 군에 caspase 억제제를 전처치하고 비교하였다. 장 조직의 병리학적 분석은 hematoxylin-eosin 염색한 슬라이드로 하였고 세포자멸사는 TUNEL 염색과 장 조직 caspase-3 활성으로 분석하였다. IEC-6세포주에 내독소와 저산소를 처리한 후 세포자멸사와 Bax, Bcl-2, Fas, FasL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결 과:경구 내독소(5 mg/kg)와 반복적으로 60분간 2회 투여된 8% 저산소 자극에 의해서 NEC와 유사한 장병변이 신생쥐에서 유발되었다. 장 조직은 세포자멸사와 caspase-3 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다. Caspase 억제제 전처치에 의해서 세포자멸사와 NEC의 중증도가 모두 감소하였다. IEC-6 세포주도 내독소와 저산소 자극에 의해서 세포자멸사와 caspase-3 활성의 증가를 보여주었으며 Bax/Bcl-2 ratio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 론:경구 내독소와 저산소를 이용한 본 NEC 신생쥐 모델은 caspase-3 활성에 의해 매개되는 장 상피세포의 세포자멸사가 병태생리에 관여함을 보였다. 본 동물모델은 임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자극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그 병태생리와 치료적 시도의 연구에 더욱 유용하리라고 본다.

모유 섭취 신생아 유래 Lactobacillus acidophilus에 의한 발효유 내 중미형성 (Production of Flavor Compounds in Fermented Milk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Breast-Fed Infants)

  • 박정규;송원호;홍성문;김철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96-603
    • /
    • 2008
  • 이 연구는 모유를 섭취하고 있는 생후 7일 이내의 신생아로부터 분리 및 선발된 9종의 L. acidophilus를 이용하여 제조된 발효유의 풍미성분의 확인을 통해 상업적 발효유제조 시 사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균주에 의한 유리아미노산의 생성은 전반적으로 arginine 및 histidine과 같은 쓴맛을 내는 유리아미노산의 생성량이 높았으며, 유기산은 lactic acid의 경우 전 처리구에서 다른 유기산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고, 전체적인 유기산 생성량은 L. acidophilus NB 209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또한 acetaldehyde의 함량이 다른 휘발성 향미성분에 비해 높게 생성되었으며 L. acidophilus NB 209에 의한 acetaldehyde 생성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험 균주로 발효유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맛과 향미는 L. acidophilus NB 209로 제조된 발효유에 대한 기호도가 다른 처리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조직감은 다른 시험 균주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고, 상업적 발효유 제조에 사용 중인 L. acidophilus 145에 비해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L. acidophilus NB 209의 제품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업적인 이용을 위해 향후 최적배양조건 선정 실험을 통한 관능성의 개선 관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Sprague Dawley 쥐에서 장내 유래 Lactobacillus sp. KP-3의 중금속 축적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s of Intestine-oriented Lactobacillus sp. KP-3 on the Accumulation of Heavy Metals in Sprague Dawley rats)

