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ecological approach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8초

하천경관을 고려한 환경친화적 수변공간 정비기법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ly Favorable Arrangement Technique of Water Space Considering Stream Landscape)

  • 김선주;박성삼;이광야;윤경섭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57-69
    • /
    • 1998
  • The creation of favorable water space, in our living circumferential space, is very important factor to offer rural scenery to neighbor residents. We are to introduce stream landscape arrangement technique considering favorable water environment against conventional methods. In this study, the modeling district is Seungdu small stream of Ansung river system in Pyung-Teak city, Kyonggi province, and we carried out stream landscape simulation. The arranging plans of landscape are classified ti three types. The first one is conservation type of ecological environment that can express natural characteristics of stream inherence, raise variety of living things and construct coexisting environment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other living things. The secong one is favorable water approach type. The basic object of this type is space construction for easy approach to waterside and increase of comfortable feelings of spectators. The third one is water utilization/flood control management type. In planning of environmentally favorable landscape arrangement, this type is the most important but is likely to be ignored. This type is an arranging plan of stream landscape considering safety. Also, we developed Streams Landscape Simulation System(SLSS). This program can be used for comparison of original landscape image with simulated one. To apply SLSS on the interested stream, landscape simulation that is based on hydraulic characteristics, runoff, flow direction, detailed conditions of basin and ecosystem of stream have to be executed. In this point, developing a stereographical technique of image processing and exact study of applying plan have to be executed continually.

  • PDF

주민참여형 복원을 위한 훼손지의 통합적 유형 구분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he Integrative System to Categorize Damaged Areas for Participatory Restoration by Local Residents)

  • 안동만;김인호;최형석;이재영;이지영;이영;류선정;민소영;윤민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87-103
    • /
    • 2008
  • Despite its high level of symbolic and ecological values, BaigDooDaeGahn, about 684km long stretch of mountains in the 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has been widely destroyed and barely recovered. While Korean government enacted a special law in 2005 to protect these areas and designated about 2,658 $km^2$ as the protection zone in 2007, there were a number of sites inside that had been disturbed by mining, illegal crop cultivations, stone quarry, development of resort facilities, construction of roads, and other human activities. To restore these damaged areas in a sustainable manner, the integrative system to categorize damaged areas for participatory restoration by local residents was suggested by this study. The most distinguished feature of the proposed system was to integrate the existing restoration approach focusing on biophysical conditions into the sustainability-building approach to reactivate socio-economic conditions of local society, called 'restoration of eco-cultural community'. As an entry stage to design the new restoration system including processes and procedures, the damaged areas had to be re-categorized by two characteristics, their physical conditions in terms of possibility of public participatory restoration and the readiness of local society required for pursuing endogenous development. More detailed considerations regarding these two characteristics and three different categories has been suggested and discussed.

수생태계 건강성 자료를 이용한 InVEST habitat quality 모델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using aquatic ecosystem health data)

  • 이지완;우소영;김용원;박종윤;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4권9호
    • /
    • pp.657-666
    • /
    • 2021
  • 인간활동으로 인해 서식처의 변화, 서식처의 파편화를 비롯하여 기후변화, 토지이용의 변화 등으로 생태계 생물 다양성은 빠르게 손실되고있는 상황이다. 최근 들어 유역의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유역관리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가 시작되었으나 어떠한 수단을 통해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관리에 대하여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을 이용하여 유역의 서식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서식처 평가결과는 생태·자연도 및 수생태 건전성 평가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금강유역의 서식처 질은 0.0 ~ 0.86으로 분석되었으며, 유역의 하류보다 상류에서 서식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자연도 등급별 평균 서식처 질을 비교한 결과 1등급, 2등급, 3등급에서 각각 0.80, 0.76, 0.71이었다. 수생태 건전성 결과와의 상관성 분석결과 R2은 0.58, Pearson 상관계수는 0.76 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서식처 보호의 강화와 장기적인 생물 다양성 관련 정책의 실행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매체시대, 시조와 현대소설을 통한 장르 확장의 가능성 고찰 - 생태학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ssibility about genre extension of korean verse and modern novel in Multimedia age)