  • 김신연;김현표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64-173
    • /
    • 2015
  • 유산 균주들을 신생아 및 성인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여 그 중에서도 가장 중금속 흡착능이 크고 중금속에 내성이 있다고 사료되는 균주 KP-3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sp.으로 밝혀졌다. 동물 실험에서는 생후 4주령의 Sprague dawley male rat에게 선별한 균주 KP-3를 투여하여 혈액 및 장기 내의 중금속 축적 저해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조사하였다. 실험군으로는 SD rat 한 마리당 Lactobacillus sp. KP-3와 중금속 10 ppm을 혼합하여 약 100 ml/day씩 7일간 투여하였다. 대조군으로 중금속과 멸균 생리 식염수를 혼합하여 투여한 군과 Lactobacillus sp. KP-3와 멸균 생리 식염수를 혼합하여 투여한 군, 멸균 생리 식염수 만을 투여한 군으로 분리하여 SD rat 한 마리당 약 100 ml/day씩 7일간 투여하였다. 혈액, 간장 및 신장의 시료를 채취하여 카드뮴(Cd), 크롬(Cr), 납(Pb) 등의 중금속 축적량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크롬(Cr)은 신장에 주로 축적되었고, 납(Pb)은 간장과 신장에 주로 많은 축적을 보였고, 실험군인 Lactobacillus sp. KP-3와 중금속을 혼합하여 투여한 군에서는 중금속만을 투여한 군보다 중금속 축적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뮴(Cd), 크롬(Cr), 납(Pb)의 평균 중금속 축적 저해율은 각각 41.8%, 33.4% 44.2%로 나타났다. 특히, 혈액에서의 중금속 축적 저해율은 약 70%로 매우 높게 나타났고 혈액에서의 카드뮴 축적 저해율은 100%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탐색하여 최적화된 유산균이라고 생각되는 Lactobacillus sp. KP-3균주는 실험 결과에 의하면 중금속 축적 저해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또한 유산균이 함유된 식품을 지속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체내의 중금속의 축적 억제에 도움이 크게 되리라 생각된다.

Caenorhabditis elegans 생체대체모델을 이용한 한국 영유아분변 유래 프로바이오틱스 균주의 in vivo 장 우점능 검토 (Rapid in vivo Colonization Screening of Probiotic Bacteria Isolated from Human Infants using Caenorhabditis elegans Surrogate Host)

  • 박미리;정은선;오상남;송민호;두재균;정용섭;문용일;김영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522-530
    • /
    • 2013
  • Probiotic 기능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선발하기 위하여 9개월 미만의 모유수유아로부터 100종의 Lactobacillus균을 분리하였다. C. elegans를 이용한 in vivo 실험으로 장내 우점능을 검사하여 L. rhamnosus GG와 비교했을 때 다른 균주들보다 상대적으로 장환경에 대하여 우수한 우점특성을 갖는 probiotic 유산균주 9종을 선발하였다. Mucin을 이용한 in vitro 부착능력 검토결과, L. rhamnosus GG대비 90% 이상의 부착능을 보였으며, pH 2.5에서의 내산성 및 0.5% oxgall을 함유한 내담즙성에서 각각 97% 이상과 99%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다. 또, 81% 이상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해능과 다양한 prebiotics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L. rhamnosus 4종, L. plantarum 5종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in vivo 실험을 통해 우선 선발한 균주들이 프로바이오틱스 균주로서 요구되는 조건을 우수하게 충족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in vivo 모델로서 C. elegans을 이용한 장내우점능력 검토는 내산성, 내담즙성, 콜레스테롤 저하, 그리고 prebiotic 기질 이용능 등의 고기능성의 probiotic 균주 선발에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한 단호박 발효음료 제조 기술 개발 (Fermentation of Cucurbita maxima Extracts with Microganisms from Kimchi)

  • 노현지;김기은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49-155
    • /
    • 2009
  • 김치유래 유산균 단호박 발효음료의 개발을 위해 김치에서 유산균 19종을 분리하였다. 이후 진행된 인공 위액 및 인공 담즙산 실험에서 살아남은 유산균 1종을 선별하였고 이를 C332라 명명하였다. 이 C332는 앞으로 진행되는 모든 실험에서 종균으로 사용하였다. C332는 인공 위액에서 1.66 ${\times}$ $10^5$ CFU/m${\ell}$, 담즙산에서 1.49 ${\times}$ $10^6$ CFU/m${\ell}$ 만큼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C332를 단호박 배지에서 호기적과 혐기적으로 배양한 결과 광밀도, pH에서 큰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통성혐기성 미생물임을 확인하였고, E.coli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14 mm의 클리어존이 생겨나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발효가 끝난 단호박 배지는 pH가 3.8까지 떨어졌으며, 산도는 1.41%이다. 16s rRNA full sequencing을 통해 C332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이후 관능검사를 통해 발효 시간별, 농도별로 발효음료가 유의수준 5%로 유의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저장성평가를 통해 12일간의 저장기간 중 약간의 산도증가 경향과, 약간의 pH 저하경향을 확인하였고, 우리나라 호상요구르트의 유산균 기준치 (1.0 ${\times}$ $10^8$ CFU/m${\ell}$)를 상회하는 생균수 (발효 후 경과 12일 1.15 ${\times}$ $10^8$ CFU/m${\ell}$)를 확인하여 저장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래회충유충증 107례 보고 및 어류감염 실태 조사 (Gastric anisakiasis cases in Cheju-do, Korea)

  • 임경일;신호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79-186
    • /
    • 1995
  • 고래흰충유충증은 바다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고래회충과(과)의 유충이 인체의 소화관 특히 위(위)와 소장에 침입하여 발생되는 질병으로 범세계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급성복통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바닷고기 생식여부를 조사하고 위내시경을 관찰하여 위점막내로 뚫고 들어가는 고래회충과 유충을 적출하여 동정함으로써 진단하였다. 1989년 6월부터 3년간 남자 60명 여자 47명의 고래회충유충증 환자를 찾아내었다. 주요 증상은 상복부통, 급성복통. 구토 등이었고. 바닷 고기를 생식하고 4시간 내지 1일 이내에 증상이 생겼고. 대부분 1-3일 후 유충을 제거하였다. 위 내시경 관찰을 하였더니 유충들은 위의 몸체에서 제일 많이 발견되었고 유충이 침입한 위점막으로 부터 출혈. 부종. 미란 등이 관찰되었다. 적출된 유충 90마리 중 82마리가 고래회충(Anisakis simplex)의 유충이었다. 문진을 통해 확인된 환자가 생식한 어종으로는 조기. 바닷장어. 히라스, 오징어가 많았다. 농수산물센타에서 임의로 구입한 5가지 바닷고기에서 고래회충과 유충을 조사하였더니 고등어와 우럭에서 검출되었고. 내장 및 복부 근육에서 고래회충(Anisokissi simplex)과 물개 회충(Pseudotewqnova deipiens)의 유충 등이 검출되었다.

  • PDF

구룡포항 어패류에 함유된 유기주석화합물 분석 (Analysis of Organotin Compounds in Fish and Shellfish from Guryongpo Harbor)