  • 허만욱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5집
    • /
    • pp.75-100
    • /
    • 2006
  • 이 논문은 오늘날과 같은 다매체시대에서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는 생태학을 바탕으로 한국문학, 특히 시조와 현대소설에서의 자연친화적이고 자연동화적이 상징물이 어떠한 의미로 나타나고 있으며, 어떻게 생태학적 상상력으로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고찰하면서 시대와 장르간의 통시적 통합적 사고를 도출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문학, 특히 우리의 시조에서는 자연을 주거공간으로 생각하고, 인간과 자연의 불가분리의 관계에서 자연친화적이며 자연동화적인 삶을 노래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소설에서도 시조에서 나타난 것과 마찬가지로 은유나 상징의 자연공간이 생태적 상상력으로 형상화되어진다. 따라서 이 두 장르는 통시적 통합적 관계에서 소통이 가능하다고 본다. 문학생태학과 장르 간 소통을 위한 올바른 방향 몇 가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문학이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생각에서 과감히 벗어나 문학생태학적 상상력을 탐색해야 할 것이다. 오늘날 인류가 겪고 있는 환경 위기나 생태계위기도 따지고 보면 진보와 발전이라는 목표를 세워놓고 거기에만 매달려 초래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문학은 녹색의 문학생태학에도 많은 관심을 갖고서 문학생태학적 상상력을 찾아 부단히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 문학작품에 두루 나타나고 있는 공통의 자연관과 문학생태학적 상상력을 이제 수용과 창작의 통합의 원리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교사와 학생에게 자연과 환경. 생태계의 문제는 현실적이고도 공동적인 주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친화적이고 생태학적 문학작품의 수용과 창작 활동이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함양하는 실천적 교육모형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통시적이며 통합적인 맥락에서 한국문학의 각 장르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모색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문학의 전통적 자연의식을 전승하고 있는 시조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열린 사고를 갖고 시조가 지니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고수하면서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는 방법 모색은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소설의 장르가 디지털시대의 새로운 문학 환경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나름대로의 대응방법을 모색하는 데서 그 하나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데릭 저먼의 정원에 대한 시공간적(時空間的) 해석 (A Study on the Spatiotemporal Interpretation of Derek Jarman's Garden)