  • 김미라;김성홍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09-216
    • /
    • 2005
  • 구룡포항에서 수획한 어패류에 함유된 유기주석화합물인 BT 화합물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어류에 함유된 TBT, DBT, MBT의 농도는 각각 $15.68{\sim}52.93\;ng/g$(평균 28.65 ng/g), $13.95{\sim}72.16\;ng/g$(평균 26.99 ng/g), $37.73{\sim}133.59\;ng/g$(평균 85.18 ng/g)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어류의 근육보다는 내장에 BT 화합물이 더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류에서의 TBT, DBT, MBT 농도는 각각 $42.15{\sim}56.13\;ng/g$(평균 50.94 ng/g), $34.16{\sim}52.82\;ng/g$(평균 42.79 ng/g), $41.25{\sim}72.60\;ng/g$(평균 53.71 ng/g)으로 분석되어 패류의 BT 화합물 함유량이 어류의 BT 화합물 함유량보다 다소 높았다. 또한 어류에 함유된 PT 화합물의 농도를 분석한 결과 TPT와 DPT의 농도가 각각 $0.47{\sim}3.90\;ng/g$(평균 2.33 ng/g), $ND{\sim}0.56\;ng/g$(0.15 ng/g)이었으며 MBT는 검출되지 않았다. 패류의 PT 화합물의 농도는 TPT가 $10.24{\sim}21.67\;ng/g$(평균 17.45 ng/g, DPT가 $3.32{\sim}4.78\;ng/g$(평균 3.91 ng/g), MPT가 $0.11{\sim}0.36\;ng/g$(평균 0.25 ng/g)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어류에 함유된 유기주석화합물의 비율을 볼 때, BT 화합물의 경우 MBT 비율이 높게 나타난 반면 PT 화합물에서는 TPT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구룡포항에서 수획한 어패류의 유기주석화합물 농도는 국내 다른 항구의 어패류보다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총담관결찰후 집토끼 Paneth세포의 변화에 대한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Paneth Cell of Rabbit after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 박경호;조휘동;양남길;안의태;고정식;김진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2호
    • /
    • pp.78-92
    • /
    • 1994
  • Lysozyme has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the secretory granules of the Paneth cell, and lysozyme immunoreactivity has been detected by immunogold method in Paneth cells of the intestine of human, mouse and rat.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clarifying the intracellular distribution and changes of the lysozyme immunoreactivity in rabbit Paneth cell after common bile duct ligation of rabbit, using the electron microscope immunogold technique. Healthy adult rabbits weighing about 2kg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normal and bile duct ligated groups. Common bile duct ligation was performed aseptically under ether anesthesia.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on the 1st, the 3rd, the 5th, the 7th and the 14th day after the operation. Mucosal specimens from the intestinal gland of ileum were fixed in 2.5% glutaraldehyde-1.5% paraformaldehyde, followed by 1% osmium tetroxide, embedded in araldite mixture, cut with LKB-V ultratome. Ultrathin sections were placed on parlodion coated nickel grids (200mesh). The section-bearing grids were floated upside down on the added substance in a moist chamber at room temperature except for the primary antibody step, which was at $4^{\circ}C$. Sections were etched with a saturated solution of sodium m-periodate for 60min. After etching, sections were pretreated with 0.02M tris buffered saline (TBS), pH 8.4, with 1% bovine serum albumin (BSA, Sigma) for 60min, then treated polyclonal rabbit anti-human lysozyme (Dakipatts) diluted 1 : 50 in TBS with 0.1% BSA for 20hr. Subsequently, grids were incubated 60min in biotinylated goat anti rabbit IgG (Amersham) diluted 1 : 100 in TBS with 0.1% BSA. After this, sections were incubated 60min on streptavidin gold G10 (Amersham) diluted 1 : 50 in TBS with 0.1% BSA. After each step, the grids were briefly rinsed with TBS with 0.1% BSA. After the strepavidin gold step, the sections were jet washed with distilled water. Counterstain of the sections performed by uranyl acetate and lead citrate, and observed with JEM 100 CX II electron microscope. Observed results were as follow; 1. Secretory granules of mouse Paneth cells have a lysozyme immunoreactivity and also eosinophil leucocyte of rabbit applied for the positive-control stain, are well labeld with gold particles. 2. Normal rabbit Paneth cells have a lysozyme immunoreactivity restricted on the secretory granules. 3. Amount lysosomes containing myelin figures in the Paneth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th day after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4. Immunoreactivity of Paneth cell secretory granules were more activated on the 3rd day after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normal animal. But the lysozyme immunoreactivity were decreased from the 5th day after the common bile duct ligation. 5. Considering the above finding, lysozyme contained Paneth cell are affected following of common bile duct ligation, whereas lysosomes containing myelin-figure do not exhibit any immunoreactive relationship with those of secretory granules.

  • PDF

한국인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속 젖산균의 동정 및 생리적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Feces)