  • 윈쟈옌;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6-79
    • /
    • 2016
  • 본고는 정원 공간에 내재된 시간의 다원성에 대해 역대 시공간 이론을 다루면서 정원 공간에 적합한 시공간 이론 구축을 시도하였다. 구축된 이론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데릭 저먼의 정원을 대상으로 정원 공간의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 이 두 가지에 초점을 두어 정원 공간의 내밀성을 분석하였다. 정원 공간에 속하는 시간을 객관적인 시간과 주관적인 시간으로 구분하였는데, 객관적인 시간은 생태적인 시간, 즉 지속성을 갖는 양화된 시간을 말하는 것이고, 주관적인 시간은 인간 주체의 의식에 따라 변하는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인간 주체의 감각에 의해 감정화된 시간도 포함한다. 우선 객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에 대해 해석하였다. 객관적인 시간 안에서 정원의 현재 공간 속에 저먼 개인의 감정에 따라 정원은 하나의 감성 공간으로 변모하면서 공간의 다층적인 속성을 보인다. 따라서 객관적인 시간 속에 존재하는 정원 공간은 결국 객관적이지 않고 인간 주체의 능동적인 감수에 따라 변모한다. 다음으로 주관적인 시간의 관점에서 저먼의 정원 공간을 고찰하였다. 저먼의 추억 속에 잠긴 정원 공간과 미래의 허상 속에서 연출되는 정원 공간은 저먼의 상상이나 자각에 따라 풍부한 의미를 내포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주관적인 시간 속에서 정원 공간은 저먼의 의식에 따라 변모한다. 이상 연구를 통해 시간이 객관적인가 주관적인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정원 공간은 물리적인 공간의 존재를 넘어서 인간주체의 의식이나 감정에 따라 무한한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정원 공간은 도시 공간과 달리 독특한 내밀성을 지닌 공간이기 때문에 본고는 기존의 정원 연구방법과 다른 시도를 통해 정원 공간의 독특성을 제시하여 보았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 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9-118
    • /
    • 2010
  •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도시재생적 실천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산업사회를 넘어 지식정보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나타나는 도시화의 새로운 특성과 양상, 또 산업화시대의 신도시 이상을 넘어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도시 이상과의 상관성 맥락에서 도시재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서의 랜드스케이프의 의미가 도시를 대상으로 시각적, 장식적 차원의 정태적 풍경이 아니라, 변화, 진화 등의 맥락에서 동태적 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지식정보산업사회가 지식 정보의 흐름 등 가속적 변화와 과정적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특징에 따라 도시화도 형태와 기능 중심에서 흐름, 네트워킹, 중심성과 결절성, 지표면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는 가치지향의 과정적, 동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 3자간에는 그 본질적 개념에 있어 상호 관통되고 소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시대의 도시화에 대한 반성으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이상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도시재생은 본질적으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점유된 도시 경관판을 그린 인프라 구축과 디자인이라는 맥락에서 생태판에 문화를 도입한 문화판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일정의 괘를 같이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8개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도시가 자연과 역동적으로 소통하고 진화할 수 있는 생태판의 구축, 생태와 도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생태판의 문화판으로의 전환, 주택 및 상업지역에서의 그린 인프라 구축 등의 관점에서, 건폐율 규제, 높이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도시이전적지의 공원화, 하천 등 도시워터프론트의 공원화 등의 전략에서 공원의 도시적 관입 및 확산과 더불어 공원혼합용도에 대한 도입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관판을 형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으로 사회의 변화에 역동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전략계획제의 도입이 논의되었고, 특히, 이미지니어링을 통한 가치계획을 추구함으로써 기능중심의 도시화에서 가치창출과 브랜드형성 차원의 도시화로 진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 모든 전략을 위해 기존의 경관, 토지이용 등 건축 및 도시개발 관련 각종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예술치료교육의 개념 정립과 정의 (Delineating and Defining School-Based Arts Therapy)

  • 정현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5권2호
    • /
    • pp.1-15
    • /
    • 2008
  •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의 하위개념으로 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새롭게 개념화 되고 있는 영역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중심의 예술치료교육의 대상, 목표, 예술매체의 치료적 특성을 살펴보고 개념 정립과 정의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예술치료교육은 음악, 미술, 그리고 운동/동작 등의 예술매체를 사용하여 아동의 심리 정서적 문제에 대한 치료를 바탕으로 심리사회적 문제를 극복함으로써 교육적 잠재력을 실현시키고 전반적 성장을 돕는 통합적이고 전인적인 접근이다. 예술치료교육은 예술치료와 학교라는 현장성, 학교의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며, 이에 따른 치료 목표도 타 임상 현장과는 다른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방과 후 학교에서부터 시작되어 증가하고 있는 수요에 따라 예술치료교육 전문성 강화 방안과 활성화에 필요한 전략들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PDF

강우시 지붕유출수의 EMCs 및 특성비교 (Characteristics of EMCs for Roof Runoff)