  • 강동규;강석필;장동훈;김상호;윤성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7-5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분변으로 부터 분리, 동정된 Lactobacillus 속 균주의 종별 출현빈도, 산 생성능, 인공 위액 및 인공 담즙에 대한 내성, cholesterol 저하능력 등이 검토되었다. 생후3일부터 37세까지의 총 13명의 남·여의 분변으로부터 총 52균주의 Lactobacilli가 분리되었고 이 중 L. acidophilus가 19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L. plantarum 순이었다. 분리주 중 L. acidophilus로 동정된 17주와 L. casei로 동정된 3주에 대해서 생리적 특성을 검토한 바 각각 다음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인공위액에 대한 내성 실험결과 L. acidophilus a-4는 pH 2.5에서 3시간 경과 후에도 전혀 사멸하지 않고 100% 생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L. acidophilus a-2와 L. casei b-3도 75%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나머지 13주는 40%이하의 생존율을 나타내어, 균주 별로 인공위액에 대한 내성은 큰 차이를 나타났다. 내 담즙성을 측정한 결과 L. acidophilus a-3를 포함한 4주는 성장에 지장을 받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분리 균주는 생균수가 처리전 보다 $54{\sim}99%$ 정도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인공위액 내성과 마찬가지로 균주에 따라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 탈지유를 이용한 산생성능에 있어서는 두 L. acidophilus 균주 (a-2 및 a-16)가 60시간 경과 후 $2.1{\sim}2.3%$의 적정 산도까지 도달하였고 이때 pH는 $3.5{\sim}3.6%$이었다 60시간 배양 후 적정 산도가 0.8%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총 20주중 10주였다. 한편 cholesterol 저하능을 측정한 결과 공시한 20개 분리주 중에서 L. acidophilus a-2 주와 a-6 주가 70% 이상의 우수한 저하능력을 나타냈고, 12균주가 60% 이상의 저하능을 나타냈다. cholesterol 저하능은 동일 균종이라 하더라도 분리원(사람)은 물론 동일 분리원에서 유래된 균주 간에도 큰 차이가 나타났다. 담즙산에 대한 내성과 cholesterol 저하능력과의 관련성은 상호간의 유의적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얻은 몇 균주는 인체에 섭취될 경우 사멸하지 않고 소화관 하부까지 도달할 수 있는 잠재성이 있었으며, 따라서 이들 분리주는 정장제로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 PDF

CUG2 유전자에 의하여 감소된 FBXW7 E3 ligase 발현이 유사-종양줄기세포 표현형을 유도 (The Decreased Expression of Fbxw7 E3 Ligase Mediated by Cancer Upregulated Gene 2 Confers Cancer Stem Cell-like Phenotypes)

  • 야웃 낫파판;김남욱;붓루앙 파차라폰;조일래;카오윈 시리차트;고상석;강호영;정영화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71-278
    • /
    • 2022
  • 신규 종양 유전자 Cancer Upregulated Gene (CUG) 2가 어떻게 유사-종양줄기세포 표현형을 유도하는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Cyclin E, c-Myc, Notch, 그리고 Yap1와 같은 종양단백질를 분해하여 그 발현을 조절하는 FBXW7 E3 ligase의 발현이 대장암, 자궁경부암, 그리고 위암 등 여러 암조직에서 낮아져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 FBXW7 단백질이 CUG2에 의한 종양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각 대조구 세포주보다 CUG2가 과발현된 A549 폐암 세포주와 BEAS-2B 기관지 세포주에서 FBXW7 단백질 발현이 낮게 나왔다. 여기서 MG132를 처리하게 되면 감소된 FBXW7과 FBXW7 기질로 알려진 Yap1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는 결과를 관찰하였다. 종양줄기세포 현상에서 FBXW7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FBXW7 siRNA를 처리하였다. 대조구 세포주에서 감소된 FBXW7의 조건은 세포 이동 침습, 그리고 구형 형성이 증가되는 종양줄기세포 현상이 촉진되는 것을 관찰하였고, CUG2가 과발현된 두 세포주에서 FBXW7 발현 벡타 도입으로 FBXW7 발현 증가는 종양줄기세포 현상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FBXW7의 감소는 EGFR-Akt-ERK1/2와 β-catenin-Yap1-NEK2 신호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반대로 FBXW7 발현 증가는 이 두 경로의 활성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이들 결과를 종합해 보면, CUG2 과발현은 FBXW7의 발현 감소로 이어지고, 이는 EGFR-Akt-ERK1/2와 β-catenin-Yap1-NEK2 신호경로를 활성화시켜 유사-종양줄기세포 현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