  • 홍정선;;;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57-665
    • /
    • 2012
  • 각종 개발사업은 불투수층의 증가를 야기 시켜 자연적 물 순환 왜곡과 함께 비점오염물질의 유출을 증가시킨다. 개발로 인한 환경생태수리학적 영향을 저감하고 건전한 물 순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의 함량이 적은 유출유량에 대해서는 이용(use)을 고려해 볼 만하며, 오염물질의 함량이 높은 유량에 대해서는 조경공간에서 처리 후 저류, 침투 또는 증발산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지붕빗물유출수의 상대적 오염도를 평가하여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 평균 EMC 산정을 위한 비용 효율적 적정 모니터링 기법을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지붕유출수의 오염도는 도로와 주차장에 비해 오염물질별 3배에서 13배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나뭇잎, 담배꽁초 등의 협잡물과 바람의 영향으로 인한 오염물질의 대기침적 및 옥상구조물 등이 주요 오염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용 효율적 모니터링 기법 연구결과 평균 EMC를 보이는 시료는 유출 발생 후 약 15분 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소 8회 이상의 강우사상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평균 EMC를 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自然景觀水系의 體系樹立을 위한 基礎硏究(I) -美國의 自然景觀水系制度 紹介 및 國內適用 事例硏究- (A Study on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I) -American Experience, and Suggestions for System Building in Korea-)

  • 안동만;안성로;진영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57-70
    • /
    • 1990
  • This study is on system building and model case study to establish a new framework of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and to apply this to Korean rivers.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of the U. S. , which had become law in 1968 for establishing wild scenic and recreational river areas, was investigated. The techniques of two American case studies about the National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designation were investigated and synthesized, and study process was adjusted to Korean river system. Additionally, pilot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method an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American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each river was evaluated based on eligibility criteria for designation, such as remarkable scenic, recreational, fish and wildlife, cultural or other ecological values. Segmented river areas were classified into three or four grades and management plans were prepared accordingly. 2) The management of rivers in Korea has emphasized on the flood control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up to the present, and now takes a growing interest in water quality. But it has been concerned very little with wild and scenic resources conservation of river corridor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build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in Korea for rational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valuable natural resource. 3) Suggest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Korean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were wildness, wildlife and plants, hydrology, scenic quality, and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The river areas may be graded into four : Positive conservation area(I), Negative conservation area(II), Negative development area(III), Positive development area(IV). Management guidelines were proposed for each grade. 4)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ach, one of the major tributary of the Han-River was selected for pilot study. The result showed that the evaluation and grading system worked well.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the Wild and Scenic Rivers System into Korean national park system, and to amend the Korean National Park Act to enable this.

  • PDF

Rehabilitation Ecology by Revegetation: Approach and Results from Two Mediterranean Countries

  • Martin, Arnaud;Khater, Carla;Mineau, Herve;Puech, Suzett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1호
    • /
    • pp.9-17
    • /
    • 2002
  • Human activities greatly affect the environment causing its degradation. Urban development and road networks construction cause main impacts on ecosystems and particularly on vegetation cover: road constructions induce complete degradation of the vegetation cover and often leaves a hare land, sometimes without even a soil cover. Reconstitution of vegetation cover is necessary to limit superficial erosion and land slipping on the road, towards a reintegration of the site in the neighbouring landscape. Many approaches have been studied over the last 30 years aiming at this reconstitution of vegetation cover. At frost, the main purpose of land reclamation was to create a new ecosystem. At this time, the environment created was rather a "garden" with a new soil adapted to the plantation of "decorative" species. Then, in early 90′s many studies on the restoration ecology concept rather focused on adapting the vegetation to the existing conditions on the site, as in a side road embankment for example. Nowadays, we notice a large tendency towards the use of such adapted native species instead of industrially produced seeds. In southern France, our team have led research on the potentials of those local species for their use in revegetation processes with hydro-seeding. We therefore developed an approach combining the use of different types of species: Industrially produced, native and wild cultivated species. This method integrates the benefits of using available low costing seeds that are already used on large scale projects with better adapted species, issued form the cultivation of native species and seed production for their use on smaller scale and more costly but more effective results. The use of wild cultivated species seeds was developed in order to limit the cost and reduce harsh natural seed withdrawal in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case of the use of native species. Besides, the use of such seeds allowed a larger geographical scale of use than with local native seeds. In addition, our team began two years ago a research project in Lebanon aiming at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the revegetation techniques in Lebanon. In fact, this country bared since 20 years the consequences of urban pressure on its environment especially by the development of quarries and road networks. Therefore, pioneer work is necessary to aim at the adaptation of these techniques to the local environment.